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몇 년 만의 웹사이트 방문인지 모르겠네요.
2016년 귀국 후 출퇴근용 스파크와 가족용 시에나를 장만하였고, 정신없이 일하며 안정을 찾고보니 중장거리 출장시 운전이 싫어 KTX 예약을 하는 모습에 '언제부터 내가 운전을 싫어했었나...' 싶어 새삼 testdrive에 접속 해 봅니다.
미국에서 떠나오기 전까지는 나름 주말마다 정성들여 자가정비 한 2004년식 e46 330i를 타고 신나게 출퇴근을 했었지요.
저는 핸들링, 엔진의 회전질감, 코너링이나 넘치는 힘, 배기 사운드 이런 것은 잘 모르지만 120% 만족했었습니다.
엉덩이 밑에 충분한 힘을 묻어놓은 채 60 mph (100km/h) 부근의 속도에서 유유자적 달리는 그 느낌에 출근하는 기분이 상쾌해지고 퇴근하면서 스트레스를 날리고는 했습니다. M3가 아니어도, AMG가 아니어도 e46 330i 정도면 제게는 충분했습니다.
사실, 저 정도의 자동차 문외한이 두어시간 100km/h 항속을 하며 기분을 내기에는 스파크도 충분합니다만, 엉덩이 밑에 숨겨놓은 힘이 있고 없고 기분의 차이랄까요, 그리고 노면을 누르면서 달린다기보다는 노면을 타면서 달린다랄까요, 뭔가 방방거리면서 달리는 스파크의 느낌보다는 좀 더 묵직한 차를 몰고 달리고 여유를 느끼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차를 사고 싶습니다.
한 달에 한 번 출장 가는 길, 왕복 400km 정도를 창문을 열고 새벽 바람을 쐬며 노면을 꾸욱 눌러 100km/h 항속 해 줄 수 있는 자동차.
제가 나이에 비해 고지식하다는 말을 많이 듣는 편이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주머니 비우며 차를 운용하는 것은 내키지가 않기에 일회성 구입 비용으로 3천만원을 준비하고 매년 천만원의 maintenance 비용으로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한 차량을 입양하고 싶습니다. 어차피 한 달 한 두번 타는 차량일 것이고, 유사시 이용할 다른 차량이 있으니 경제적 조건 외에 maintenence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stress까지 감안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제 어떤 자동차를 맞을까...가 남았습니다.
성격상 이번에 구입하면 팔지않고 연 1,000만원 이내의 꾸준한 정비를 하며 면허를 반납 할 때까지 탈 것 같습니다. 차와 휘발유 공급망만 잘 버텨준다면요.
서두에 말씀 드렸듯이, 제가 운전을 하며 희열을 느끼는 지점이 '소리없는 으르렁을 엉덩이에 깔고 앉은 100km/h 항속'이어서, 2000년대 초반 차량도 제게는 부족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큰 문제가 없다면 저는 향후 30년간 차량을 바꾸고 싶은 유혹에 빠지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현대적 자동차 디자인에 쓰이는 풍성한 곡선미에 대한 포비아를 가지고 있어 그닥 세련된 디자인에 끌리지도 않습니다(누구나 꿈꾸는 포르쉐는 예외이지만 아직은 제가 능력이 되지 않습니다).
e46 330i에 대한 향수가 있지만 이제 저는 뒷자리 없는 차도 괜찮기에 e46 M3도 생각 해 보았는데, 그 정도 영타이머까지는 사실 정성을 쏟을 자신이 없습니다. 그래서 e92 M3를 생각 해 보고 있습니다. 혹자는 제게 GT성향이라 M3와 같은 코너링이 좋은 퍼포먼스카는 맞지 않는다는 말씀을 주시지만, e92 M3가 제 기준에서는 AMG 못지 않은 충분한 GT 성향과 주행감을 느끼게 해 주는 차량일 것 같습니다. W204 C63AMG는 제 기준에는 너무 시끄럽기도 하구요.
복잡한 서울 길 출퇴근은 계속 경차를 사용 할 것이고, 가족 나들이는 미니밴을 사용 할 것이고, 아내는 아내대로 편한 국산 승용차를 타고 다니고, 한 달 한 번 정도 있을 새벽 드라이브용 차를 구합니다. 오랜 만에 와 보니 TRS 수퍼 패키지 서비스도 진행하시기에 개인적인 결정만 필요한 상황이네요.
한국에서 e92 M3를 3천에 구입하여 연 1천을 투자하며 유지하는 것에 대해 경험있는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초기 구입비용을 조금 더 늘려 잡는 것이 좋을지, 연간 정비비용을 더 여유있게 잡아야 할지, 혹은 다른 추천 차량이 있으신지...어떤 조언이든 지금 단계에서는 open된 상태로 감사히 받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가난한 mechnical perfectionist에 가까운 성향이라 porche 지향성입니다.
2016년 귀국 후 출퇴근용 스파크와 가족용 시에나를 장만하였고, 정신없이 일하며 안정을 찾고보니 중장거리 출장시 운전이 싫어 KTX 예약을 하는 모습에 '언제부터 내가 운전을 싫어했었나...' 싶어 새삼 testdrive에 접속 해 봅니다.
미국에서 떠나오기 전까지는 나름 주말마다 정성들여 자가정비 한 2004년식 e46 330i를 타고 신나게 출퇴근을 했었지요.
저는 핸들링, 엔진의 회전질감, 코너링이나 넘치는 힘, 배기 사운드 이런 것은 잘 모르지만 120% 만족했었습니다.
엉덩이 밑에 충분한 힘을 묻어놓은 채 60 mph (100km/h) 부근의 속도에서 유유자적 달리는 그 느낌에 출근하는 기분이 상쾌해지고 퇴근하면서 스트레스를 날리고는 했습니다. M3가 아니어도, AMG가 아니어도 e46 330i 정도면 제게는 충분했습니다.
사실, 저 정도의 자동차 문외한이 두어시간 100km/h 항속을 하며 기분을 내기에는 스파크도 충분합니다만, 엉덩이 밑에 숨겨놓은 힘이 있고 없고 기분의 차이랄까요, 그리고 노면을 누르면서 달린다기보다는 노면을 타면서 달린다랄까요, 뭔가 방방거리면서 달리는 스파크의 느낌보다는 좀 더 묵직한 차를 몰고 달리고 여유를 느끼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차를 사고 싶습니다.
한 달에 한 번 출장 가는 길, 왕복 400km 정도를 창문을 열고 새벽 바람을 쐬며 노면을 꾸욱 눌러 100km/h 항속 해 줄 수 있는 자동차.
제가 나이에 비해 고지식하다는 말을 많이 듣는 편이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주머니 비우며 차를 운용하는 것은 내키지가 않기에 일회성 구입 비용으로 3천만원을 준비하고 매년 천만원의 maintenance 비용으로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한 차량을 입양하고 싶습니다. 어차피 한 달 한 두번 타는 차량일 것이고, 유사시 이용할 다른 차량이 있으니 경제적 조건 외에 maintenence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stress까지 감안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제 어떤 자동차를 맞을까...가 남았습니다.
성격상 이번에 구입하면 팔지않고 연 1,000만원 이내의 꾸준한 정비를 하며 면허를 반납 할 때까지 탈 것 같습니다. 차와 휘발유 공급망만 잘 버텨준다면요.
서두에 말씀 드렸듯이, 제가 운전을 하며 희열을 느끼는 지점이 '소리없는 으르렁을 엉덩이에 깔고 앉은 100km/h 항속'이어서, 2000년대 초반 차량도 제게는 부족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큰 문제가 없다면 저는 향후 30년간 차량을 바꾸고 싶은 유혹에 빠지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현대적 자동차 디자인에 쓰이는 풍성한 곡선미에 대한 포비아를 가지고 있어 그닥 세련된 디자인에 끌리지도 않습니다(누구나 꿈꾸는 포르쉐는 예외이지만 아직은 제가 능력이 되지 않습니다).
e46 330i에 대한 향수가 있지만 이제 저는 뒷자리 없는 차도 괜찮기에 e46 M3도 생각 해 보았는데, 그 정도 영타이머까지는 사실 정성을 쏟을 자신이 없습니다. 그래서 e92 M3를 생각 해 보고 있습니다. 혹자는 제게 GT성향이라 M3와 같은 코너링이 좋은 퍼포먼스카는 맞지 않는다는 말씀을 주시지만, e92 M3가 제 기준에서는 AMG 못지 않은 충분한 GT 성향과 주행감을 느끼게 해 주는 차량일 것 같습니다. W204 C63AMG는 제 기준에는 너무 시끄럽기도 하구요.
복잡한 서울 길 출퇴근은 계속 경차를 사용 할 것이고, 가족 나들이는 미니밴을 사용 할 것이고, 아내는 아내대로 편한 국산 승용차를 타고 다니고, 한 달 한 번 정도 있을 새벽 드라이브용 차를 구합니다. 오랜 만에 와 보니 TRS 수퍼 패키지 서비스도 진행하시기에 개인적인 결정만 필요한 상황이네요.
한국에서 e92 M3를 3천에 구입하여 연 1천을 투자하며 유지하는 것에 대해 경험있는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초기 구입비용을 조금 더 늘려 잡는 것이 좋을지, 연간 정비비용을 더 여유있게 잡아야 할지, 혹은 다른 추천 차량이 있으신지...어떤 조언이든 지금 단계에서는 open된 상태로 감사히 받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가난한 mechnical perfectionist에 가까운 성향이라 porche 지향성입니다.
2021.11.08 13:07:26 (*.62.172.250)
E92 m3 2009 신차출고후 쭉 데일리로 타고있습니다. 거의 9만키로 가깝게 탔는데 회원님 운전스타일이면 연 천만원 안들어갈듯합니다. 저도 운전스타일이 비슷.. 12년간 대체할 차량을 못찾아 계속 탑니다. ㅎ
2021.11.08 20:10:30 (*.8.164.58)

저도 9년반, 이제 10년째 제 E90 M3 세단 수동을 타고 있습니다 (미국)
위에 회원분들께서 설명해주신것처럼 어느정도의 preventive maintenence 만 하면 큰 탈없이 오래 탈수있는 차량입니다.
가장 큰것으론 throttle actuator 과 rod bearing이고 어느정도 마일리지가 있다면 (7~8만마일) 미리 한번 바꿔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 터보에 문제가 있다던지, direct injection으로 인한 carbon build up이 있다던지, Vanos를 throw, 전자기쪽 고질병 아니면 chassis가 깨지는 문제가 있는 차량이 전혀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관리하기 쉬운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로드 베어링은 보호차원에 2500불정도주고 바꿨고 그때 wear and tear item인 미션 마운트, 엔진마운트 같이 교환했습니다. throttle actuator은 OEM 1600불정도에 구입, 450~550불 labor정도로 교체한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ownership중 6년정도 주말용으로만 운용했고 3년정도 데일리로 사용중에 있습니다
두가지의 용도로 탄 경험이 있다보니 진짜 perfect daily인게 느껴집니다. 기름을 많이 먹는거에 좀 짜증이 나지만 (ㅋㅋ) 보통 3 시리즈의 ergonomic이 있기에 매일 타기에 아무 문제가 없고, 이 스페셜한 엔진의 리스폰스와 사운드에 이 차량을 위켄드, 트랙용으로 타는분들도 엄청납니다.
요즘 왠만한 M ,AMG를 따라가기엔 터무니없습니다. 테슬라가 처음 나왔을때부터 쭉 생각해왔고 실제 요즘 그렇지만 이젠 터보, 하이브리드, 별 방법을 다 써도 체감으로 우리가 느끼는 "빠르다"는 전기차를 이길수 없는것은 누구나 다 아는 fact입니다. 아마 전기차가 그런 터보차량보다 훨씬 reliable하고 쉬울거구요. 솔직한 자연흡기의 파워밴드, 독립스로틀의 리스폰스, 997, 991, x4, x6m을 운용하는 직장동료들도 와서 무슨 흡기로 modify했냐고 할정도의 개인적으로 꽤 괜찮다 생각하는 exhaust sound, 차가운 버터를 칼로 자를때의 느낌같은 어느정도의 resistance가 있으면서 내가 원하는대로 들어가주는 스티어링 필, 딱딱하고 짱짱한 그 "옛" 독일차의 느낌은 다른차량, 요즘 어느차량에서도 찾을수가 없는것 같아 계속 운용하고 나중에 멋진 semi track용으로 소장할 생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uZ68XoPqhU&t=740s
위에 회원분들께서 설명해주신것처럼 어느정도의 preventive maintenence 만 하면 큰 탈없이 오래 탈수있는 차량입니다.
가장 큰것으론 throttle actuator 과 rod bearing이고 어느정도 마일리지가 있다면 (7~8만마일) 미리 한번 바꿔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 터보에 문제가 있다던지, direct injection으로 인한 carbon build up이 있다던지, Vanos를 throw, 전자기쪽 고질병 아니면 chassis가 깨지는 문제가 있는 차량이 전혀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관리하기 쉬운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로드 베어링은 보호차원에 2500불정도주고 바꿨고 그때 wear and tear item인 미션 마운트, 엔진마운트 같이 교환했습니다. throttle actuator은 OEM 1600불정도에 구입, 450~550불 labor정도로 교체한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ownership중 6년정도 주말용으로만 운용했고 3년정도 데일리로 사용중에 있습니다
두가지의 용도로 탄 경험이 있다보니 진짜 perfect daily인게 느껴집니다. 기름을 많이 먹는거에 좀 짜증이 나지만 (ㅋㅋ) 보통 3 시리즈의 ergonomic이 있기에 매일 타기에 아무 문제가 없고, 이 스페셜한 엔진의 리스폰스와 사운드에 이 차량을 위켄드, 트랙용으로 타는분들도 엄청납니다.
요즘 왠만한 M ,AMG를 따라가기엔 터무니없습니다. 테슬라가 처음 나왔을때부터 쭉 생각해왔고 실제 요즘 그렇지만 이젠 터보, 하이브리드, 별 방법을 다 써도 체감으로 우리가 느끼는 "빠르다"는 전기차를 이길수 없는것은 누구나 다 아는 fact입니다. 아마 전기차가 그런 터보차량보다 훨씬 reliable하고 쉬울거구요. 솔직한 자연흡기의 파워밴드, 독립스로틀의 리스폰스, 997, 991, x4, x6m을 운용하는 직장동료들도 와서 무슨 흡기로 modify했냐고 할정도의 개인적으로 꽤 괜찮다 생각하는 exhaust sound, 차가운 버터를 칼로 자를때의 느낌같은 어느정도의 resistance가 있으면서 내가 원하는대로 들어가주는 스티어링 필, 딱딱하고 짱짱한 그 "옛" 독일차의 느낌은 다른차량, 요즘 어느차량에서도 찾을수가 없는것 같아 계속 운용하고 나중에 멋진 semi track용으로 소장할 생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uZ68XoPqhU&t=740s
E92 M3를 한두달에 한번쯤 타고 있습니다.(소유한지 1년쯤 됐네요)
말씀하신대로 E92 M3는 하드코어 드라이빙과 편안한 GT성향까지
두루두루 커버가 되는 차종입니다.
뒷좌석도 넓고 트렁크도 커서 가족이 타고 여행도 가능하고요.
요즘 기준으로 그닥 높은 출력은 아니지만 부족함 없습니다.
근데 E92 M3가 조용한차는 아니예요.
메인터넌스 또한 고질병이라고 하는 것들이 딱 정해져 있고
그것들만 한번 정비해두면 딱히 신경쓸게 없을 정도로 편합니다.
어떤매물을 고르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흔한 누유정도 간단히 손보시고
모든사람들이 불안해하는 로드베어링 예방정비(약 200초반) 해두시면
맘편히 타셔도 됩니다.
쓰로틀엑츄는 예방정비한다고 강화기어로 바꿔봤자
나중에 기판 타서 결국 한번은 바꿔야 하더라구요.
(이건 영국에 리빌드 보내는 방법 or VDO 애프터 제품으로 저렴하게 가능. 부품값은 리빌드 : 약 70 / VDO : 약 160 / 정품 : 약 310 )
요즘 E92 M3 시세가 오르는 중이라
제가 구입할때만 해도 LCI로 7만km대, 보험이력0원, 완전 무사고 차를
3천 초중반이면 살수 있었는데요.
요즘은 이정도 스펙이면 4천 넘어가더라구요.
매인터넌스 비용이 매년 1000만원씩 들어가는 차가 아니니
차라리 초기 구입예산을 늘리셔서 깨끗한걸 사시는길 추천드립니다.
이쪽이 소유하면서도 만족도가 높고 나중에 판매하게 되더라도
좀더 가치를 인정받을수 있어서 결코 손해가 아닐꺼예요.
E92 M3는 기회가 된다면 한번쯤 타봐야 하는 차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차들보다 빠르진 않지만 한번씩 탈때마다
엔진 리스펀스, 변속기 직결감, 손에 감기는 스티어링..
운전이 정말 맛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