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어제는 느즈막히 일어나서 저의 이쁜 애마들의 목욕을 시켜주었답니다.
여름내내 묵었던 실내세차, 외부세차 그리고 바이크의 묵은때와 체인청소를 해주었죠.
바이크 까페의 모임이 있어 점심경 유명산에 올랐습니다.
바람은 가을인데 햇살은 여름이더군요.
올해가 대배기량바이크 경력 5년차입니다.
5년차쯤 되니 요맘때부터 10월초가 바이크 슬립사고가 제일 많을 때인것을 알겠더군요.
이유는 노면온도와 타이어 온도지요.
햇살은 여름 못지 않게 뜨겁지만 실상 노면과 타이어를 만져보면
여름내내 뜨거웠던 노면과 타이어가 살짝 따뜻하다는 느낌밖에 느낄 수 없답니다.
하지만 햇살은 여름 못지않게 뜨거워서 라이더로 하여금 착각하게 만들기
딱 좋지요. 뜨거운 한 여름에는 타이어예열도 필요없이 바로 코너공략을 하며
뱅킹각을 한없이 내리고 자세가 안좋아도 뜨거워진 타이어덕분에 별 어려움없이
코너를 공략할 수 있지만 노면이 많이 차가워진 요즘은 자칫 잘못하다간 슬립이라는
어이없는 일을 당할 수도 있습니다. 마치 여름인양 따사로운 햇볕에 속은 라이더는
노면과 타이어의 예열은 생각도 못한 채 코너공략을 하다가 넘어져 버리는 일이 비일 비재합니다.
비단 바이크만의 이야기는 아닐것으로 생각됩니다. 힐클라임힐과 다운힐을 좋아하는
매니아분들도 차창밖으로 내리쬐는 따사로운 햇볕에 속아서 사랑스러운 애마와 이별을
고해야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생기지 않기를 바랍니다. 특히나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요즘엔
아침 저녁으로 이슬과 안개가 많이 생깁니다. 밤새 내린 이슬에 노면이 살짝 젖어있다면...
상상하기도 싫은 일입니다.
어제 유명산에서는 많은 바이크 슬립사고가 있었답니다.
모든 사고가 타이어예열이 안되 일어난 사고는 아니지만
달리기 좋아하는 환자분들에겐 환절기때 감기만 조심해야하는건
아닌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환절기 회원님들과 애마의 건강을 기원하며
글을 마칠까 합니다.

음..일단 바이크때문에 많이 놀라셨겠군요. 대신해서 제가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통 바이크 동호회에서 이동중 안전수칙에 관해서는 교육을 하는 편입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모든 동호회에서
한다고 이야기는 못하겠습니다. 또한 도로교통안전협회나 경찰청에서 실시하는 대형이륜차 (내지 이륜차)의
안전교육은 , 제가 2종소형 면허 취득한 지 5년째입니다. , 면허 취득이래로 단 한 번도 받은 적 없습니다.
한마디로 내논 자식꼴이지요. 저 역시 바이크를 타지만 경력이 5년차 이상이고 (제 생각임을 밝힙니다. ) 나이가 36세 이상인 라이더분들과 아닌 라이더분들의 주행성향을 보면 정말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저 역시도 바이크를 타면서 무리한 주행을 안했다고는 못하나 경력이 쌓이고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다 부질없는 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더군요.
예전 같으면 차사이로 주행했을 상황에서 지금은 차와 차사이에 제가 차선변경할 공간이 생길 때 까지 기다리고 따라가게 되더군요)
아쉬운것은 안전수칙을 지켜가면서 공도주행을 하는 바이커보다 아닌 바이커가 아직은 많다는 것이구요. 경찰청이나 그밖에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는 기관에서는 이륜차 안전교육을 실시할 생각조차 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다행인것은 몇 년전에 비해 안전수칙을 지켜가며 가급적 안전하게 이륜차를 운전하는 라이더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에구... 이건 뭐 어디서부터 말씀을 드려야할 지 저도 모르겠네요. 워낙에 광범위하고 관리감독부재에 운전자 자신의 자질 등등... 테드 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도 바이크와 차와의 이야기는 결론이 안나더군요..)암튼.. 경력 5년차 라이더인 저의 생각이었습니다.

금새 답을 주셨네요^^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검색을 해보니 예전에(07년도) 비슷한 안건의글을 올려주셨더군요
조금더 제가 주의깊게 보았더라면 이중으로 글쓰시는 수고를 덜어드렸을텐데요
수고스럽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조금 더 선진화 되어가는.. 엔진을 달고 주행하는 여러 동호회에서
또는 말씀하신 경찰청/도로교통안전공단등 책임있는 관공서에서 이런 안전교육의 의무화
내지는 캠페인 등등 필요에 따라서는 제재를 가할수있는 법령이있다면
진영님처럼 억울하게(?) 저같은 바이크 문외안들에게 수고스러운 답변을 안하셔도 될듯합니다..
경력5년차 라이더.. 아직은 대한민국에서 대접 받으실수있는 인프라부족과
사회적인 통념 그리고 법규부재 등등 나름 애로가 많으실것 같아 보이는게 당연합니다..
그래도 많이 관심가지시고 계도하셔서 공도에서 인정받는 바이크와 라이더가 많아지도록
애 많이 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그래도 저는 바이크를 보면 항상 저보단 먼저 비켜갈수있게 길을 틉니다요^^
괜히 스치기라도 하면 차야 판금/도색하면 되겠지만 사람은 그게 아니니까요..
괜히 걱정스러운게 도로중앙에 캔커피/뻥튀기등등 간식파는 정체구간에선
더욱 주행에 힘드실것 같기도 합니다....
모쪼록 최진영님처럼 인식있는 라이더가 제곁을 스쳐지나길 바라는맘 간절합니다 ^^b
감사합니다....
그리고 옛 기억에 캘리포니아 101 프리웨이를 수백대가 넘는 할리동호회 멤버들이
자동차와 동등하게 각자의범위를 유지하며 달리는모습을 떠올리면서 어서 우리나라도
도로사정/인프라가 선진국처럼 바이크와 같이 할수있는날을 기대해봅니다....
이런 말씀 드려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미리 말씀드리지만 오해는 하지마시고 순수하게 질문이라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가가 양평인지라 자주왕래를 하게되는데
주말 바이크 타시는분들 중에 정체시나 주행시 위험하게도
차로 중앙으로(1/2차로 차와차 사이) 쏘시는분들을 보면 참 위험하다는 생각이듭니다
실은 어제도 정체/서행이 반복되는중 급정거를 못본 바이크 3대 때문에
사고가 날뻔 했었거든요..
자부심을갗고 정규교통법규를 지키며 운행하시는분들이 많은줄 알면서도
몇몇 바이커들의 무리한주행에 움찔 할때가 많은게 사실입니다..
중앙에서 갓길로 갓길에서 1차로 이럴때 사고라도 난다면 분명히
차량보다는 바이크측 데미지가 클텐데 말이죠
차와 마찬가지로 오토바이도 동호회 활동들 하시는분이 대부분 이실것 같구요
정말 궁금해서 질문 드려봅니다..
바이크는 동호회 차원에서 운행하실때
안전상 제가 말씀드리는 경우에 대해서 계도하는 프로그램이 있으신지요??
바퀴는 두개이지만 가격이나 덩치로보면 분명 차량인건 사실인것 같아
항상 사주경계를 하고 운행을하는 운전자들은 그렇다쳐도
여성이나 초보운전자분들 에게는 더욱 위협이 될수있는 주행라인들을 많이 봐오면서
항상 궁금했던차에 질문드려봅니다..
진영님께서도 위험한 주행을하는 라이더들에게는 많은 조언을 해주십사 부탁드리며
항상 안전운행/방어운전 하시기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