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제 평생 처음으로 차를 구입하였습니다.
포르테 1.6 sli 입니다.
성격 자체가 기계를 좋아하고 매뉴얼을 많이 따르려고 하는데
길들이기 참 궁금합니다.
우선 제 생각은 첫 500km 정도까지는 시속 80km를 안넘기고 rpm도 3000 이상을 쓰지 않고 있습니다.
이틀만에 450km를 타버렸는데 시내와 시외 비율로는 2:8 정도?
앞으로의 차량 주행 비율은 시내/외 8:2 입니다.
답답합니다....
우선 질문은...
1. rpm 좀 높이고 속력도 좀 올려도 될까요? 안되신다고 말씀하시면 대략 몇 km이상 달린다음 올릴까요?
(제가 차량 최고속도를 자주 쓰거나 차를 아주 와일드하게 몰지는 않습니다. 실력도 없구요)
2. 첫 엔진오일은 1000km 되어서 갈아주면 되나요?
3. Q&A에서 길들이기 관련 글들은 다 보았는데 몇 km까지 길들이기를 해야하는지 의견이 분분해서...
또 국산1600cc 엔진에 대한 길들이기는 어떻게 하는지? 예를 들면 몇km까지는 rpm이나 최고속도 여부 등...
4. 그 외 주의사항은 어떤게 있는지,
번거로운 질문들이지만 여러분들의 도움을 구합니다.
포르테 1.6 sli 입니다.
성격 자체가 기계를 좋아하고 매뉴얼을 많이 따르려고 하는데
길들이기 참 궁금합니다.
우선 제 생각은 첫 500km 정도까지는 시속 80km를 안넘기고 rpm도 3000 이상을 쓰지 않고 있습니다.
이틀만에 450km를 타버렸는데 시내와 시외 비율로는 2:8 정도?
앞으로의 차량 주행 비율은 시내/외 8:2 입니다.
답답합니다....
우선 질문은...
1. rpm 좀 높이고 속력도 좀 올려도 될까요? 안되신다고 말씀하시면 대략 몇 km이상 달린다음 올릴까요?
(제가 차량 최고속도를 자주 쓰거나 차를 아주 와일드하게 몰지는 않습니다. 실력도 없구요)
2. 첫 엔진오일은 1000km 되어서 갈아주면 되나요?
3. Q&A에서 길들이기 관련 글들은 다 보았는데 몇 km까지 길들이기를 해야하는지 의견이 분분해서...
또 국산1600cc 엔진에 대한 길들이기는 어떻게 하는지? 예를 들면 몇km까지는 rpm이나 최고속도 여부 등...
4. 그 외 주의사항은 어떤게 있는지,
번거로운 질문들이지만 여러분들의 도움을 구합니다.
2009.06.28 02:18:13 (*.126.97.101)

개인적으로 그냥 1000킬로 정도 선 오일 확인해 보고 교환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보고 알피엠 리밋을 풀어버립니다만..ㅡ_-;
2009.06.28 08:30:14 (*.64.226.3)

그냥 평소 실주행 하시는대로 쭈우욱 타고 다니시는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물론 최고속이나 최고 RPM만 자제하면...)
2009.06.28 08:41:48 (*.140.140.177)

곧 500km 채우시겠네요 ^^
슬슬 이후부턴 RPM 올려가면서 1000 까진 대략 4000RPM 정도까지로 조금씩 올리고,
오일 좀 확인해본 후, 이후 편하게 타시면 될듯 합니다..
제 경우는 1000kw 까지 4000, 오일교환하고 2000km 까지 5000RPM, 다시 오일교환하고 완전 프리.. 식으로 길들이기를 하긴 했었습니다..만, 그래도 최고 성능이 나오는건 5000km 이후쯤 부터였던듯 합니다.
슬슬 이후부턴 RPM 올려가면서 1000 까진 대략 4000RPM 정도까지로 조금씩 올리고,
오일 좀 확인해본 후, 이후 편하게 타시면 될듯 합니다..
제 경우는 1000kw 까지 4000, 오일교환하고 2000km 까지 5000RPM, 다시 오일교환하고 완전 프리.. 식으로 길들이기를 하긴 했었습니다..만, 그래도 최고 성능이 나오는건 5000km 이후쯤 부터였던듯 합니다.
2009.06.28 09:46:36 (*.124.129.114)
굳이 너무 특정 RPM을 지키려고 노력안하셔도 됩니다.. 도심에서 너무 무리한다라는 급가속만 안하면서 자연스럽게 흐름을 따라다니면 된답니다.. 특정RPM 을 지키려고 노력하게 되면 도심에서 거북이 주행차가 되어버린답니다..
2009.06.28 10:02:43 (*.222.63.27)
전 1000km까지 풀쓰로틀만 피하면서 타고요...1000km에서 오일 한번 교환하고 리밋 해제 시킵니다...글구 5000km에서 또 오일 한번 교환하고 이후 계속 5000km마다 오일 교환 하는식으루 하구 있습니다...
2009.06.28 10:37:16 (*.71.86.17)

시내주행에서는 급가속 급추월 급제동만 피하시고, 고속도로 가시면 엔진영역을 골고루 쓸수있는데, 이 역시도 급가속은 좋지 않습니다. 부드럽게 알피엠을 올려주시면 됩니다.
즉 D 드라이브에서 킥다운으로 알피엠을 쓰면 다시 안전속도를 맞추다보면 오버 드라이브로 주행하게 되어서 제대로 길들이기 힘듭니다. 그래서 오토미션이라면 3단 고정해놓고, 시속 100km/h 속도에서 가감속을 부드럽게 하면서 길들이시면 충분합니다.
초반 출발하실때도 2단에서 3000rpm 정도에서 변속하는 수고를 해주셔도 좋구요. 1000km 정도 주행하고 엔진오일 교환은 개인적 취향일뿐입니다. 엔진을 굉장히 소중히 여기시는분들은 1000km에서 보통 교환을 많이 하지요. 그런데 엔진오일은 교환 잘하는데 다른 부품이나 소모품 고장나면 솔직히 돈이 아깝다 생각하시는 부류는 그냥 5000km 이상 주행하고 교환하시면 크게 이상 없습니다. 차라리 엔진오일 한번 더 교환할 돈으로 다른 소모품 교환하는게 낳죠. 그렇게 하고 5000km에서 한번 교환하고 그 다음부터 10000km에서 교환하고 그런식입니다.
어느정도 초반 길들이기가 끝났다 싶으면 급가속 급제동 급출발 등을 시도하시는데요. 이 역시 좋지 않습니다. 나중에 고속 길들이기 하실때도 알피엠 영역만 4000rpm 5000rpm 6000rpm 단계적으로 올라가는거죠. 그리고 5000rpm 이상의 가혹조건일 경우에는 광유가 아니라 합성유를 쓰시면 좋습니다.^^
즉 D 드라이브에서 킥다운으로 알피엠을 쓰면 다시 안전속도를 맞추다보면 오버 드라이브로 주행하게 되어서 제대로 길들이기 힘듭니다. 그래서 오토미션이라면 3단 고정해놓고, 시속 100km/h 속도에서 가감속을 부드럽게 하면서 길들이시면 충분합니다.
초반 출발하실때도 2단에서 3000rpm 정도에서 변속하는 수고를 해주셔도 좋구요. 1000km 정도 주행하고 엔진오일 교환은 개인적 취향일뿐입니다. 엔진을 굉장히 소중히 여기시는분들은 1000km에서 보통 교환을 많이 하지요. 그런데 엔진오일은 교환 잘하는데 다른 부품이나 소모품 고장나면 솔직히 돈이 아깝다 생각하시는 부류는 그냥 5000km 이상 주행하고 교환하시면 크게 이상 없습니다. 차라리 엔진오일 한번 더 교환할 돈으로 다른 소모품 교환하는게 낳죠. 그렇게 하고 5000km에서 한번 교환하고 그 다음부터 10000km에서 교환하고 그런식입니다.
어느정도 초반 길들이기가 끝났다 싶으면 급가속 급제동 급출발 등을 시도하시는데요. 이 역시 좋지 않습니다. 나중에 고속 길들이기 하실때도 알피엠 영역만 4000rpm 5000rpm 6000rpm 단계적으로 올라가는거죠. 그리고 5000rpm 이상의 가혹조건일 경우에는 광유가 아니라 합성유를 쓰시면 좋습니다.^^
2009.06.28 12:18:33 (*.32.123.18)

길들이기가 여러 미세한 유격들이 자리를 잡게 만든단 전제하에, rpm 은 점차 최대한 골고루 사용해 주시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6천 rpm 을 쓴다고 해도 풀스로틀이 아닌 6천 rpm 으로 시속 50 키로에서 0.1 g 로 가속 뭐 이런식으로요.
사실 길들이기 해봤자 별 영향이 없는게 현실일 겁니다.
사실 길들이기 해봤자 별 영향이 없는게 현실일 겁니다.
2009.06.28 13:04:09 (*.133.99.122)

매뉴얼대로 그냥 3000km까지는 급가속만 자제하시고 3000rpm 이하로 다닌다면 크게 스트레스 받을 일은 없습니다.
요즘차는 1000km에 오일교환은 너무 빠른 것 같고 2000~3000km에 첫 교환하면 적당한 듯 하네요. 제 제네시스 쿠페도 이제 3000km 뛰었는데 오일도 깨긋합니다.
3000km 지난 다음에는 그냥 내키는 대로 타되 오일점검과 교환만 제대로 하면 문제 없는 듯 합니다. 저는 3000rpm 지나서는 내키는 대로 과거의 신차를 탔는데 다들 연비 잘 나오고 문제도 없었습니다.
그 외 중고차들도 누가 어떻게 길들이기 했는지도 모르고 탔지만 다들 연비 괜찮도 문제도 없더군요. 제 생각엔 길들이기 보다도 사후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멀쩡한 차를 오일량 체크도 안하고 고속주행하다가 오일부족으로 엔진 말아먹는 경우도 봤으니까요.
요즘차는 1000km에 오일교환은 너무 빠른 것 같고 2000~3000km에 첫 교환하면 적당한 듯 하네요. 제 제네시스 쿠페도 이제 3000km 뛰었는데 오일도 깨긋합니다.
3000km 지난 다음에는 그냥 내키는 대로 타되 오일점검과 교환만 제대로 하면 문제 없는 듯 합니다. 저는 3000rpm 지나서는 내키는 대로 과거의 신차를 탔는데 다들 연비 잘 나오고 문제도 없었습니다.
그 외 중고차들도 누가 어떻게 길들이기 했는지도 모르고 탔지만 다들 연비 괜찮도 문제도 없더군요. 제 생각엔 길들이기 보다도 사후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멀쩡한 차를 오일량 체크도 안하고 고속주행하다가 오일부족으로 엔진 말아먹는 경우도 봤으니까요.
2009.06.28 17:25:43 (*.46.122.32)

그냥 '기분상'이 더 큰 것 같습니다. 말하는 사람마다 다르고,, 그 어디에도 엔진 길들이기에 대한 정석으로서 공식화 되어있는 자료는 없더군요. 그냥 무슨 물건이든지 첨 나왔을때에는 살살 다뤄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인것 같습니다.
저도 조만간 1600cc급 신차를 사게 될지도 모르겠는데, 출고장에서 차 받자마자 고속도로타고 지방(경상도) 외갓집 한 번 살살 다녀오고 바로 오일 갈고 막 탈 계획입니다..^^; 어차피 길들이기가 좋다 한들, 서울 시내에서는 그걸 잘 지키기도 힘들테니깐요..
저도 조만간 1600cc급 신차를 사게 될지도 모르겠는데, 출고장에서 차 받자마자 고속도로타고 지방(경상도) 외갓집 한 번 살살 다녀오고 바로 오일 갈고 막 탈 계획입니다..^^; 어차피 길들이기가 좋다 한들, 서울 시내에서는 그걸 잘 지키기도 힘들테니깐요..
2009.06.28 20:47:11 (*.174.211.232)

그냥 타세요....... 적당힌 고른회전구간에 따른 고른변속으로 부드럽게 즐기시면 됩니다....
"급" 한 운전을 피하시면 됩니다. ^^
"급" 한 운전을 피하시면 됩니다. ^^
2009.06.28 21:51:30 (*.46.156.131)
메이커에서도 길들이기가 있다고합니다. 그것도 '연비인증용'과 '출력인증용' 길들이기가 따로 있다더군요......
.......근데 일반인들은 그냥 타도 상관없습니다; 큰 차이가 있는것도 아니구요.
레이싱캠프 단장님들은 '주행거리 0km일때부터 레드존까지 밟아대라'라는 분들도 계시던데 그건 좀 오버같구요;; 제 경우는 1000km를 끝으로 봅니다. 1000km 넘자마자 기념으로 레드존까지 밟았습니다.ㅋㅋ
탁송트럭에서 내리자마자 1,2,3단 레드존까지 올리며 시험주행 해보는 오너도 있더군요.
.......근데 일반인들은 그냥 타도 상관없습니다; 큰 차이가 있는것도 아니구요.
레이싱캠프 단장님들은 '주행거리 0km일때부터 레드존까지 밟아대라'라는 분들도 계시던데 그건 좀 오버같구요;; 제 경우는 1000km를 끝으로 봅니다. 1000km 넘자마자 기념으로 레드존까지 밟았습니다.ㅋㅋ
탁송트럭에서 내리자마자 1,2,3단 레드존까지 올리며 시험주행 해보는 오너도 있더군요.
2009.06.28 22:39:50 (*.135.228.27)

차를 몇년 타실건가요?
10년 이상 타실거라면 3천km까지는 3천rpm부근까지만 사용하시구요...
5년 정도 타실거라면 3천 km까지는 4천rpm이하로만 사용하시면 되구요...
3년 타고 파실거라면 그냥 조지시면 됩니다 ^^v
10년 이상 타실거라면 3천km까지는 3천rpm부근까지만 사용하시구요...
5년 정도 타실거라면 3천 km까지는 4천rpm이하로만 사용하시면 되구요...
3년 타고 파실거라면 그냥 조지시면 됩니다 ^^v
2009.06.30 07:56:27 (*.99.85.2)
우리나라 연비 인증은 200?년 부터 길들이기를 하지 않은 차로 검사합니다...
예전엔 6400 km 길들이기가 끝난 차량으로 연비 인증을 받았지만
최근엔 전부 길들이기를 하지 않은 새차로 인증을 받습니다.
예전엔 6400 km 길들이기가 끝난 차량으로 연비 인증을 받았지만
최근엔 전부 길들이기를 하지 않은 새차로 인증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