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2000년식 E39 M5 차량입니다.
미국에서 작년 11월 구매하였지만 코로나로 인해 올해 6월 한국에 입국했습니다.
관세법이 너무 자주 바뀌는것인지 제가 이사자인지 아닌지도 구분이 확실하지 못하네요.
아무래도 코로나 사태가 지속되다 보니 한국에 1년이상 거주하게 될것 같아 미국에서 차량을 가져올 생각입니다.
그런데 옛날부터 형식승인이 어려워서 만약 이사자로 인정받지 못하면 사실상 차가 세관에 묶이는거 같더군요.
혹시 중고차량 일반 수입 해보신분이 있으시다면 일반차량수입으로 진행될때 형식승인, 배기가스 인증 등 절차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미국에서 작년 11월 구매하였지만 코로나로 인해 올해 6월 한국에 입국했습니다.
관세법이 너무 자주 바뀌는것인지 제가 이사자인지 아닌지도 구분이 확실하지 못하네요.
아무래도 코로나 사태가 지속되다 보니 한국에 1년이상 거주하게 될것 같아 미국에서 차량을 가져올 생각입니다.
그런데 옛날부터 형식승인이 어려워서 만약 이사자로 인정받지 못하면 사실상 차가 세관에 묶이는거 같더군요.
혹시 중고차량 일반 수입 해보신분이 있으시다면 일반차량수입으로 진행될때 형식승인, 배기가스 인증 등 절차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2020.12.01 21:14:28 (*.51.178.234)
잘 모르시면 인증 대행 업체 통해서 하시면 됩니다. 이삿짐 차량 대행 업체는 많이 있습니다. 00년식 차량이면 차량 상태가 관건이겠네요..우선 가져오기전에 인증 가능한지부터 확인해보세요.
2020.12.01 22:06:59 (*.209.114.140)

저는 지난 2011년에 직접 제 차량을 이삿짐 반입했습니다. 그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본인이 관세법 상 이사자로 분류되는지를 확실히 아셔야 합니다. 글로만 보면 정확한 사정을 모르겠으나, 일시 귀국한 상태시라면 이사자로 인정 못받습니다. 영구귀국을 입증하는 증빙 (고용 계약서 등)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이삿짐은 귀국 후 6개월인가 이내에 들여와야 합니다. 그리고 다른 일반 사항 - 해외 거주 2년 또는 가족 동반 시 1년 6개월, 그리고 차량 소유 6개월 이상 등 - 도 다 확인 하셔야 하고요.
저는 관세청에 직접 전화로 문의하여 의문점들을 모두 확인했습니다. 개개인이 케이스가 다 다른 만큼 발품을 파셔야 합니다.
본인이 관세법 상 이사자로 분류되는지를 확실히 아셔야 합니다. 글로만 보면 정확한 사정을 모르겠으나, 일시 귀국한 상태시라면 이사자로 인정 못받습니다. 영구귀국을 입증하는 증빙 (고용 계약서 등)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이삿짐은 귀국 후 6개월인가 이내에 들여와야 합니다. 그리고 다른 일반 사항 - 해외 거주 2년 또는 가족 동반 시 1년 6개월, 그리고 차량 소유 6개월 이상 등 - 도 다 확인 하셔야 하고요.
저는 관세청에 직접 전화로 문의하여 의문점들을 모두 확인했습니다. 개개인이 케이스가 다 다른 만큼 발품을 파셔야 합니다.
2020.12.01 22:25:21 (*.45.211.64)
변현석님 감사합니다.
이사자로 분류되는지가 확실하지 않아 지금 모든게 stop된 상태입니다.
내일 관세청에 직접 연락을 해봐야겠습니다.
원글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제가 유학생이라 4년동안 거주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간 중간 한국으로 자주 나왔던것이 걸립니다. 또한, 한국에 올해 6월에 들어왔는데 이제와서 차량을 운송하려고 하니 이사자로 consider 될지도 모르겠군요. 하지만 코로나 때문에 제 학교생활 또한 halt된 경우라 1년 이상은 한국에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학생은 어떻게 영구귀국을 입증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ㅎ..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현석님.
추후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사자로 분류되는지가 확실하지 않아 지금 모든게 stop된 상태입니다.
내일 관세청에 직접 연락을 해봐야겠습니다.
원글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제가 유학생이라 4년동안 거주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간 중간 한국으로 자주 나왔던것이 걸립니다. 또한, 한국에 올해 6월에 들어왔는데 이제와서 차량을 운송하려고 하니 이사자로 consider 될지도 모르겠군요. 하지만 코로나 때문에 제 학교생활 또한 halt된 경우라 1년 이상은 한국에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학생은 어떻게 영구귀국을 입증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ㅎ..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현석님.
추후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2020.12.02 00:59:41 (*.17.210.16)
이번 여름에 이삿짐으로 차량을 가져왔는데요. 우선 위엣분 말씀처럼 관세청에 연락하시면 자세히 알려주고요. 해운회사에서도 이런 부분에대해 경험이 많아서 잘 알고있고요 서류같은 것들도 직접 다 챙겨줍니다.
말씀하신 것들을 얼핏 봤을때 이사자 자격은 충분히 갖춰진 것 같은데, 한국에 들어오신지 이미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이삿짐으로 가져오실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차를 보낼 때 본인이 직접 싸인해야 될 서류들도 꽤 있어서 한국에서 일을 진행하시면 상당히 번거로우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구귀국 부분은 제 기억에 특별한 증빙을 요구하지는 않았던것 같습니다. 사실상 관세청 쪽에서 알기가 힘든 부분이기도 하고요. 다만 한번 이삿짐으로 차량을 가지고 오면 기록이 남아서 또 이삿짐으로 들여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고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것들을 얼핏 봤을때 이사자 자격은 충분히 갖춰진 것 같은데, 한국에 들어오신지 이미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이삿짐으로 가져오실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차를 보낼 때 본인이 직접 싸인해야 될 서류들도 꽤 있어서 한국에서 일을 진행하시면 상당히 번거로우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구귀국 부분은 제 기억에 특별한 증빙을 요구하지는 않았던것 같습니다. 사실상 관세청 쪽에서 알기가 힘든 부분이기도 하고요. 다만 한번 이삿짐으로 차량을 가지고 오면 기록이 남아서 또 이삿짐으로 들여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고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0.12.02 07:35:22 (*.47.244.112)

최근 귀국하면서 차량 2대 가지고와 하나는 이사짐 하나는 일반수입 진행하엿습니다.
아마 4년 거주하였으면 중간에 한국 들어온 기간이 길지 않다면 무난하게 이사짐 처리 될것 같습니다.
이사짐도 배기검사를 신규검사로 일반 정기 검사보다 까다롭게 하니 그부분을 잘 정비하셔서 들어오셔야 합니다. 그리고 뒤 깜빡이 주황생으로 변경 하셔야하구요. 저는 앞 헤드라이트 새걸로 달고 왓는데 조사각 조절이 안되어있어 재검 나와 검사소 앞에서 헤드랑트 뽑아 다시 조절하고 들어갔었습니다.
혹시 필요하실지 몰라 제가 최근 일반차량 통관 대행맡긴 업체 쪽지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이사짐 차량도 배기 인증 통과 못하면 업체 대행 하셔야 합니다.
아마 4년 거주하였으면 중간에 한국 들어온 기간이 길지 않다면 무난하게 이사짐 처리 될것 같습니다.
이사짐도 배기검사를 신규검사로 일반 정기 검사보다 까다롭게 하니 그부분을 잘 정비하셔서 들어오셔야 합니다. 그리고 뒤 깜빡이 주황생으로 변경 하셔야하구요. 저는 앞 헤드라이트 새걸로 달고 왓는데 조사각 조절이 안되어있어 재검 나와 검사소 앞에서 헤드랑트 뽑아 다시 조절하고 들어갔었습니다.
혹시 필요하실지 몰라 제가 최근 일반차량 통관 대행맡긴 업체 쪽지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이사짐 차량도 배기 인증 통과 못하면 업체 대행 하셔야 합니다.
2020.12.02 09:18:18 (*.70.198.82)

원래는 중간 중간 귀국하셨어도 별 문제 되지는 않는데... 유학생 신분였으니 F-1, I-20, DS-2019, transcript 서류 등에 나와있는 날짜로 이사자 신분을 확인 할거예요. 저도 2011년에 05년식 차량 이삿짐으로 가져왔는데, 미국의 한인 이삿짐 업체와 연결되어있는 국내 업체가 다 진행해 주더군요. 이삿짐 차량은 여러모로 까다롭지 않아서 (OBD2 있으면 정말 쉬운 모양입니다) 인증비용 이사비용에 다 포함시켜서 계약했었죠. 제가 아는 분은 미국에 남겨 놓고 왔던 영타이머가 매각이 안되서 정말 한참 뒤에 반입했어요. 사정상 나중에 반입했어도 미국 거주 기간과 일차하고 귀국 이후로도 본인 명의가 유지되었다는게 차량 타이틀로 설명 되니까 어렵지는 않은 문제 같습니다.
2020.12.02 10:04:50 (*.217.21.18)

최근에 실제로 이삿짐 반입하신 분들의 경험이 중요하니 수소문해서 잘 들어보시길 바래요.
주위 카더라 통신에 의하면 10년전과 지금은 이삿짐 반입의 난이도가 천지 차이라 들었습니다. 관세청도 나름 전문가라 차를 대리로 반입하는지, 본인 자금으로 구입했는지 등등을 꼼꼼히 따질 때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 인기가 많은 차종이면 골치가 많이 아프다더군요.
그리고 글쓴 분은 아마 상황이 나아지면 다시 출국하실 것으로 생각되는데 반입 차량을 다시 가져 가시는 것은 아니겠지요? 가끔 관세청에서는 차량 반입 2-3년 후 차량 행적 조사를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반입 후 판매가 목적이었다고 의심이 들면 고발까지 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주위 카더라 통신에 의하면 10년전과 지금은 이삿짐 반입의 난이도가 천지 차이라 들었습니다. 관세청도 나름 전문가라 차를 대리로 반입하는지, 본인 자금으로 구입했는지 등등을 꼼꼼히 따질 때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 인기가 많은 차종이면 골치가 많이 아프다더군요.
그리고 글쓴 분은 아마 상황이 나아지면 다시 출국하실 것으로 생각되는데 반입 차량을 다시 가져 가시는 것은 아니겠지요? 가끔 관세청에서는 차량 반입 2-3년 후 차량 행적 조사를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반입 후 판매가 목적이었다고 의심이 들면 고발까지 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2020.12.03 08:14:11 (*.90.176.179)
E39 540i 수동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이삿짐으로 보낸 후 11월 말에 받아 어제 등록을 마쳤습니다.
차량을 가지고 있었던 기간은 미국 보험증서와 타이틀로 증명이 가능했으며 출입국 기록 증명서도 준비해야 했습니다.
세관에서 약 창고보관료 및 세금 백만원 중반대로 지불한 후 추후 검사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등화기류
점검을 마친 후 미리 예약해 놓은 교통공단 검사소에서 십삼만원정도 비용을 지불하고 무난히 통과를 할 수 있었습니다.
등록은 가까운 등록소에서 취등록세 삼십만원정도였으며 전체적으로 생각했던것보다 신속한 과정이었습니다.
(미국 DMV에 비하면)
차량 입항 1~2주 전부터 미리 신규검사 예약을 하시는 것이 좋으며 차량 배기가스 기준치 미달이나 부적합한 튜닝이 되어있지 않다면 큰 어려움 없이 통과 가능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차량을 가지고 있었던 기간은 미국 보험증서와 타이틀로 증명이 가능했으며 출입국 기록 증명서도 준비해야 했습니다.
세관에서 약 창고보관료 및 세금 백만원 중반대로 지불한 후 추후 검사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등화기류
점검을 마친 후 미리 예약해 놓은 교통공단 검사소에서 십삼만원정도 비용을 지불하고 무난히 통과를 할 수 있었습니다.
등록은 가까운 등록소에서 취등록세 삼십만원정도였으며 전체적으로 생각했던것보다 신속한 과정이었습니다.
(미국 DMV에 비하면)
차량 입항 1~2주 전부터 미리 신규검사 예약을 하시는 것이 좋으며 차량 배기가스 기준치 미달이나 부적합한 튜닝이 되어있지 않다면 큰 어려움 없이 통과 가능하시리라 생각됩니다.
2020.12.03 21:16:27 (*.45.211.64)
답변 해주신 모든 분들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12월의 레포트 폭탄을 맞고 나니 정말 24시간이 부족한것이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테드에 눈팅하러 들어올 시간마저 나오지 않는군요..
내일즈음 세관에서 이사자 자격 판정이 나올듯 하니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12월의 레포트 폭탄을 맞고 나니 정말 24시간이 부족한것이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테드에 눈팅하러 들어올 시간마저 나오지 않는군요..
내일즈음 세관에서 이사자 자격 판정이 나올듯 하니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