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um
명근님 터널 패닝샷~~너무 부러워서...
새벽에 친구 꼬셔서 사진찍고 왔습니다..
번들렌즈로 찍을려니 이거 완전 힘드네요~~~ 흔들림 보정도 느려터져서.. 아주 고생했네요^^
새벽에 뭐하는 짓인지 모르겠네요 ㅠㅠ

- bt20-3.jpg (22.9KB)(6)
- bt24-3.jpg (18.0KB)(4)
- bt2-3.jpg (23.4KB)(4)
- bt4-3.jpg (24.9KB)(4)
- bt5-3.jpg (22.6KB)(4)
- bt6-3.jpg (24.0KB)(4)
- bt8-3.jpg (24.9KB)(4)
- bt9-3.jpg (22.7KB)(4)
- bt11-3.jpg (21.4KB)(4)
- bt12-3.jpg (267.2KB)(4)
- bt13-3.jpg (25.8KB)(4)
- bt17-3.jpg (23.2KB)(4)
- bt18-3.jpg (23.4KB)(4)
- bt19-3.jpg (23.0KB)(6)
패닝샷이란게 뭐져???
일반 사진과 다른게 뭐가 있을까여??
너무 무식한 질문인가ㅜㅜ
쪽팔림을 무릎쓰고 용감하게 여쭤봅니당.. ㅎㅎ

panning shot입니다.
파노라마(panorama)의 약자처럼 쓰이는데요, 파노라마 효과를 위해 카메라를 수평 (혹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며 촬영하는 기술입니다. 자동차 쪽에서는 대체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같이 따라가면서 찍으며 셔터 스피드를 느리게 하면 주변 배경은 흘러가는, 역동적인 주행 사진이 나오죠. 물론 영상 쪽에서도 쓰이구요.
예전 필카(슬라이드) 시절에, 고참 사진기자 선배들은 팬 사진 찍을 때 모터 드라이브 안쓰고 두세컷 만에 끝나는 것을 보고 혀를 내둘렀던... 차 시승기가 24컷 한통으로 완벽하게 나오는...

강효석님^^ 눈썰미 완전 좋으시네요^^
김주현님^^ 감사합니다. 번들렌즈정말 어둡긴하네요^^
이기표님^^ 전 노틴팅이 더 좋습니다.^^ 저두 썬팅은 진한거가 좋아라 하지마.... 낮으면 낮을수록 전 틴팅은 않하는습관이 있어서요^^ㅋㅋ
김희재님^^ 감사합니다 어째.. 그란5가 컨셉인데 비슷하게 나왔을까용??ㅋㅋㅋ
차덕선님^^ 제가 찍은건 패닝이라고 하기도 좀... 어정쩡한 사진이지만... 동희님이 말씀하신데루가~~~~정의에요^^
제꺼는 좀,.. 어설푼... 그낭 사진이에요^^
이동희님^^ 완벽한 정의 감사합니다.^^ 예전 필카시절에.. 패닝샷찍는다고... 처음 찍으러갈때.. 필름 모두 날려먹은 기억이 아주 ㅋㅋㅋㅋ eos-5 에 무식한모터드라이브 하나 결합후.. 나갔다..허접한 실력에 필름만날리고 들어왔던..
기억이 생생하네요^^ㅋㅋ

이런저런 패닝샷을 아주 많이 찍었었기에 혹시 도움이 되실까 딱 한말씀만 드려보자면, 조리개를 좀 더 조이고, 셔터스피드를 조금 더 느리게 해서 패닝효과를 더 높이셨으면 어떠했을지요.. ㅎㅎ 물론 그렇게 하면 차까지 흔들려 건질 사진은 더욱 줄겠지만 그중에 하나 잘 건지면 훨씬 스피디하고 역동적으로 보이지요 ㅎㅎ

ㅋㅋㅋ 현님님... 저두 그렇게 찍으려 했으나... 조명이 어두운 터널에서그리찍기가 좀 힘들어서요^^
조리개 최대개방에... 완전 높은감도수에..그나마차량 흔들림보정할수있는 40-60초로 보정해서 찍었습니다. ㅠㅠ
렌즈가 번들이라 조리개값이 4라.. 이거 뭐하기가 정말 그렇더라구요^^ 현민님 팁감사합니당...^^

혹시 기분나쁘시면 말씀하시면 삭제할께요~ 제 마음대로 사진을 퍼가서 패닝 효과를 더 주는 보정을 해보았습니다.
더 패닝스럽지 않나요? ㅎㅎ
^^
그렇군여...
사진찍는 차와 찍히는 차가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셔터 스피드가 느릴수록 더 멋진 패닝샷을 찍는 관건인거 같은데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여??
// 덕운님 지난번에 반포한강에서 한번 뵈었었지여?? ^^ 기억하실랑가 몰겠네예~~~~~~

저렇게 같이 달리면서 찍을수도 있고, 움직이는 차를 따라가듯 돌리면서 찍을 수도 있지요.
달리기 전에, 정지 상태에서 구도를 먼저 보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찍을 것인지 미리 확인하고, 화면 안에 들어오는 구도를 정해서
(차량의 위치, 크기, 부분, 배경과의 조화, 헤드라이트 등 등화 작동 유무 등등등..)
차량이 멈추어 있는 상태에서 미리 한두 컷 찍어봅니다.
화각과 구도가 단순해지는 단렌즈 말고 표준 줌 렌즈 정도를 끼우면 좋죠.
어차피 조리개를 조일 것이라 렌즈 밝기는 중요하지 않습니다만, 빛의 양이 적을수록 해상도 부분을 신경써야 하느라 역시나 비싼 렌즈가 제값을... --;;;
그러고 실전에서는 배경을 고려하며 찍는거죠. 김덕운님 말씀처럼, 필카 시절에는 모터 드라이브 걸어놓고 좌라라락 한번이면 한롤이 끝인데, 멋진 사진의 부푼 꿈을 안고 현상한 후에는 한장도 못건지면... 그 허무함이야 이루 말할 수가 없죠. 요즘 디지털이야 그럴 걱정이 줄긴 했어도, 나중에 좋은 사진을 고르는데 드는 시간낭비를 줄이려면 미리 해보는 것이 좋죠.
사진 멋지네요^^ 요기가 어딘가용?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