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공회전에 대하여 질문드리려합니다.
환경등 오염물질 배출등의 문제는 제외하고
공회전시 자동차만 봤읕때 이게 극한 환경인가요?
차박시나 다른 영업용차량도 장시간 시동을 킨걸보는데
연료소모와 환경문제등을 제외하고 공회전재체가 극한환경일까요?
고견부탁드립니다.
공회전에 대하여 질문드리려합니다.
환경등 오염물질 배출등의 문제는 제외하고
공회전시 자동차만 봤읕때 이게 극한 환경인가요?
차박시나 다른 영업용차량도 장시간 시동을 킨걸보는데
연료소모와 환경문제등을 제외하고 공회전재체가 극한환경일까요?
고견부탁드립니다.
2021.02.05 08:18:38 (*.229.221.18)
휘발류차는 저rpm이 고rpm보다 극한 환경이라고 들었습니다. 저rpm에서 시스템이 매우 불안정하다고 합니다. 디젤은 반대구요. 공회전시 그냥 최고속 주행중과 비슷한 부하라고 보시면됩니다
2021.02.05 19:19:16 (*.47.132.42)
엔진은 수시로 열이 올랐다 내렸다하는 기계라 공회전만 하면 냉각도 잘 안되고 온도 차이로 엔진 내부에 생긴 물이 증발하지 못해 엔진에 치명적인 한방을 날릴 수 있습니다. 시내주행만 하는 차량들의 엔진 수명이 막 밟고다니는 차들보다 짧은 이유도 여기에서 나옵니다. 열이 오를라하면 식고 오를라하면 식어서 내부에 생긴 수분을 제때 날리지 못합니다. 해서 시내주행이나 사막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경우 엔진오일 교환 주기가 5천키로미터에 고정되는것이지요. 이거 잘 안지켜주면 엔진오일에 정말 예민한 엔진들 예를 들면 세타같은건 피로누적으로 컨로드가 블럭을 뚫고 나오기도합니다
2021.02.09 09:45:26 (*.50.189.84)

자동차는 달려야지 냉각이 원할합니다. 공회전을 너무 오래하면 공기흐름이 원할하지못해 열이 올라갑니다.
냉각수도 계속 뜨거워지고 거기에 따른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공회전은 위험하다고 생각됩니다
냉각수도 계속 뜨거워지고 거기에 따른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공회전은 위험하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