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이번에 아버지 차를 교환하게 되어 유지비 관련 문의 드립니다.
현재 후보군으로는 제네시스 신차와 E350중고를 생각하고있습니다
차량구입비는 비슷하다는 가정하에
유지비(세금&보험&유류비 제외) 차이 얼마나 날까요??
특히 벤츠의 보증기간이 끝난 후의 차량 유지비(소모품 교환, 사고시 견적 등)가
대략 어느정도인지가 궁금합니다
수입차 유지비가 생각보다 비싸지 않다는 분도 있고
역시나 많이 비싸다는 분도 있고 해서 감을 잡기가 힘드네요
아버지 연세가 있으셔서 예를 들어 센터에서는 앗세이로 가는 물품을
따로 구입하셔서 정비 하신다거나 하는 것은 조금 어려울 듯 싶습니다
일반적인 정비소를 이용할 듯 싶구요(센터 혹은 보증 기간 후에는 서울 쪽의 유명한 정비 샾 정도)
답변 먼저 감사드립니다



위의 분들이 말씀해 주신대로..
현대 고급 신차들의 차량 부품 가격이나 서비스 센터 수리 비용은 꽤 높은 편입니다.
수입차의 엔진 등 파워트레인 쪽의 신뢰도가 높거나...
수리 비용이 2배이상 들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소소한 부품의 가격이 수배에 이르는 경우가 많아서...
아직은 접근하기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좀 편안하게 타시길 원하시고...
직접 부품을 공수하시거나... 하실 게 아니시면,
제네시스도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유즘 수입차가 참 흔해졌죠. 좋은 현상입니다.
그만큼 그에 대한 프리미엄이나 외부 인식도 많이 바뀌는것 같습니다.
같은 값이라면 저는 당연히 제네시스로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유지비, 소모품 교환(엔진오일, 브레이크 패드) 등은 요새 많이 싸진 느낌입니다. 제네시스의 부품가가 얼마 인지는 몰라서 확실히 말씀 드리기 그러나, 벤츠의 부품은 정말 후덜덜 그 자체입니다. 얼마전 친구의 애어매틱이 작동을 안해서 컴프레셔 교환 하니 간단히 75만원 나와 주시더군요. 일단 사소한 문제 발생 하면 10만원 단위로 나가구, 좀 문제가 커보인다 싶음 100만원 단위라 생각 하심 쉽겠네요. 글쿠 벤츠 결코 고장 적지 않습니다. ^^; 잘 가꿔주면 그만큼 보답을 하긴 하지만요. E350 정말 잘 나가긴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