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배기량 800㏄의 경차가 시속 100㎞가 넘는 속도로 달릴 땐 2000㏄급 중형 승용차보다 기름을 더 많이 소비한다는 측정 결과가 나왔다.
Loading images...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는 24일 국내산 휘발유 경차와 중형 승용차를 대상으로 정속 주행 연비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 시속 80㎞ 이하에서는 경차의 연비가 높지만 시속 100㎞ 이상에서는 중형차의 연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경차나 중형차 모두 시속 60㎞로 달릴 때 연비가 가장 높았고, 이보다 느리거나 빠르게 달리면 연비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속 60㎞에서는 경차가 휘발유 1L로 31.2㎞를 달렸으나 시속 40㎞에서는 29.3㎞/L로 낮았다. 시속 80㎞에서는 27.1㎞/L, 시속 100㎞에서는 21.2㎞/L, 시속 120㎞에서는 16.7㎞/L였다.
중형 승용차는 시속 60㎞에서 연비가 28.2㎞/L였다. 시속 40㎞에서는 27㎞/L, 80㎞에서는 25.2㎞/L, 100㎞에서는 22.4㎞/L, 120㎞에서는 19.1㎞/L였다. 시속 100㎞에서 중형 승용차의 연비는 1.2㎞, 시속 120㎞에서는 2.4㎞ 더 높았다. 서울~부산(왕복 800㎞)을 100~120㎞로 주행하면 경차의 연료비가 중형차보다 3300~1만원 정도 더 드는 셈이다.
교통환경연구소 임철우 박사는 “엔진 출력이 낮은 경차의 속도를 높이면 연료가 과다하게 소모된다”며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기 때문에 일산화탄소(CO) 등 대기오염 물질도 경차가 더 많이 배출한다”고 말했다.
강찬수 기자 -출처 중앙일보-


동갑합니다. 2000cc 승용차가 60km/h에서 연비가 28.2km/L 가 나온다니요 -_-;;;; 측정방법을 정확히 표기하지 않으니 기사내용 자체가 너무 어이없게 보이네요.

마티즈 수동 에어콘 키고 고속도로 올려서 100~120 항속하면 리터당 12키로 미만으로 주행합니다.
그나마 이정도라도 나와줘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면서 타고다니네요
실 연비는 처참합니다.
전에 타던 옵티마 자동 연비도 안나오더군요..

마티즈CVT에 rpm게이지를 달아보니 공회전 회전수도 꽤 높았고 (3기통이라서 그럴까요?) 100km에서 3500rpm이 나오는걸 보며 놀랐던 기억이 그리고 X50~60으로 달리면 연료게이지 떨어지는게.. ㅎ.ㅎ

01년, 급한 약속 때문에(이게 변명거리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비스토 터보 수동으로 엄청 밟아대며 서울-부산을 달린 적이 있었습니다. 도중에 한 번 급유해야했다는...
넵, 경차는 과속하면 확실히 빨리 주유소를 찾더군요.
반면, 초연비 운전 모드로 22km/l까지 찍어본 적이 있습니다.

여친 차량의 뉴모닝도 만만치 않습니다..^^:;;;;;;;;;
43000 원 만땅 기준으로..
평균 300~350 km 탄답니다 ㅠ_ㅠ.......
정말 정말 잘타면 400 겨우 나올듯 말듯 ;;;

저 기사를 봤는데 경차가 고속도로 연비가 그다지 좋지 않다는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중형차 연비가 경차보다 좋다는건 동감하지 못하겠더군요..
모닝 SLX 수동 풀옵션을 제가 하루 평균 100km 주행에 시내:고속 비율이 2:8 ~ 3:7 정도 되는데,
지난 1년동안 평균 연비가 저 그래프에 나온 16.7km 정도 됩니다..
연비 운전 안하고요, 에어컨도 아껴서 켜지 않습니다.. (2,500 ~ 3,000rpm 정도에서 변속합니다..)
고속도로에서는 GPS 100km 정도로 주행하고요..
제 경험상 같은 상황에서 2리터 중형차나 1.6리터 준준형이나 경차보다 나은 연비나 더군다나 비슷한 연비조차 나오지 않더군요..

그래서 돈 아낀다고 경차, 특히 오토 경차 타는 것이 결국은 이득이 아닌 셈이죠. 모닝이나 마티즈 오토면 잘나와야 12-13키로입니다. 예전에 마티즈 CVT에 친구와 둘이 타고 강원도 갔다왔는데 리터당 12키로 나오더구요. 급가속 급제동 안하고 그냥 편안하게 다녀왔는데 당시 2.0 오토 중형차인 제차와 똑같은 연비가 나오더군요.
결국 기름값 별 차이 없고 안전도 떨어지고 시끄럽고 도로에서 위협당하고...좁은 길 주차하기 편한 점 말고는 하나도 좋을 게 없어 보였습니다. 단 지금의 모닝 LPI는 워낙 연료비가 저렴해서 경제성은 상당한 것 같습니다.

이번에 새로나오는 마티즈 후속의 경우 기존에 3기통 800cc sohc 엔진에서 4기통 1000cc dohc 엔진으로 변경이 된다고 합니다. 기존에 경차 엔진의 경우 낮은 배기량 그리고 sohc 엔진으로 저중속에서는 좋은 연비를 보여왔으나 엔진구조상 고속에서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에 나오는 후속 dohc 엔진이 어느정도의 효율을 보여줄지 기대가 되네요. 차라리 경차 엔진의 규격이 1200cc 내외가 되면 오히려 출력 및 연비에 좋을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그 점은 정말 아쉽습니다.

1200cc가 돼도 어차피 고속주행은 별 차이 없어 보입니다.
과거 젠트라X 1.2가 처음 나왔을 때 서울-양양 구간 영동고속도로를 왕복했는데 리터당 15키로 나오더군요. 같은 코스로 1개월 후에 쏘나타3 1.8 DOHC 오토로 왕복하니까 14 나왔습니다. 또한 7년전에 아반떼XD 2.0 오토로 울산-서울 코스와 서울-대전 코스 왕복해보니 역시 15 나왔습니다. 연비체크는 트립 리셋하고 풀탱크 주유 후 돌아와서 역시 풀탱크 주유하고 달린거리/주유량으로 계산했습니다.
살살 다니는 시내주행은 더 좋겠지만 고속주행은 공기저항과 절대마력의 부족과 높은 기어비 등의 원인으로 연비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http://www.testdrive.or.kr/?mid=boards&search_target=user_id&search_keyword=dhunter&document_srl=472075
같은 내용인데 제목에 따라 반응이... ^^;
속도도 속도지만 2명이상 태우면 차도 안나갈뿐더러 연비 안습입니다~
경차는 가까운거리 슬슬 다니는데 좋은차인거 같습니다~

소형차인제차의 경우도 백키로에서 거의삼천알피엠을 가르키는데
때문에 백키로의 연비가 생각보다좋지가 않습니다!
반면중형차는 백키로정속주행시 상당히낮은 알피엠으로 항속하는데
이점이 연비에 상당히 유리하게 작용하더군요
저는 베르나 디젤 수동인데도, 기어비가 어처구니 없이 높아서 5단 2500RPM 에서 GPS 100km/h 가 나옵니다.
덕분에 최고 출력 포인트인 4000 RPM 에선 겨우 160km/h 밖에 안나와서. 힘이 남아도는데도 과속을 못하는....
연비는 생각보단 잘나와서 100 km/h 순항이 20 km/l 는 훨씬 넘기지만...
예전 구형 모닝 탈때는 15km/l 이상은 항상 나왔던 걸로 기억나요. 경차오토 연비는 나쁘지만 수동은 적어도
중형차 수동보단 연비가 좋은듯 싶습니다. 그전에 타던 레간자 2.0 DOHC 수동은 같은 주행 패턴에서
8km/l 가 나왔던걸 생각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