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궁금한것이 문득 생겨 질문 글 올려봅니다.
일반 차량에 사제터보 업그레이드를 하는 경우가 많던데요
보통 일반적으로 터보 업그레이드 후 피스톤 컨로드 까지 업그레이드를 하더군요.
근데 어떤분은 일반 na 차량에 터보만 업그레이드 하고 피스톤 업그레이드는 안하면서 고급유 세팅으로만 다닙니다.
여기서 궁금한것이
1. 일반 na 차량에 터보 업그레이드 후 피스톤 컨로드 까지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을때 문제점이 무엇이 있는지
2. 터보 업그레이드 후 피스톤 컨로드 업그레이드 까지 하고 나면 무엇이 달라지는건지 (왜 하는건지?)
3. 피스톤 컨로드 업그레이드를 하면 압축비 작업이라는게 기본적으로 들어가는건지
4. 압축비 작업이라는게 정확히 무엇인지
입니다.
예전부터 너무 궁금했는데 부탁드립니다.
궁금한것이 문득 생겨 질문 글 올려봅니다.
일반 차량에 사제터보 업그레이드를 하는 경우가 많던데요
보통 일반적으로 터보 업그레이드 후 피스톤 컨로드 까지 업그레이드를 하더군요.
근데 어떤분은 일반 na 차량에 터보만 업그레이드 하고 피스톤 업그레이드는 안하면서 고급유 세팅으로만 다닙니다.
여기서 궁금한것이
1. 일반 na 차량에 터보 업그레이드 후 피스톤 컨로드 까지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을때 문제점이 무엇이 있는지
2. 터보 업그레이드 후 피스톤 컨로드 업그레이드 까지 하고 나면 무엇이 달라지는건지 (왜 하는건지?)
3. 피스톤 컨로드 업그레이드를 하면 압축비 작업이라는게 기본적으로 들어가는건지
4. 압축비 작업이라는게 정확히 무엇인지
입니다.
예전부터 너무 궁금했는데 부탁드립니다.
2021.01.25 06:33:48 (*.195.1.76)
피스톤과 커넥팅로드를 교환하는경우는 두가지이유가 있습니다.
강성과 내구성을 높여서 보다높은 부스트압력을 견딜수있게끔 하는것이구요 결국 출력 올리기위함입니다
자연흡기엔진에 과급기를 장착하기위해서는 압축비를 낮춰야합니다. 차저에서 압축된공기를 엔진으로 보내기때문에 기존압축비로는 노킹을 피할수없지요
압축비라는건 피스톤이 최저에 있을때와 최고에 있을때의 실린더 용량의 비율을 말합니다.
자연흡기의경우 노킹을 제어할수있는범위내에서 가능한 최고의 압축비를 얻었을때 최고출력이 나오겠지요.
기본세팅에서는 보다 두꺼운 헤드가스켓을 장착하여 압축비를 낮추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최고출력지향을위해 환경을 저해하는방법인 촉매제거나 웨이스트게이트 대기방출을 하는 튜닝은 절대 하지말아야할 것입니다.
강성과 내구성을 높여서 보다높은 부스트압력을 견딜수있게끔 하는것이구요 결국 출력 올리기위함입니다
자연흡기엔진에 과급기를 장착하기위해서는 압축비를 낮춰야합니다. 차저에서 압축된공기를 엔진으로 보내기때문에 기존압축비로는 노킹을 피할수없지요
압축비라는건 피스톤이 최저에 있을때와 최고에 있을때의 실린더 용량의 비율을 말합니다.
자연흡기의경우 노킹을 제어할수있는범위내에서 가능한 최고의 압축비를 얻었을때 최고출력이 나오겠지요.
기본세팅에서는 보다 두꺼운 헤드가스켓을 장착하여 압축비를 낮추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최고출력지향을위해 환경을 저해하는방법인 촉매제거나 웨이스트게이트 대기방출을 하는 튜닝은 절대 하지말아야할 것입니다.
2021.01.26 15:58:26 (*.165.81.156)
제가 아는 선이라면...압축비는 노킹문제랑 연관이 있는걸로 알고있어요. 실린더 체적과 연소실간의 비율이 압축비인데 과급은 대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실린더에 공기를 압축시키니 조금더 이른시기에 조기점화가 되버리는 조건이 된다? 라고 알고있습니다ㅎㅎ
그래서 저는 실린더 체적 그 이상의 공기량이 들어가니 압축시킬 공기량이 많아져 실질적인 압축비가 높아 진다 정도로 정리해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실린더 체적 그 이상의 공기량이 들어가니 압축시킬 공기량이 많아져 실질적인 압축비가 높아 진다 정도로 정리해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2021.01.28 19:52:43 (*.184.5.119)
1.출력이 업된만큼 내구성을 확보하기위해 더 강한 부픔으로 바꾸는겁니다.
2.안하면 순정피스톤과 컨로드는 약해서 부스트압력을 많이 쓰기 어렵습니다.
3.엄밀히 압축비는 따로 생각해야합니다. 그냥 겸사겸사 같이해서 낮추는거죠 노킹도 방지하고..
어쩃든 내구성을위해서 하는겁니다.
4.피스톤이 상승해서 상사점을찍을떄 공기를 압축하고 폭발을 시킵니다.
이떄 실린더하고 헤드 사이가 좁을수록 압축이 커지는거고 넓을수록 압축이 낮아지죠..
압축이 클수록 폭발력은 강해지지만 노킹이 생길여지가 더욱 커집니다.
그래서 압축을 낮추기위해 실린더와 헤드사이에 높이가 좀 있는 가스켓을쓰거나 해서 압축비를
낮추거나 합니다.
2.안하면 순정피스톤과 컨로드는 약해서 부스트압력을 많이 쓰기 어렵습니다.
3.엄밀히 압축비는 따로 생각해야합니다. 그냥 겸사겸사 같이해서 낮추는거죠 노킹도 방지하고..
어쩃든 내구성을위해서 하는겁니다.
4.피스톤이 상승해서 상사점을찍을떄 공기를 압축하고 폭발을 시킵니다.
이떄 실린더하고 헤드 사이가 좁을수록 압축이 커지는거고 넓을수록 압축이 낮아지죠..
압축이 클수록 폭발력은 강해지지만 노킹이 생길여지가 더욱 커집니다.
그래서 압축을 낮추기위해 실린더와 헤드사이에 높이가 좀 있는 가스켓을쓰거나 해서 압축비를
낮추거나 합니다.
1. 피스톤 뚫어지고 컨로드 휘어짐. 저압터보는 가능 고압터보는 불가
2. 터보 압력을 고압으로 높혀서 고 출력가능
3. 터보차들은 압축비가 낮아요.. 압축비는 낮추고 압은 높히고 하는거겠죠? 그것은 결국 또 엔진의 열관리에도 연관이 있고., 열관리는 또 엔진노킹과 관련 있고..
4. 피스톤이 상사점에 올랐을때의 압력인데 상사점을 조정하는거라보시면 됩니다.. 주시기 피스톤을 덜 밀어올린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