Boards
안녕하세요, 테드 회원 오상환입니다.
폭스바겐 파사트를 운용함에 있어 몇가지 문제가 발생하여 이렇게 고견을 구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제목이 좀 격합니다만, 클릭 수 높이려는 기자들의 수법 정도로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내용이 길고 사족이 많습니다. 그래서 일부러 주말을 앞두고 씁니다. 테드 회원분들께서 읽고 조언 주시길 바라며...
상황 설명을 하자니 글이 길어지네요. 사진은 첨부한 것과 같이 그때그때 날짜가 찍힌 것들이 있습니다.
덕분에 핸드폰 포맷도 못합니다.
살 수 있으면 사라는 제 추천으로, 저와 같은 차량을 친한 동네 형, 아는 형님의 직원, 여자친구 친오빠의 직장동료까지 출고했습니다.
주변에 같은 시기에 출고해서 타고 있는 사람만 저 포함 넷인데, 제 차에만 발생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괜찮은 차임은 맞는 것 같습니다. 저에게만 발생하고 있는 것을 보면 지지리도 잘못된 뽑기로 사료됩니다.
먼저 카 히스토리를 말씀드리면 이렇습니다.
차량은 2018 폭스바겐 파사트 2.0 TSI 북미형, 클라쎄오토 정식출고이며, 카카오를 통해 선 예약을 진행했던 차종입니다.
이 차량을 선택한 이유는 어머니께서 운행하실 예정으로, 아래와 같은 이유로 구매했습니다.
-본가가 송파라 가까운 5분거리 문정에 폭스바겐 서비스 센터가 있음. 급할 땐 어머니께서 가시기 편함.
-가솔린 세단, 터보지만 저압으로 관리의 세심함은 크게 필요 없다는 판단, 잡기능의 최소화로 잔고장 위험 없음, 실내공간 넓음. DSG 아님.
-제가 법인으로 골프 GTI를 운용했었고, 폭스바겐의 AS는 꽤 괜찮은 편이었으며, 구매한 파사트는 북미형으로 워런티 이후에도 이베이를 통한 부품 수급이 쉬움.
-무엇보다 '싸서' 입니다. 공간 좋고 연비 나쁘지 않고 안전장비 다 들어간, 가성비가 좋아서 산 차입니다.
그리고 저희 어머니께서는 58년생이시며, 30여년간 수동의 내공과 더불어, 장거리주행, 골목주행, 주차까지 운전 정말 잘하십니다.
기계적인 부분은 모르시지만, 브레이크가 밀린다, 안들리던 소음이 들린다 정도의 예민함도 겸비하셨구요.
단점은.. 세차를 자주 하진 않으셔서 제가 해드립니다.
아래는 서비스센터 방문, 입출고 내역입니다.

2018.09.19 / 주행거리 28km /오후 수원 클라쎄오토 직접 출고하여 고사 지내고 운행 시작
2018.09.19 밤, 헤드라이트 습기 발생.(LED이며, 당일 비가 왔습니다)
2018.10.08 조수석 뒷문 틴팅 들뜸 및 다수의 기포 발생으로 재시공(일주일 뒤 쯤 서초동 방문)
2018.10.23 헤드라이트 습기 발생.(비 온 날입니다) - 담당 딜러 문의하니 확인 후 연락주겠다고 함 - 연락 없음
2018.11.20 워셔액 보충에도 불구하고 주기적인 경고등 점등으로 확인하니 범퍼 하단으로 워셔액이 흐르는 것 발견, 콜센터 AS 접수
2018.12.06 / 주행거리 1980km / 폭스바겐 성수 방문, 하체에 흠집 하나 없으니 충격에 의한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여 하체 오픈.
워셔액 통에서 연결되는 부분의 조립 불량으로 워셔액이 계속 새고 있던 것 확인- 수리
헤드라이트 습기에 관해서는 기후에 따라 그럴 수 있다는 답변으로 마무리
2019.02.01 / 주행거리 3200km / 엔진오일 경고등 점등, 폭스바겐 문정에서 보충
2019.04.07 오른쪽 뒤 펜더, 주유구쪽 프로펠러 도는 듯한 소음 영상 촬영: 폭스바겐에서도 소음 인지하고 있으나 해결방안은 없다고 답변함(전 차종 발생)
2019.05.22 / 주행거리 6200km / 엔진오일 경고등 점등, 폭스바겐 문정에서 보충
2019.09.06 / 주행거리 9200km / 엔진오일 경고등 점등, 폭스바겐 구리에서 보충, 스마트키 2개 모두 배터리 경고등 점등으로 1개 교체
2019.09.24 / 주행거리 9400km / 잦은 경고등으로 어머니께서 불안감이 심해지셔서 엔진오일 교체 및 실링, 폭스바겐 성수
2019.11.20 / 주행거리 11600km / 엔진오일 경고등 점등
2019.12.07 / 주행거리 12071km / 폭스바겐 성수로 차량 입고, 대차 받아서 이용
2020.01.22 / 주행거리 13162km / 약 40일만에 차량 돌려받음. 폭스바겐 자체 1000km 상세 인스펙션 이후에 이상 없음 판정으로 차량 수리 없이 출고.
요약하면, 가장 큰 문제는 엔진오일을 먹습니다. 약 3,000km 주기로 경고등이 점등 됩니다.
그게 심해져 9200km-11600km 구간엔 2400km만에 경고등이 점등 되었습니다.
제 기준에 엔진오일 부족 경고등이 점등 되었다는건 이미 실린더는 갈리고 있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초반에 문제를 해결해주겠다던, 예약 모두 당겨주겠다던 딜러는 회사를 그만두었습니다.
그것도 연락이 하도 안와서 너무 화가나서 두어달만에 전화했더니 자기 다른 일 한다고 합니다.
조립 불량으로 워셔액이 줄줄 새고, 헤드라이트에 습기가 차고, 틴팅이 잘못되고, 블랙박스 배선 수정하고,
서비스센터에서는 예약하고 갔더니 제 예약 접수 종이 까먹어서 저를 대기실에 4시간 동안 방치한 것 등은 걸고 넘어가지 않고 싶습니다.
동일 차종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프로펠러 소음 이야기도 일단 접어두겠습니다.
폭스바겐 성수의 담당 어드바이저님은 매우 신사적이시며, 차분하게 잘 설명해주십니다.
테스트 과정, 테스트 결과까지 보여주시며 알려주시고, 도움을 드리고 싶지만 결과치가 나오지 않으니 어쩔 수 없다고 하십니다. 본인도 민망해하시며 말씀해주셨습니다.
대차도 제가 해외출장 등으로 차를 받으러 갈 시간이 나지 않아 본인 퇴근 시간까지 할애하셔서 전달 해주셨습니다.
이쪽은 당연히 원리원칙이 우선시 되는 것이라 전 당연히 화도 나지만 어쩔 수 없음을 압니다.
어머니께서 운전하시는 차량이, 그것도 새 차가 경고등은 수시로 점등되고,
해당 차량의 매뉴얼 상 표기되어있는 엔진오일 교체주기 15000km 도달 전, 12000km까지 4회 보충, 교체 되었습니다.
안전하게 10년은 탈 것이라 판단하고 산 어머니 차량입니다.
지금이야 워런티가 있어 일단 센터 넣고 보지만, 워런티 이후에는 깜깜합니다.
제가 미국차도 운용하고 있기에 북미형인 파사트의 경우 부품 수급 등, 워런티 이후 메인터넌스에서도 자신 있었습니다.
경고등 점등으로 차에 대한 불안함을 갖고 계신 어머니를 보며 내심 자동차 관련이 취미였던 저는 더 민망해집니다.
일반적으로 신차를 출고해서, 비교적 지면이 고른 서울 시내를 주행한다면, 엔진오일 교체 외에는 몇년은 마음이 편해야하는게 정상이라 생각됩니다.
마음 같아선 폭스바겐 정문에 차 때려박고 싶습니다.
이 글을 읽어주신, 깊은 내공을 갖고 계신 테드 회원분들께 어려운 질문을 하고 싶습니다.
제가 이 상황에서 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고,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저는 요즘 VW는 잘 모릅니다만... VW 엔진들이 오일을 좀 먹는 경우가 꽤 있나 봅니다. 북미 포럼 검색해보면 서비스 가면 1천 마일에 1리터 소모는 정상범위라고 해서 불만들이 있습니다. (http://www.vwproblems.com/oil-consumption) 예전에 지인이 후기형 골프 Mk5를 탔었는데, 차고에 엔진오일을 쌓아놓고 경고등 들어올때마다 보충하는게 일상이였습니다. 주행성능은 여전히 좋고, 배기가스 색깔도 정상이라 수리는 포기하고 몇년째 오일 보충하며 탄다고요. 반면에 다른 친구가 탔던 B6 파사트 2.0 TSi 는 오일 소모가 전혀 없었어요.
제 경험상 비정상적인 오일 소모는 엔진 헤드의 밸브 리테이너 아니면 스템 씰에서의 누유가 문제였습니다. 연식이 오래되지 않았으니 스템 씰의 문제는 아닐것 같긴 합니다만... 수십년 전의 경우였습니다만, 신차 엔진의 밸브 리테이너에 실금이 가 있는 황당한 경우가 있었는데, 워낙에 안 보이는 부분이라 하마터면 정비사도 발견 못할뻔 했었어요. 의외로 오일 소모가 심하더군요.
적고 나니 차알못의 뻘댓글인것 같은데, 다른 분들께서 답 남겨주시겠지요? ^^


3천키로에 오일을 보충하는것은 엔진에 분명히 문제가 있습니다.
현대 같은 경우에는 엔진 봉인 하고 또 줄면 엔진 교환으로 가는데 , 폭스바겐은 이상하네요.
센터에 엔진 교환을 요구하시는게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중고 엔진이라도 오버홀 해야 되는 상황인데요. 그것도 새차가 조립에 문제가 있었거나요.'
새 엔진으로 교환을 요구 하십시요. 중고로 팔더라고 감가 상각이 많은 것 입니다. 더욱이 딜러라면 말이죠.


딜러 측에서 이 차가 아무래도 문제가 있긴 있구나 싶어도 해줄 수 있는게 뾰족하게 없고.. 엔진교환 정도 가려면 갈 길이 아직도 머네요. 그러고도 뭔가 문제가 있을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다만 그게 생산과정에서의 문제인지.. 사용자의 문제인지.. 환경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어요. 여하튼 쉽게 해결될 문제 같지는 않고. 이미 정 떨어진 차는 계속 애물단지일 테니. 빨리 손절하는게. 마일리지도 적고 워런티도 남아있을 때 하세요. 억울한 마음이 드시겠지만 지금 그냥 파는게 가장 맘 고생 안하는 방법일 듯.
테드엔 팔지 마시고.. 인증 중고차 같은데에 파세요.

오일 소모는 주행습관에 따른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제가 운행했다면 그럴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만, 어머니께서 주행하시는 시간 대, 코스를 살펴보면 아주 평범한 시내 주행이라 가혹 주행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과속도, 급가속도 하기 힘든 주행 조건이며, 고속도로를 타시는 일도 두어달에 한번 정도로 매우 드뭅니다.
10년은 무탈하게 굴러가길 기원하는 마음에 막걸리 뿌리며, 제 차엔 하지도 않았던 고사까지 지내줬던 차인데 마음이 무겁습니다.

1. 헤드라이트 습기 : 온도차에 의한 현상이므로 차량 브랜드나 모델에 관계없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특히나 비가 오거나 세차를 한 이후 전조등 점등하여 주행한 이후이로 일교차가 큰 날씨라면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뿌옇게 습기가 차는 정도의 상태라면 별 걱정을 안 해도 되겠지만 결로로 인하여 물이 고이는 정도가 되면 나중에 마르고 나면 흔적도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겠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헤드라이트 후면의 커버 한 개 정도를 빼서 열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커버는 잘 보관하시고요. 계속 열어 두면 먼지가 많이 유입될 수 있으니 증상이 없어지면 다시 닫아 주세요.
2. 엔진오일 보충 : 서비스센터에서 엔진오일이 줄어드는 증상에 대해서는 보증 서비스 기준이 있습니다. 일단 그 기준에 못 미치는 정도면 서비스센터에서는 보충하는 방법으로만 조치가 가능합니다. 만약 보증 서비스 기준에 해당된다면 증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작업 범위를 정해서 보증 처리가 되는데요, 클럭스프링 불량에 의한 문제가 많은 것 같습니다.
나머지는 이미 조치가 되었거나 어느 정도 감안하시거나 혹은 서비스센터 작업 대상이 아니므로 더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아무쪼록 잘 처리가 되면 좋겠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엔진오일 소모가 문제네요. TSI가 오일 소모가 좀 있다고는 들었지만, 아무리 그래도 2,400km에 경고등이 뜰 정도면 이상이 없다고 판정할 범주는 벗어나 보이네요. 혹시 딥스틱에는 어떻게 찍혀나오던가요?

뽑기 잘못 했다고 하기에는 주행거리에 비하면 소모량이 지나치게 많은 것 같은데,
보증기간 이내임에도 원인을 알 수 없고 조치도 어렵다니 선뜻 이해가 안 되네요.
정상적인 범위에서의 차의 특성 혹은 종특이 마음에 안 드는 거라면 몰라도
순전히 위의 문제라면 차를 되팔고 다시 사는 손실을 감수하는 건 너무 억울한 일 아닌가요.
아무쪼록 서비스 어드바이저 분과 다시 얘기해보시고, 잘 해결되기를 빌게요.
관리 안 된 상태 나쁜 고물차 여러 대와 오래된 군 차량 등을 타봤지만, 그 정도로 오일소모가 심한 차는 못 봤어서...
썬팅은 차량이상은 아니고
워셔액은 역시나 미국생산이고
엔진은 이상입니다.
2.0 tsi b6 오일보충한적없이탑니다..
세번 수리하시고 레몬법 적용되지 않았나요? 국내도.
소비자원을 통해 진행해보시고
안타깝지만 안되면 매각이 불가피해보이네요
(2020년에 이게 먹힌다는것도 슬프긴 합니다만..)
저라면 엔진 교체 받고 위에분이 말한 레몬법에 대해도 찾아보세요
습기는 보증이면 라이트 교체 해주던거 같던데요
아니라면 중고차 딜러에게 매각을 하시는 게 어떨까요.
저라면 주저없이 보증이 살아있는 동안 어떻게든 매각하겠습니다. 개인에게 팔 경우엔 고지를 확실히 할 것이고(사 갈 사람이 없겠지요) 아니라면 위의 두 방법으로 처분하겠네요. 정식 센터에서 수리가 안 되는 결함을 다른 곳에서 고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