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뭔가 결정장애가 생기면 여길 찾게 되네요.
그 간의 S2000 근황을 포함 코일오버 관련 질문 올려봅니다.
저는 현재 미국에 서식 중이고 작년 12월 2001년식 S2000을 입양하고 7개월 남짓 지났습니다.
그 사이에 서킷도 한번 다녀오고 각종 메인터넌스를 혼자 해결하며 즐기고 있습니다.
각종 오일류 (엔진오일, 트랜스미션오일, 디프오일, 브레이크/클러치 오일), 클러치 마스터/슬레이브 실린더, 브레이크 호스/패드, 스파크 플러그 교체를 포함하여 최근 엔진/미션 마운트 교환, 흡기포트 청소와 헤드커버 개스킷 교체 그리고 정말 힘들었던 캘리퍼 리빌드, 도색까지 마쳤고 전반적인 차의 상태는 좋습니다.
20년된 순정 서스펜션을 제외하고요.
사진 몇 장 올려보면...
이제 10만마일(16만km)이 갓 지났습니다.

밸런스가 좋은 차량입니다. 단무지 색깔이라 좀 튀긴 하지많요.

깨끗한 엔진룸은 차량 관리의 시작이죠 ㅎㅎ

엔진 속도 깨끗한 편입니다.

몇 가지 생각중인 코일오버입니다.
동급 서스들이 아니라서 비교가 의미는 없지만...
기왕이면...좀 더 보태면...서킷을 생각하면...이러면서 고민이 시작되고 결정 장애가 왔네요.
1. Bilstein B14
가격: 1000불 내외
장점: 비교적 저렴한 가격, 내구성, 순정 승차감
단점: 댐핑 조절 안됨, 서킷용으로는 다소 부족
(빌스타인 B16은 포럼에서 애매한 가격에 애매한 댐핑 조절 능력으로 추천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어서 제외했습니다.)
2. 올린즈 Road and Track
가격: 2200불 내외
장점: 고급진 승차감, 서킷 커버
단점: 가격, 잦은 오버홀 필요성
3. AST 4100
가격: 2700불 내외
장점: 하이엔드 모노튜브, 서킷 최적화
단점: 가격, 복잡한 오버홀 (본사로 보내야)
Road (99%) 와 Track (1%) 배분을 고려하면 1번이 가장 효율적일 것 같고...
최대 예산 한도 250정도로 생각하면 올린즈가 가능하지만 오버홀 비용이 4짝 112만원으로 B14 가격보다 높네요. ㅎㅎㅎ
AST 4100는 1년에 1번 혹은 2번 가는 서킷 때문에 고려 대상이 될지....
경험해보신 분들의 조언 부탁 드립니다.
뭔가 결정장애가 생기면 여길 찾게 되네요.
그 간의 S2000 근황을 포함 코일오버 관련 질문 올려봅니다.
저는 현재 미국에 서식 중이고 작년 12월 2001년식 S2000을 입양하고 7개월 남짓 지났습니다.
그 사이에 서킷도 한번 다녀오고 각종 메인터넌스를 혼자 해결하며 즐기고 있습니다.
각종 오일류 (엔진오일, 트랜스미션오일, 디프오일, 브레이크/클러치 오일), 클러치 마스터/슬레이브 실린더, 브레이크 호스/패드, 스파크 플러그 교체를 포함하여 최근 엔진/미션 마운트 교환, 흡기포트 청소와 헤드커버 개스킷 교체 그리고 정말 힘들었던 캘리퍼 리빌드, 도색까지 마쳤고 전반적인 차의 상태는 좋습니다.
20년된 순정 서스펜션을 제외하고요.
사진 몇 장 올려보면...
이제 10만마일(16만km)이 갓 지났습니다.

밸런스가 좋은 차량입니다. 단무지 색깔이라 좀 튀긴 하지많요.
깨끗한 엔진룸은 차량 관리의 시작이죠 ㅎㅎ

엔진 속도 깨끗한 편입니다.

그리고 정말 힘들었던 캘리퍼 도색과 리빌드
이제 사망한 순정 서스펜션을 대체할 코일오버를 물색중인데요.
몇 가지 생각중인 코일오버입니다.
동급 서스들이 아니라서 비교가 의미는 없지만...
기왕이면...좀 더 보태면...서킷을 생각하면...이러면서 고민이 시작되고 결정 장애가 왔네요.
1. Bilstein B14
가격: 1000불 내외
장점: 비교적 저렴한 가격, 내구성, 순정 승차감
단점: 댐핑 조절 안됨, 서킷용으로는 다소 부족
(빌스타인 B16은 포럼에서 애매한 가격에 애매한 댐핑 조절 능력으로 추천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어서 제외했습니다.)
2. 올린즈 Road and Track
가격: 2200불 내외
장점: 고급진 승차감, 서킷 커버
단점: 가격, 잦은 오버홀 필요성
3. AST 4100
가격: 2700불 내외
장점: 하이엔드 모노튜브, 서킷 최적화
단점: 가격, 복잡한 오버홀 (본사로 보내야)
Road (99%) 와 Track (1%) 배분을 고려하면 1번이 가장 효율적일 것 같고...
최대 예산 한도 250정도로 생각하면 올린즈가 가능하지만 오버홀 비용이 4짝 112만원으로 B14 가격보다 높네요. ㅎㅎㅎ
AST 4100는 1년에 1번 혹은 2번 가는 서킷 때문에 고려 대상이 될지....
경험해보신 분들의 조언 부탁 드립니다.
2021.07.06 15:04:17 (*.70.58.145)
흐...엔진이 새것 같습니다.
도로가 좋은데 사시는지요? 저는 미국에서는 코일오버 쓰기가 너무 무섭더군요. 워낙 인건비가 비싼 동네이기도 하고 순정 신품 쇽은 어떠신지요 ㅎㅎ
도로가 좋은데 사시는지요? 저는 미국에서는 코일오버 쓰기가 너무 무섭더군요. 워낙 인건비가 비싼 동네이기도 하고 순정 신품 쇽은 어떠신지요 ㅎㅎ
2021.07.07 02:25:37 (*.116.135.117)

올린즈 dfv는 리빌드 주기가 꽤나 긴걸로 읽었습니다.
oem+가 목표시고 올린즈 가격 지출이 부담되시면 s2k엔 koni yellow 를 추천드립니다.
내구성도 순정 못지않게(포럼에 의하면) 좋고 스프링도 꽤나 소프트하구요, 댐핑도 조정 가능합니다.
s2ki같은 포럼에 보시면 꽤나 장착기랑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sleeve 까지 같이 장착하시면 다른 코일오버들 처럼 차고 조정도 가능해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oem+가 목표시고 올린즈 가격 지출이 부담되시면 s2k엔 koni yellow 를 추천드립니다.
내구성도 순정 못지않게(포럼에 의하면) 좋고 스프링도 꽤나 소프트하구요, 댐핑도 조정 가능합니다.
s2ki같은 포럼에 보시면 꽤나 장착기랑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sleeve 까지 같이 장착하시면 다른 코일오버들 처럼 차고 조정도 가능해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2021.07.08 06:48:55 (*.250.52.2)
고민끝에 올린즈로 결정했습니다.
가성비 제품으로 가면 추후 중복투자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문제 발생시 올린즈 코리아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선택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가성비 제품으로 가면 추후 중복투자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문제 발생시 올린즈 코리아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선택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저도 플레이노에 서식중인데 트랙 어디로 다녀오셨나요? MSR @ Cresson 아니면 이글즈캐년 가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