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아… 얼마전에 운전 험한 지인의 조수석에 벨트 클립 달린 차 동승한 경험이 있어서, 해당 주제로 한 마디 남겨봅니다.
개인적으로 스피디한 항속운전을 좋아하는 성향이고, 추후 구입할 차를 선택하는 기준에는 하체 지오메트리 세팅을 우선으로 봅니다. 뚫린 도로에서야 x40 밟으며 아우토반처럼 1차선과 2차선을 적법한 선에서 오며가며 달리며 스트레스를 푸는지라 하체 안정성과 긴급회피기동 능력이 뒷받침되는 차를 원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흔히 말하는 과속충인 저도 이해가 안 되는 건 하나입니다. 시내도로도 아니고 사람 걸어다니는 골목에서 풀악셀 밟는 더러운 성향을 지닌 사람이 꼭 운전 잘한다고 스스로 착각을 하더군요. 딱 이런 스타일의 운전 습관이 고착된 지인의 차량은 전 좌석의 벨트꽂이가 오프너타입 벨트클립이 꽂혀 있었습니다. 클립 뽑아버리고 조수석에서 벨트 내려서 맸더니 자기 운전실력을 못 믿느냐며 아쉬운 소리를 하더군요.
자, 그런 분들에게 궁금한 것은 나만 잘한다고 안 나는 게 사고도 아닌 세상에서 만에 하나 일어날 사고로 피해를 볼 죄 없는 상대운전자, 내지는 보행자들 문제는 당연한 거니까 차치하고.
운전 잘한다는 말 한마디 믿고 내 차를 선택해서 동승한 사람들은요? 그들이 좌석마다 하나씩 있는 안전벨트 잠갔다고 한 푸념 들어야 될 만큼 자신들의 안전을 희생할 의향 내지 의무가 있기나 했을까요?
청룡쇼바가 유행이던 시절 골목길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애 때문에 밟은 급브레이크의 관성으로 오토바이가 의도치 않은 잭나이프를 했고, 뒷좌석 동승자는 튕겨나가 전봇대에 목이 부딪혀 중추신경이 마비가 된 사례가 있습니다.
사고도 아니고 그 흔한 급정거에 다친 당사자는 평생을 불구로 삽니다.
더 빨리 달리는 차에서 사람이 벨트 안 매가지고 나는 사고는 오죽합니까?
우리는 모두 지킬 것이 있고 어느 누군가에게 존재로서 책임을 다하는 존재입니다.
도로는 우리의 생각보다도 훨씬 극명한 한끝차이로 생과 사가 갈리는 현장입니다.
적어도 운전대를 잡고 옆에 사람을 태운 자라면 그런 존재들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책임은 기본으로 본인이 짊고가는 겁니다.
5분 더 빨리 집 데려다주면서, 스피디한 운전 실력 한 번 뽐내는 거 좋습니다. 그런데 최소한의 책임을 망각하는 행위는 이해가 안됩니다.
옆에서 본인 안전 챙기는 행위는 당연한 겁니다. 그걸로 운전자존심 상해하는 건 대체 무슨 경우일까요.
제발 안전벨트 클립 그 빌어먹을 건 나라에서 불법물로 단속하고, 전좌석에 벨트 클립 달고 다니는 차는 적발하자마자 면허 취소시키는 쪽으로 법이 강화되면 좋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스피디한 항속운전을 좋아하는 성향이고, 추후 구입할 차를 선택하는 기준에는 하체 지오메트리 세팅을 우선으로 봅니다. 뚫린 도로에서야 x40 밟으며 아우토반처럼 1차선과 2차선을 적법한 선에서 오며가며 달리며 스트레스를 푸는지라 하체 안정성과 긴급회피기동 능력이 뒷받침되는 차를 원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흔히 말하는 과속충인 저도 이해가 안 되는 건 하나입니다. 시내도로도 아니고 사람 걸어다니는 골목에서 풀악셀 밟는 더러운 성향을 지닌 사람이 꼭 운전 잘한다고 스스로 착각을 하더군요. 딱 이런 스타일의 운전 습관이 고착된 지인의 차량은 전 좌석의 벨트꽂이가 오프너타입 벨트클립이 꽂혀 있었습니다. 클립 뽑아버리고 조수석에서 벨트 내려서 맸더니 자기 운전실력을 못 믿느냐며 아쉬운 소리를 하더군요.
내지는 제가 그런 사람을 태우고 적법한 속도와 매너로 운전을 하거나 안전 관련해서 탑승자들 챙기는 모습 보이면 조수석에서 답답한 소리를 합니다. 생각외로 단거리 이동 시 벨트 착용 관련해서도 기본 수칙을 안 지키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저는 1km 시내 타는 단거리라도 무조건 동승자들 뒷좌석까지 벨트 매게 합니다. 뒷좌석 벨트 미착용 시 충돌테스트 한 번 찾아보시면 알 겁니다. 시속 40km/h에도 뒷사람이 앞좌석을 덮치면 앞좌석이 벨트매고 애어백 터져도 소용 없습니다. 더미라 망정이지 사람이면 진짜 참혹할 겁니다.
자, 그런 분들에게 궁금한 것은 나만 잘한다고 안 나는 게 사고도 아닌 세상에서 만에 하나 일어날 사고로 피해를 볼 죄 없는 상대운전자, 내지는 보행자들 문제는 당연한 거니까 차치하고.
운전 잘한다는 말 한마디 믿고 내 차를 선택해서 동승한 사람들은요? 그들이 좌석마다 하나씩 있는 안전벨트 잠갔다고 한 푸념 들어야 될 만큼 자신들의 안전을 희생할 의향 내지 의무가 있기나 했을까요?
청룡쇼바가 유행이던 시절 골목길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애 때문에 밟은 급브레이크의 관성으로 오토바이가 의도치 않은 잭나이프를 했고, 뒷좌석 동승자는 튕겨나가 전봇대에 목이 부딪혀 중추신경이 마비가 된 사례가 있습니다.
사고도 아니고 그 흔한 급정거에 다친 당사자는 평생을 불구로 삽니다.
더 빨리 달리는 차에서 사람이 벨트 안 매가지고 나는 사고는 오죽합니까?
우리는 모두 지킬 것이 있고 어느 누군가에게 존재로서 책임을 다하는 존재입니다.
도로는 우리의 생각보다도 훨씬 극명한 한끝차이로 생과 사가 갈리는 현장입니다.
적어도 운전대를 잡고 옆에 사람을 태운 자라면 그런 존재들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책임은 기본으로 본인이 짊고가는 겁니다.
5분 더 빨리 집 데려다주면서, 스피디한 운전 실력 한 번 뽐내는 거 좋습니다. 그런데 최소한의 책임을 망각하는 행위는 이해가 안됩니다.
옆에서 본인 안전 챙기는 행위는 당연한 겁니다. 그걸로 운전자존심 상해하는 건 대체 무슨 경우일까요.
제발 안전벨트 클립 그 빌어먹을 건 나라에서 불법물로 단속하고, 전좌석에 벨트 클립 달고 다니는 차는 적발하자마자 면허 취소시키는 쪽으로 법이 강화되면 좋겠습니다.
2025.04.08 09:34:44 (*.225.229.16)
아직도 그런 인식을 가진 분이 있다는 사실이 놀랍네요. 깜박이 키면 운전 못하는 취급 받던 원시시대를 아직도 살고 계시나 봅니다..
2025.04.10 15:17:11 (*.235.13.66)

일부 차종에 있는 벨트 안매면 P에서 기어 안넘어가기, 시동켜면 등화는 default 로 auto로 설정되는 기능들은 의무화 하면 좋겠어요
2025.04.12 09:36:29 (*.126.201.145)

좋은 지적을 해주셨습니다.
저역시 탑승자에게 모든 좌석 안전벨트를 매게하는지라 너무 당연한 것이지만 뒷좌석 승차자들의 안전벨트는 항상 벨트 매주세요라고 하지 않으면 안매는 경우가 아직 많은 것 같습니다.
현행법상 뒷좌석 안전벨트는 의무이기도 합니다만 의무여부를 떠나서 사고 발생시 뒷좌석 승객이 앞으로 덥치게 되면서 발생하는 피해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사실 안전벨트의 효과는 말로 아무리 설명해도 관련된 계몽영상을 아침저녁으로 의무적으로 몇 년동안 틀어서 모든 국민들이 하루에 최소 한두번은 그 영상을 보게 만드는 방법이 최고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법으로 강제해봤자 그 차이를 간접적으로 체험하지 않는 이상 몸에 밴 습관 혹은 배지 않은 습관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저역시 탑승자에게 모든 좌석 안전벨트를 매게하는지라 너무 당연한 것이지만 뒷좌석 승차자들의 안전벨트는 항상 벨트 매주세요라고 하지 않으면 안매는 경우가 아직 많은 것 같습니다.
현행법상 뒷좌석 안전벨트는 의무이기도 합니다만 의무여부를 떠나서 사고 발생시 뒷좌석 승객이 앞으로 덥치게 되면서 발생하는 피해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사실 안전벨트의 효과는 말로 아무리 설명해도 관련된 계몽영상을 아침저녁으로 의무적으로 몇 년동안 틀어서 모든 국민들이 하루에 최소 한두번은 그 영상을 보게 만드는 방법이 최고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법으로 강제해봤자 그 차이를 간접적으로 체험하지 않는 이상 몸에 밴 습관 혹은 배지 않은 습관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2025.04.13 21:07:52 (*.111.17.90)

외람된 이야기지만 개인적으로 교통안전수칙과 관련한 매체물들이 국내의 경우 필요 이상으로 순화된 방향으로만 연출된 것도 어느정도 경각심 결여에 한 몫 한다고 봅니다.
교통사고로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물적 피해에 대해서 현실의 그것을 10분의 1도 반영하지 못하다보니 그 피해와 참혹함이 얼만큼인지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아주 고어(..)한 정도가 아니라면 어느 정도 실제로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가시화시키는 것도 방법이라고 봅니다.
2000년대 중후반에 촬영된 유럽권 국가들의 교통안전 홍보 동영상들을 보면 도로상 안전수칙을 위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참혹한 결과를 거진 실제 교통사고 현장에 준하는 수준으로 연출합니다. 특히 NI, DOE road safety 채널 쪽 영상들은 보고나면 성인도 꽤 충격이 클 정도로 참상에 대한 묘사가 현실적입니다.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고, 사람이 심하게 다쳐 피흘리고 고통에 몸부림치는 상태로 AMB에 실려가는 모습이나 사망판정 받은 교통사고 피해자의 유가족들이 오열하는 장면까지 그 묘사 장면을 원테이크로 보고 있으면 한 사람의 잘못된 행위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삶을 밑바닥까지 내려치게 만들 수 있는지 뼈저리게 깨닫게 되더군요. 마지막으로 시청한 지도 벌써 10년이 훨씬 넘게 시간이 흘렀지만 영상의 잔상이 가끔 스쳐지나가기도 해서 안전운전에 더 바짝 신경쓸때가 있습니다.
트라우마와 같은 부작용도 물론 제기될 수 있겠습니다만, 사람의 생명이 오가는 도로 환경에서 그러한 위험을 간접적으로나마 형상화하는 것이 나중에 본인이 도로에서 사고를 내 실제로 본인을 포함한 피해자들이 죽고 다치는 걸 눈으로 보고서야 정신차려도 이미 늦은 뒤인 편보다는 훨씬 낫다고 봅니다.
교통사고로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물적 피해에 대해서 현실의 그것을 10분의 1도 반영하지 못하다보니 그 피해와 참혹함이 얼만큼인지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아주 고어(..)한 정도가 아니라면 어느 정도 실제로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가시화시키는 것도 방법이라고 봅니다.
2000년대 중후반에 촬영된 유럽권 국가들의 교통안전 홍보 동영상들을 보면 도로상 안전수칙을 위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참혹한 결과를 거진 실제 교통사고 현장에 준하는 수준으로 연출합니다. 특히 NI, DOE road safety 채널 쪽 영상들은 보고나면 성인도 꽤 충격이 클 정도로 참상에 대한 묘사가 현실적입니다.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고, 사람이 심하게 다쳐 피흘리고 고통에 몸부림치는 상태로 AMB에 실려가는 모습이나 사망판정 받은 교통사고 피해자의 유가족들이 오열하는 장면까지 그 묘사 장면을 원테이크로 보고 있으면 한 사람의 잘못된 행위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삶을 밑바닥까지 내려치게 만들 수 있는지 뼈저리게 깨닫게 되더군요. 마지막으로 시청한 지도 벌써 10년이 훨씬 넘게 시간이 흘렀지만 영상의 잔상이 가끔 스쳐지나가기도 해서 안전운전에 더 바짝 신경쓸때가 있습니다.
트라우마와 같은 부작용도 물론 제기될 수 있겠습니다만, 사람의 생명이 오가는 도로 환경에서 그러한 위험을 간접적으로나마 형상화하는 것이 나중에 본인이 도로에서 사고를 내 실제로 본인을 포함한 피해자들이 죽고 다치는 걸 눈으로 보고서야 정신차려도 이미 늦은 뒤인 편보다는 훨씬 낫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