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다룬 글 몇개를 읽고 저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전기차의 빠른 보급이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유를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금도 한전 송전선로 상당수가 과부하 상태인데 전기차로 인해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받쳐줄 만큼의 선로 증설이 만만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전기차에 밥을 주려면 전기차 증가에 비례해서 송전용량도 함께 늘려줘야하는데 초고압 송전선로를 새로 만드는게 이제는 거의 불가능하고 어찌어찌 가능하다해도 건설까지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송전전압을 2배 올리면 송전용량은 4배가 되기 때문에 기존 송전 철탑의 전압을 올려서 해결할 수도 있겠지만 고전압으로 갈수록 외력과 하중을 버텨내기 위해 철탑도 기하급수적으로 같이 커져야하고 사실상 해체했다 다시 만드는 정도의 과정을 거쳐야하는데 그마저도 민원때문에 쉽지가 않습니다.
실제로 송전 철탑 한쪽당 154[KV]는 410sq 전선 2라인이 지나가지만 345[KV]는 480sq 4라인, 765[KV]는 480sq 6라인을 매달아야하니 이러한 하중을 버티려면 철탑이 얼마나 커지겠으며 이로인해 발생되는 비용과 민원을 150조 이상의 부채를 떠앉고 있는 한전이 감당하기에는 무척 벅찬일이지요.
이러한 이유들로 지금은 정권 차원에서 밀어붙이니 공기업으로서 따라가는 모양세지만 전기차를 지금과 같은 속도로 늘려나가는데는 어느순간 어려움을 노출할 것으로 예상하기에 상당 기간을 하이브리드가 최선의 대안이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본인도 지난해 VOLT EUV 예약을 걸어놓았지만 언제 저에게까지 순서가 올지도 모르겠고 온다한들 이게 과연 잘한 결정일까라는 의구심을 가지는 횟수가 적지 않으니까요.
할말은 더 있지만 글이 길어지면 불편할수도 있으니 결론을 내리자면 "전기차 자체로 완전하지 않을뿐 아니라 인프라적인 부분에서도 앞으로 노출될 문제가 적지 않을 것이다." 입니다.
그러함에도 당연히 선택은 개개인의 몫이고 존중받아야 하겠지만 내연기관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시간들이 우리의 바램보다는 더 많이 남아있을것이라 기대해봅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금도 한전 송전선로 상당수가 과부하 상태인데 전기차로 인해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받쳐줄 만큼의 선로 증설이 만만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전기차에 밥을 주려면 전기차 증가에 비례해서 송전용량도 함께 늘려줘야하는데 초고압 송전선로를 새로 만드는게 이제는 거의 불가능하고 어찌어찌 가능하다해도 건설까지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송전전압을 2배 올리면 송전용량은 4배가 되기 때문에 기존 송전 철탑의 전압을 올려서 해결할 수도 있겠지만 고전압으로 갈수록 외력과 하중을 버텨내기 위해 철탑도 기하급수적으로 같이 커져야하고 사실상 해체했다 다시 만드는 정도의 과정을 거쳐야하는데 그마저도 민원때문에 쉽지가 않습니다.
실제로 송전 철탑 한쪽당 154[KV]는 410sq 전선 2라인이 지나가지만 345[KV]는 480sq 4라인, 765[KV]는 480sq 6라인을 매달아야하니 이러한 하중을 버티려면 철탑이 얼마나 커지겠으며 이로인해 발생되는 비용과 민원을 150조 이상의 부채를 떠앉고 있는 한전이 감당하기에는 무척 벅찬일이지요.
이러한 이유들로 지금은 정권 차원에서 밀어붙이니 공기업으로서 따라가는 모양세지만 전기차를 지금과 같은 속도로 늘려나가는데는 어느순간 어려움을 노출할 것으로 예상하기에 상당 기간을 하이브리드가 최선의 대안이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본인도 지난해 VOLT EUV 예약을 걸어놓았지만 언제 저에게까지 순서가 올지도 모르겠고 온다한들 이게 과연 잘한 결정일까라는 의구심을 가지는 횟수가 적지 않으니까요.
할말은 더 있지만 글이 길어지면 불편할수도 있으니 결론을 내리자면 "전기차 자체로 완전하지 않을뿐 아니라 인프라적인 부분에서도 앞으로 노출될 문제가 적지 않을 것이다." 입니다.
그러함에도 당연히 선택은 개개인의 몫이고 존중받아야 하겠지만 내연기관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시간들이 우리의 바램보다는 더 많이 남아있을것이라 기대해봅니다.
2022.01.12 14:04:31 (*.45.124.201)

작년 여름과 가을사이, 그야말로 전국팔도를 돌면서 여행을 했는데
휴게소의 충전인프라도 여전히 부족해보였고, 고속도로를 달리는
전기차도 생각보다 많이 보이진 않았습니다
휴게소의 충전인프라도 여전히 부족해보였고, 고속도로를 달리는
전기차도 생각보다 많이 보이진 않았습니다
2022.01.13 20:46:14 (*.138.62.21)

좋은의견과 글 잘 봤습니다.
새로운 관점이어서 배울 점이 많았고, 매우 현실적인 내용들이라 앞으로 언급하신 부분들의 개선이 어떤과 계획으로 이루어질지 사뭇 궁금합니다.
새로운 관점이어서 배울 점이 많았고, 매우 현실적인 내용들이라 앞으로 언급하신 부분들의 개선이 어떤과 계획으로 이루어질지 사뭇 궁금합니다.
2022.01.16 11:29:26 (*.137.249.159)
수배전 용량증가는 쉽지않기때문에 중간중간에 ess 를 넣어두면 쉽게 해결될 문제 같습니다. 즉 물탱크 같은 개념이죠. 전 가구가 물을 동시에 쓴다는 가정은 하지않죠. v2g 같은것으로 어느정도 조정도 가능할거구요.
2022.01.17 16:22:48 (*.213.249.130)
보통 여름철에 전력난 이야기가 자주 나오던데요, 여름철은 정책적으로 야간충전으로 유도 한다면 해결 되지 않을까요. 지금 대부분 충전은 야간에 이루어 지지 않을까요?
2022.01.19 23:39:42 (*.149.24.110)

네. 지금까지는 야간에 충전이 집중되는게 맞습니다.
그로인해 한전은 밤에 남아도는 전기를 조금 저렴하지만 이익이 남는 가격에 처분할 수요처를 찾았고 페란티 현상이라는 송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난제를 완화하는 효과도 일정부분 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여름철에는 열대야로 인한 야간시간대 전력수요도 만만하지 않고 덕분에 하절기 야간시간대 전력요금은 지금도 상당히 비쌉니다. 수요가 많기 때문이니까요.
그리고 지구온난화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더 가속시킬 것입니다.
게다가 전기차가 수백만대로 늘어난다면 낮시간에도 결교 적지 않은 충전 수요가 발생하면서 문제는 지금보다 심각해지지 않을까요?
기왕 말이 나온김에 한참 연구중인 V2G가 실현될 경우 전기 수요가 집중되는 시간대에 전기차 배터리가 전력계통으로 방전을 해주면 발전 단가가 (원전으로 대표되는 기저부하 발전대비 몇 배나) 비싼 첨두부하 발전기를 덜돌려도 되기 때문에 에너지 공기업들에게는 V2G가 상당히 매력적인 개념이기도 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전기차 소유자들 입장에서보면 현재의 전기차 배터리는 충방전 3,000번이면 거의 수명이 끝이라고 봐야하는데 180원/Kw에 충전한 전기를 200원에 판매한들 잦은 충방전에 따른 배터리 수명 단축으로 발생한 손해가 훨씬 더 크기 때문에 한전과 정부에게는 좋아도 전기차를 운행하는 개개인에게는 잃는게 더 많다는게 현제까지 제가 가진 견해입니다.
물론 배터리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충방전 수명을 5~6,000회까지 늘리고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도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성까지 갖춘 배터리가 나온다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지만 적어도 10년 내에는 어려운게 현실이라 2030년에도 내연기관 자동차는 여전히 우리 삶속에 중요한 한부분을 차지할거라는게 저의 얄팍한 지식으로 내린 결론입니다.
그로인해 한전은 밤에 남아도는 전기를 조금 저렴하지만 이익이 남는 가격에 처분할 수요처를 찾았고 페란티 현상이라는 송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난제를 완화하는 효과도 일정부분 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여름철에는 열대야로 인한 야간시간대 전력수요도 만만하지 않고 덕분에 하절기 야간시간대 전력요금은 지금도 상당히 비쌉니다. 수요가 많기 때문이니까요.
그리고 지구온난화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더 가속시킬 것입니다.
게다가 전기차가 수백만대로 늘어난다면 낮시간에도 결교 적지 않은 충전 수요가 발생하면서 문제는 지금보다 심각해지지 않을까요?
기왕 말이 나온김에 한참 연구중인 V2G가 실현될 경우 전기 수요가 집중되는 시간대에 전기차 배터리가 전력계통으로 방전을 해주면 발전 단가가 (원전으로 대표되는 기저부하 발전대비 몇 배나) 비싼 첨두부하 발전기를 덜돌려도 되기 때문에 에너지 공기업들에게는 V2G가 상당히 매력적인 개념이기도 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전기차 소유자들 입장에서보면 현재의 전기차 배터리는 충방전 3,000번이면 거의 수명이 끝이라고 봐야하는데 180원/Kw에 충전한 전기를 200원에 판매한들 잦은 충방전에 따른 배터리 수명 단축으로 발생한 손해가 훨씬 더 크기 때문에 한전과 정부에게는 좋아도 전기차를 운행하는 개개인에게는 잃는게 더 많다는게 현제까지 제가 가진 견해입니다.
물론 배터리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충방전 수명을 5~6,000회까지 늘리고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도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성까지 갖춘 배터리가 나온다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지만 적어도 10년 내에는 어려운게 현실이라 2030년에도 내연기관 자동차는 여전히 우리 삶속에 중요한 한부분을 차지할거라는게 저의 얄팍한 지식으로 내린 결론입니다.
경제학에서 이런 병목을 해결하는 과금체계로 Maginal Cost Pricing을 사용합니다. 전기차가 사용하는 전기료에 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는 비용 전부를 부과하는 것이지요. 실제로 병목이 해결된다기 보다는 비싼 비용으로 수요 증가가 멈추는 효과를 보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