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부품이야 ebay oem 등 직구하면 되는데 궁금한게
DPF 야 그렇다 치고 오래된 디젤차는 돈이 많이들어간다 하는 이유가 뭘까요?
정녕 dpf 떄문인가요?
아버지가 오래된 디젤차 산다그러는데 질문입니다 (Q7 X5)
과연 연식은 됫어도 13만 이전차량을 사야할지 연식은 덜되엇으나 키로수 많은 차를 사야하나 궁금합니다
DPF 야 그렇다 치고 오래된 디젤차는 돈이 많이들어간다 하는 이유가 뭘까요?
정녕 dpf 떄문인가요?
아버지가 오래된 디젤차 산다그러는데 질문입니다 (Q7 X5)
과연 연식은 됫어도 13만 이전차량을 사야할지 연식은 덜되엇으나 키로수 많은 차를 사야하나 궁금합니다
2020.09.11 16:59:21 (*.250.190.201)
dpf도 그렇고, 카본 빌드업 때문에 그렇습니다. 인테이크같은 부분에 여러모로 카본이 덕지덕지 끼거든요. 장거리를 많이 탄 차량이 되려 마일리지가 적은 차량보다 상태가 더 좋은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시내 주행시에 이런 카본 빌드업에 더욱 취약하다고 알고 있구요. 개인적으로 지금 타는 a7 45tdi가 16만 키로를 돌파했는데, dpf나 인테이크 카본 제거같은 작업은 한 번도 안했습니다만, 장거리를 워낙에 자주 타는 차량인지라 엔진 출력이 줄거나 그런 느낌은 받아본 적이 없네요.
2020.09.11 18:24:47 (*.7.28.180)
아무래도 dpf 상태, 카본누적으로 인한 주기적 클리닝 필요, 예민한 연료라인, 단거리 주행 시 차량 수명에 치명적 등등.. 관리해야할 부분이 꽤 있습니다. 장거리 항속주행 위주의 디젤차량은 생각보다 상태가 양호한 차량이 많은 듯 하더라구요. 고연비로 뽕뽑은 이득을 정비 및 관리하며 굵직하게 지출 하는게 큰거같아요.
2020.09.11 20:15:58 (*.235.41.17)

디젤차를 타고 있는데 연료비로 절감한 이득이 상당히 큰것 같습니다. i40디젤 13년도 부터 지금까지 18만km째 운용중인데 디젤이라서 돈이 든건..10km때 인젝터 동와셔 점검차 교환한것, 연료필터 세번 교환한것 말고는 없네요. 인젝터, 디펩, 터빈이 고가의 부품이긴 하지만 내구성도 좋다고 느끼는데 많이들 예방정비로 인젝터, 흡기, 디펩 클리닝을 하시더라구요. 클리닝 비용 때문에 유지비가 비싸다는 인식이 퍼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비소에 가서 차량의 증상을 말하면 진단하는 척 하다 결국엔 각종 클리닝류로 결론을 짓고 유도하는 경우가 참 많았습니다. 실제로는 크랑크센서나 풀리의 문제였음에도요.
2020.09.11 20:52:21 (*.117.203.9)

일단 디젤차들은 10만키로 넘어가면 목돈 깨지는 주요 부품들이 하나씩 고장나기 시작합니다
인젝터..DPF..터빈... 등 이런것들은 대안도 없고 그냥 정품 써야하는데 수입차는 무지막지하게 비싸죠.. (인젝터 개당 90만원.. 터빈은 250만원 등). 또 여기저기서 하나둘씩 빵꾸나고 새기 시작하고,... 그 외에 평상시 소소한 경정비나 오일교체 이런것도 휘발류차보다 조금씩 더 비쌉니다.
제가 똑같은 키로수 (16만키로) 디젤이랑 휘발류 한대씩 굴리는데, 확실히 나이먹은 디젤은 손이 많이 갑니다.
(bmw나 아우디 동호회 가서 한번 조금만 검색해보세요.)
디젤차는 새차 혹은 키로수 적은 거 사서 고장날때즈음 처분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타이밍 놓치면 기름값으로 아낀거 이상으로 정비비로 지출됩니다
인젝터..DPF..터빈... 등 이런것들은 대안도 없고 그냥 정품 써야하는데 수입차는 무지막지하게 비싸죠.. (인젝터 개당 90만원.. 터빈은 250만원 등). 또 여기저기서 하나둘씩 빵꾸나고 새기 시작하고,... 그 외에 평상시 소소한 경정비나 오일교체 이런것도 휘발류차보다 조금씩 더 비쌉니다.
제가 똑같은 키로수 (16만키로) 디젤이랑 휘발류 한대씩 굴리는데, 확실히 나이먹은 디젤은 손이 많이 갑니다.
(bmw나 아우디 동호회 가서 한번 조금만 검색해보세요.)
디젤차는 새차 혹은 키로수 적은 거 사서 고장날때즈음 처분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타이밍 놓치면 기름값으로 아낀거 이상으로 정비비로 지출됩니다
2020.09.12 10:45:59 (*.7.28.204)
제경우
딱히 문제가 있지는 않았는데
매케한 배기가스 잡아본다고 이짓 저짓하며
헛돈 좀 썼습니다.
잡아보려 애쓰다가(흡기클리닝 dpf클리닝 afs교체 차뽕투입 등등)
현타가와서 다음차는 휘발유다 라고 생각하고 잡는걸 포기
현재는 차 처분후 전기차로 왔습니다ㅋㅋㅋ
딱히 문제가 있지는 않았는데
매케한 배기가스 잡아본다고 이짓 저짓하며
헛돈 좀 썼습니다.
잡아보려 애쓰다가(흡기클리닝 dpf클리닝 afs교체 차뽕투입 등등)
현타가와서 다음차는 휘발유다 라고 생각하고 잡는걸 포기
현재는 차 처분후 전기차로 왔습니다ㅋㅋㅋ
2020.09.12 16:52:47 (*.38.80.162)

모든 부속이 비싸요, 국산 외산 할거 없이.
저는 국산 디젤 38만km 10년째 보유 중인데, 굵직 굵직한 것들 많습니다. 다행히? DPF가 없는 마지막 모델인데, 인젝터는 아직 멀쩡하지만 터빈이 한번 나가면서 전체 오버홀 한번, 체인한번, 외부벨트 외 기타 부속 2회, 헤드 들떠서 재생교체 한번, 듀얼매스플라이휠 3개째 교체했습니다.
오버홀(대략 400)을 제외하곤 무조건 100만원씩이며, 그외 서스펜션, 타이어 등등 도 100씩 드십니다. 모든 부속이 크고 두껍고 비쌀 수 밖에 없는 디젤의 숙명입니다. 연료비는 매우 장점이 있으나 그것이 부속값으로 모두 상쇄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국산 디젤 38만km 10년째 보유 중인데, 굵직 굵직한 것들 많습니다. 다행히? DPF가 없는 마지막 모델인데, 인젝터는 아직 멀쩡하지만 터빈이 한번 나가면서 전체 오버홀 한번, 체인한번, 외부벨트 외 기타 부속 2회, 헤드 들떠서 재생교체 한번, 듀얼매스플라이휠 3개째 교체했습니다.
오버홀(대략 400)을 제외하곤 무조건 100만원씩이며, 그외 서스펜션, 타이어 등등 도 100씩 드십니다. 모든 부속이 크고 두껍고 비쌀 수 밖에 없는 디젤의 숙명입니다. 연료비는 매우 장점이 있으나 그것이 부속값으로 모두 상쇄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020.09.12 19:53:32 (*.195.1.76)
국산 유로5기준으로 나열해보면 흡기매니폴드, acv , egr밸브,egr쿨러,인젝터,연료필터,dpf, 람다센서,차압센서,배기온센서,pm센서 등등 관리해야할부품들이구요,요즘 유로6차량은 요소수 추가되면서 관련부품들이 더 늘었습니다. 가솔린차량대비 부품가격도 적게는 두배 많게는 열배정도 비싸구요. 8~10만정도 주행한 디젤차량 흡기매니폴드 열어보면 느낌옵니다. 개인적으로 디젤은 상용차말고는 퇴출이 정답이라고 봅니다.
2020.09.23 16:31:07 (*.103.115.101)
일단은 단가가 쌘건 누구나 알고있는사실이고...
관리할꺼라면.. 주기적인 연료필터,, 오일교체정도겟지만.. (대충,.,)
세심한 차쟁이들은 또 거기서 안끝나죠.. dpf관리한다 흡기매니카본관리한다 인젝터관리한다, 주기적으로 동와셔 교체해야 할꺼고.. 뭐 그런거지만..
솔직히 이런거 저런거 안따지고 그냥 운송수단으로 타는사람이라면 오일값이 좀 비싸네.. 정도밖에 체감안됩니다..20만키로된 프라이드디젤한대과 8만넘은 스포티지ql있는데..
연료필터. 오일류외에는 별로 신경도 안쓰고 타는차들입니다...
뭐 한방고장나면 가솔린보다 금액이 무시무시하긴합니다.
관리할꺼라면.. 주기적인 연료필터,, 오일교체정도겟지만.. (대충,.,)
세심한 차쟁이들은 또 거기서 안끝나죠.. dpf관리한다 흡기매니카본관리한다 인젝터관리한다, 주기적으로 동와셔 교체해야 할꺼고.. 뭐 그런거지만..
솔직히 이런거 저런거 안따지고 그냥 운송수단으로 타는사람이라면 오일값이 좀 비싸네.. 정도밖에 체감안됩니다..20만키로된 프라이드디젤한대과 8만넘은 스포티지ql있는데..
연료필터. 오일류외에는 별로 신경도 안쓰고 타는차들입니다...
뭐 한방고장나면 가솔린보다 금액이 무시무시하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