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유튜브를 보다가 과거 bmw 3시리즈 e36 e46 e90의 4기통 모델들은
fmr에 가까운 엔진배치를 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궁금해져서 질문합니다
1. fmr과 fr을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지?
2. f30이후의 4기통 bmw들은 해당이 안되는지?
감사합니다




2020.04.06 14:50:36 (*.87.61.252)

50:50 에 가까운 무게배분이면 FR 이라고 보고, 후륜을 더 무겁게 해서 45:55 정도로 가면 FMR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러기 위한 조건으로 일단 뒷좌석이 없어야 할 것 같고. 엔진룸의 배치도 앞바퀴 축이 엔진앞쪽에 걸칠만큼 앞으로 가 붙어야 할 것 같아요.
2020.04.06 15:17:00 (*.122.231.252)
제가 알기로는 전륜구동축을 기준으로 엔진의 무게중심이 안쪽으로 들어와 있으면 fmr입니다. 후륜구동은 엔진을 세로로 배치해야하는것이 일반적인데 4기통 엔진이라야 겨우 맞출수 있습니다. 6기통은 직렬은 아무리 안쪽으로 배치해도 fmr이 되기가 어렵습니다.. bmw 4기통 엔진은 다 fmr이라고 할수 있겠죠. 6기통엔진은 fr이구요. 엔진의 무게중심이 앞축의 앞쪽에 있으면 fr, 앞축보다 뒤에 있으면 fmr입니다. fmr의 운동성능이 좋으니 bmw가 애를써서 엔진을 앞바퀴축 안으로 밀어넣는 이유입니다
2020.04.06 16:27:45 (*.191.70.202)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엔진이 앞 차축 뒤로 위치하고 있으면 FMR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AMG GT같은 2인승 스포츠카가 아닌 이상 완전히 앞 차축 뒤로 오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말씀하시는 bmw와 같은 스포츠, 혹은 럭셔리 세단들에서는 옆에서 보았을 때, 앞 차축과 거의 위치가 비슷한 (물론 캐스터각 때문에라도 조금씩 차이가 있긴합니다...) 앞쪽 댐퍼 마운트를 기준으로 엔진이 어디에 위치하느냐로 fmr에 가까운지 아닌지를 보통 이야기 하게 됩니다.
F30 이후 BMW는 물론 다른 브랜드들의 자동차도 이러한 기준에서 FMR에 가깝냐 아니냐를 판단하실 수 있을 것 입니다. 세단에서 FMR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가장 극단적인 사례로 E90 320si를 들 수 있겠습니다.
F30 이후 BMW는 물론 다른 브랜드들의 자동차도 이러한 기준에서 FMR에 가깝냐 아니냐를 판단하실 수 있을 것 입니다. 세단에서 FMR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가장 극단적인 사례로 E90 320si를 들 수 있겠습니다.
2020.04.07 17:25:33 (*.87.61.252)

MR 은 기본적으로 50:50 에 가까운 FR 에 대비하여 45:55 정도로 후륜에 더 무게를 주는 것과 엔진을 센터에 가깝게 배치하여 모멘텀을 줄이는 2가지 특징으로 운동성능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고 MR = FMR + RMR 로 봐서 FMR 이든 RMR 이든 MR 의 특징을 갖되 엔진을 앞에 두었냐 뒤에 두었냐로 봐야 맞다고 봅니다.
그냥 엔진룸의 레이아웃만을 놓고 보는 건 엔진룸 배치방식이고 국소적인 설계의 방법일 것 같아요. 포터도 FMR 이겠네요. 그렇게 보면.
그냥 엔진룸의 레이아웃만을 놓고 보는 건 엔진룸 배치방식이고 국소적인 설계의 방법일 것 같아요. 포터도 FMR 이겠네요. 그렇게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