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디젤차량 타고있습니다.
tm이나 팰리 디젤오너중 정차중 진동, 흔히 디딸이라고 하죠.
이때문에 스트레스를 겪는분이 많은것 같습니다.
카페에서 이를 해결하신분이 있으셔서 궁금증이 하나 생겼네요.
미미나 부싱같은 하드웨어를 교체하여 진동을 잡은것은 아니구요.
엔진이 열받은 후 정차중 아이들 알피엠이 보통 700정도 전후인데요. 이때 진동이 좀 크죠.
맵핑을 통해 아이들알피엠을 900정도로 세팅을 하면 엔진자체의 진동이 사그라들어 디딸도 크게 개선된다는 내용입니다.
이유는 이해는 가는데요.
제가 궁금한건 단점이 있을까요?
연비 하락이랑 맵핑으로 인한 as문제등은 당연한 결과이니 논외로 하구요.
그밖의 인젝터라던지 엔진자체의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을까요?
기타 이에 대해 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디젤차량 타고있습니다.
tm이나 팰리 디젤오너중 정차중 진동, 흔히 디딸이라고 하죠.
이때문에 스트레스를 겪는분이 많은것 같습니다.
카페에서 이를 해결하신분이 있으셔서 궁금증이 하나 생겼네요.
미미나 부싱같은 하드웨어를 교체하여 진동을 잡은것은 아니구요.
엔진이 열받은 후 정차중 아이들 알피엠이 보통 700정도 전후인데요. 이때 진동이 좀 크죠.
맵핑을 통해 아이들알피엠을 900정도로 세팅을 하면 엔진자체의 진동이 사그라들어 디딸도 크게 개선된다는 내용입니다.
이유는 이해는 가는데요.
제가 궁금한건 단점이 있을까요?
연비 하락이랑 맵핑으로 인한 as문제등은 당연한 결과이니 논외로 하구요.
그밖의 인젝터라던지 엔진자체의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을까요?
기타 이에 대해 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0.03.17 16:28:08 (*.79.185.18)

너무 높지 않을까요.
구동토크가 높은 디젤은 정차시 드라이브에 물려있으면 엔진이 부하를 받는양이 늘어 엔진이나 미션 둘다 좋은 환경은 아닐듯 한데요.
차라리 정차시 중립을 습관화하는게 어떨까요?
구동토크가 높은 디젤은 정차시 드라이브에 물려있으면 엔진이 부하를 받는양이 늘어 엔진이나 미션 둘다 좋은 환경은 아닐듯 한데요.
차라리 정차시 중립을 습관화하는게 어떨까요?
2020.03.17 16:45:33 (*.246.168.44)
연비 나빠지는거 말고는 이상 없습니다.
완성차 제작사에서도 흔히 쓰는 방법입니다.
isolator 나 마운팅 브라켓등의 하드웨어 변경 없이 아이들시의 주파수비를 바꿔서 절연율이 높아지게 하는겁니다.
완성차 제작사에서도 흔히 쓰는 방법입니다.
isolator 나 마운팅 브라켓등의 하드웨어 변경 없이 아이들시의 주파수비를 바꿔서 절연율이 높아지게 하는겁니다.
2020.03.18 07:57:06 (*.38.35.70)
기본적으론 RPM이 높아지면 진동이 줄어드는데요, 만약 차체 공진RPM이 아이들RPM보다 높은데 있으면 더 안좋아지겠죠... 결론은 차종마다 다르단 얘기입니다.
2020.03.18 08:35:22 (*.103.115.25)
와이프될사람차가 스포티지ql 2.0입니다..
정차시 D에 들어가있으면.. 진동이 상당한데..N으로 바꾸면 진동이없더라구요.
D-N 왕복하는거 별로안좋아하는데.. 한번씩바꿉니다.
아이들링 RPM높은건 큰문제는없습니다. 예전 마이티2.5T같은경우도 초크레버라그러나요. 그걸로 조정해서 탓엇습니다... 카스타..싼타모도..그랫구요.
정차시 D에 들어가있으면.. 진동이 상당한데..N으로 바꾸면 진동이없더라구요.
D-N 왕복하는거 별로안좋아하는데.. 한번씩바꿉니다.
아이들링 RPM높은건 큰문제는없습니다. 예전 마이티2.5T같은경우도 초크레버라그러나요. 그걸로 조정해서 탓엇습니다... 카스타..싼타모도..그랫구요.
2020.03.20 14:37:21 (*.13.101.92)
가족과 함께 타는 데일리카가 카니발 2.2 디젤인데, 정차중 브레이크 꾸욱~ 밟으면 D에서 N으로 슬쩍 이동하는 느낌이 들면서 진동이 조금 줄어듭니다. 디젤차를 오래타서 그런지 진동이나 소음이 크게 신경쓰이진 않네요. 카니발이 고급차도 아니고 엔진 진동 소음외에도 워낙 여기 저기서 소리가 많이 들리는 차량이라..실내 공간이 넓은 차량들은 어쩔수 없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