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십니까, 현재 기계계열 4년제 재학 중 2학년 수료 후 군복무 중인 학부생입니다. 테드에 계신 마스터님, 그리고 여러 현직자 분들과 매니아 분들 덕분에 아주 어릴 때부터 가지고 있던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지속하며 자동차와 관련된 지식에 대한 갈증을 충족할 수 있었던 것을 행운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 진학 이후부터 좀 더 깊은 호기심(자동미션 유압회로원리, 엔진에 연결된 각종 센서들의 작동원리, 등과 차량동역학 해석)을 충족하고 싶다는 생각을 줄곧 해오다가 공군 운전병으로서 군복무 중 선후임들이 자동차정비기능사, 산업기사, 9급 운전직 공무원 등을 준비하는 것을 보며 제가 얻고자 했던 지식들이 그러한 자격증들을 준비하는 교재에 많이 들어있음을 알게되어 합격을 목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한 번쯤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것이 좋은 방법인지, 아니면, 학부생 신분에 자동차에 좀 더 심화된 지식을 가질 수 있을만한 더 나은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또한 차량동역학에 대해서도 관심이 아주 많습니다. 몇 개의 대학교재들을 알아보았는데 이것을 공부해보는 것 또한 좋은방법일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하지만, 대학 진학 이후부터 좀 더 깊은 호기심(자동미션 유압회로원리, 엔진에 연결된 각종 센서들의 작동원리, 등과 차량동역학 해석)을 충족하고 싶다는 생각을 줄곧 해오다가 공군 운전병으로서 군복무 중 선후임들이 자동차정비기능사, 산업기사, 9급 운전직 공무원 등을 준비하는 것을 보며 제가 얻고자 했던 지식들이 그러한 자격증들을 준비하는 교재에 많이 들어있음을 알게되어 합격을 목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한 번쯤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것이 좋은 방법인지, 아니면, 학부생 신분에 자동차에 좀 더 심화된 지식을 가질 수 있을만한 더 나은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또한 차량동역학에 대해서도 관심이 아주 많습니다. 몇 개의 대학교재들을 알아보았는데 이것을 공부해보는 것 또한 좋은방법일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2020.10.19 01:42:28 (*.33.178.101)

차량정비라는 단편적인 시각에서 봤을때 물론 기계에 대한 이론을 다루기는 하겠으나 기표님이 말씀하신 심화된 지식을 가질수 있는 방법은 자격증 공부에서는 없었던 것으로 압니다. 다만 정비실무직에 계시는 분들도 기능사책 하나는 계속 들여다보시더라구요. 기능사 책 한권과 말씀하신 동역학이나 그밖의 열역학에 대한 전문서를 함께 놓고 공부하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2020.10.19 09:11:36 (*.217.77.53)

완성차 R&D에 관심이 있으시고 본인이 뭔가 해보길 원한다면 자격증은 큰 의미 없습니다.
위에 답변주신 분들 말씀대로 입사시에 가점이 있을수는 있겠네요.
실제 현장에서는 학부 졸업이라면 자격증 여부로는 큰 주목을 받기 힘들고 박사(해외 대학이면 더 좋구요)를 따오신다면 원하는 길에서 목소리내며 일할 수 있을것입니다.
위에 답변주신 분들 말씀대로 입사시에 가점이 있을수는 있겠네요.
실제 현장에서는 학부 졸업이라면 자격증 여부로는 큰 주목을 받기 힘들고 박사(해외 대학이면 더 좋구요)를 따오신다면 원하는 길에서 목소리내며 일할 수 있을것입니다.
2020.10.20 20:15:51 (*.33.153.48)
답변 감사합니다. 사실 그러한 이유로 독일 유학을 생각 중입니다만 여러모로 참 애매한 상황입니다. 독일이 원래 학석사 통합과정 디플롬학위를 수여하다가 볼로냐 협약으로 학사 석사 과정을 분리시켰다지만 여전히 석사까지가 디폴트로 취급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렇다고 석사를 마치고 박사를 독일로 가기에는 차량동역학 분야 석사를 할만한 국내랩이 생각보다 상당히 적고, 부모님들께도 부담이될 거 같습니다.
그렇다고 학부부터 다시 하기에는 독일은 국내대학 재학생이 독일대학 입학을 희망할때 학점인정은 될지몰라도 편입제도는 없다고 해성여러모로 고민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학부부터 다시 하기에는 독일은 국내대학 재학생이 독일대학 입학을 희망할때 학점인정은 될지몰라도 편입제도는 없다고 해성여러모로 고민이 많습니다.
2020.10.19 13:02:38 (*.7.231.232)

기계자동차 4년제 졸업 후 입사 2년차 직장인입니다.
저는 4년제 커리큘럼이 저랑 맞지 않아 정비산업기사를 취득한 케이스구요.
현재 완성차분야는 아니지만 관련분야에 재직중이며 지원 시 그 자격증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그때 그 선택이 매우 옳았던 것 같습니다.
대학교가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 않아요. 진로를 찾는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맛은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심있는 분야가 생겼고, 파고들어간다면 더할 나위 없이 땡큐지요.
전공필수인 각종 역학들이 기초가 되어 전공선택과목에서 자동차 혹은 내연기관, 유압장치 등 관련 강의를 수강하시는 것이 좋겠구요.
위에 분께서도 말씀하셨지만, 심화된 지식만을 위해서 정비자격증을 취득하는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이미 자동차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다 아시는 내용일테니깐요.
오히려 나중에 취업을 위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자동차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는 객관적인 지표로는 증명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저도 그랬구요.
저는 4년제 커리큘럼이 저랑 맞지 않아 정비산업기사를 취득한 케이스구요.
현재 완성차분야는 아니지만 관련분야에 재직중이며 지원 시 그 자격증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그때 그 선택이 매우 옳았던 것 같습니다.
대학교가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 않아요. 진로를 찾는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맛은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심있는 분야가 생겼고, 파고들어간다면 더할 나위 없이 땡큐지요.
전공필수인 각종 역학들이 기초가 되어 전공선택과목에서 자동차 혹은 내연기관, 유압장치 등 관련 강의를 수강하시는 것이 좋겠구요.
위에 분께서도 말씀하셨지만, 심화된 지식만을 위해서 정비자격증을 취득하는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이미 자동차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다 아시는 내용일테니깐요.
오히려 나중에 취업을 위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자동차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는 객관적인 지표로는 증명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저도 그랬구요.
자격증 합격을 위한 요령공부라고 느껐습니다.
하지만 기계전자과 계통 전공분들은 언제 어떤계기로 자동차 관련산업에 입문하게 될지 모르는 만큼 최소 정비기능사, 혹은 산업기사를 를 취득해 놓는것이 필요합니다.
차를 만지며 수익을 얻는 모든 일에는 반드시 자격이 필요하며 차후에 무자격 혹은 무등록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미리 준비해두세요.(제가 고생좀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