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안녕하세요.
즐거운 추석 보내셨나요..
짧은 휴일에 고향에도 못내려가고 아기만 봤습니다.
9월초에 새차를 출고하고 고소도로를 자주 이용하니까 나도 하이패스를 장만해보자...영업사원에게 다른거 필요없고
하이패스나 하나 주쇼...
우리나라 하이패스가 RFID방식과 적외선 방식 모두 있는지 처음알았습니다.
어느 방식이 더 좋다라는 의견도 분분하지만 주변에서 적외선방식이 더 좋다라는 의견이 있어서 그래?! 생각하고 있는데
마침 적외선 방식을 갖다 줍니다.
미리 하이패스 후불카드도 준비하고... 하이패스를 받을 때까지 현금 톨게이트를 지나면서
징수원과 손으로 주고받던요금을 카드터치로 지불하는 방식으로 하이패스에 대한 적응을 하고 있었죠..
차를 너무 멀리 세워 팔을 쭉 뻗어 바들바들 떨며 겨우 체크하기도 했었죠..
드디어 하이패스 단말기를 받고 매뉴얼대로 앞유리 가운데 10cm저도 띄워서 장착을 했습니다.
물론 전면 선팅도 없고 새차라 창도 깨끗합니다.
매주 월요일이면 행신동 집을 출발하여 외곽순환도로 고양IC를 이용하여 구리IC로 빠져나와 횡성으로 출근을 합니다.
돌아올때는 역순으로 돌아오죠.
처음 하이패스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설레임으로 천천히 진입을 합니다.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뉴스를 접한지라 긴장합니다.
파란색 유도선을 딱 가운데로 천천히 진입합니다.
삐요 삐요~~~
첫 진입에 삑사리가 났습니다.
OLED표시창엔 카드오류라는 메시지...이럴수가...
다행이 차단봉은 없어 그냥 통과하여 나왔습니다.
두번째 게이트...
긴장 긴장 초긴장입니다.
파란색 유도선을 또 가운데로 하고 제한속도인 30km보다 더 낮은 속도에 심지어 비상등까지 켜고 진입..
무사통과..
세번째 구리 게이트..
전과 같은 방식으로 통과했으나 역시 오류...
아!! 이게 아닌데...
그 후로 국도로 달려도 되는 길에 일부러 하이패스 테스트를 위해 고속도로를달리며 테스트를 했습니다만
실패와 성공을 반복합니다.
주요 오류는 카드방향오류, 카드오류라고 영업소에서 확인했습니다.
일단 영업사원에게 항의전화를 했더니 구입한 김포영업소에 가보라고 합니다.
꾹 참고 9월 30일 퇴근하면서 기나긴 정체를 뚫고 김포영업소 주차장을 찾아갔습니다.
돌아오면서 미지불된 통행료를 보란듯이 지불하면서 판매부스를 향해 성토했습니다.
사고날뻔 했잖아요....어떻게 좀해주세요....
책임자인듯한 사람은 단말기를 바꿔주려고 하고 옆에 직원은 나름의 변명을 늘어놓습니다.
얘기가 길어졌는데 다시 교환한 단말기도 똑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됐다 안됐다...
가운데 경보장치가 있음을 알리는 빨간색 램프가 깜박이는, 그것 때문에 안되나 라는 생각에 가려보지만 역시 않됩니다.
타사 동일 방식의 단말기를 소유한 친구는 같은증상이 있어 A/S를 보냈더니 감지하는 출력을 올려주더라는 얘기를 듣고
문의했더니 안된다고 합니다..
주말에 또다시 김표영업소를 방문하여 다른 기종으로 교환해야겠습니다.
일본에서 유학하면서 ETC를 면저 경헙했습니다.
일본에서 장착위치도 반드시 정면 창에 장착하지 않아도됩니다.
콘솔박스에 넣어두면 되는지 안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대쉬보드 아랫쪽에 대부분 장착하고 다닙니다.
IT강국인 우리나라에서 안만드는건지 못만드는건지 미관상 보기도 좋지않은데 왜 창 가운데 장착해야되는지에 대해서도 짜증나는데 작동까지 불량이니 환장하겠습니다.
좋은 하이패스 단말기 있으면 추천좀 해주세요...
참고로 제 차는 라세티 프리미어 디젤입니다..ㅜㅜ
단말기는 애니톨 SSE-500이구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저도 하이패스 쓰는데 창 가운데 장착하지 않아도 됩니다. 전방 시야 가리는 걸 무척 싫어하는 편이라 왼쪽 유리 아랫편에 네비와 겹쳐서 장착해서 씁니다. 그래야 시야에 안가리더라구요. 전면 썬팅도 되어있지만, 단 한 차례도 에러난적 없었습니다. 아마도 기기 이상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제가 쓰는건 좀 오래된 모델(LG 텔레콤에서 파는 모델)이라 요즘 나오는 아이패스 추천합니다. 동호회에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많이 추천하는 기종인 것 같더라구요. 아, 그리고 전원선 싫어하시는 분들은 배터리 내장형 사세요. 한 번 충전하면 3개월 정도 쓰기 때문에 충전이 그리 귀찮지 않습니다.

마음 편히 꺼놓고 그냥 줄섭니다. 모든게 완벽해지면 쓰려구요.
행신동 반가운 마음에~ 세차할 때 한 번 뵙죠. 저는 은빛마을 입니다.

엠피온 리노 씁니다. 저도 거추장스러운게 싫어서 까만놈/배터리 찾다가 찾은 제품이네요. 백미러 뒤에 달아서 운전석에서 안 보이게 해놨습니다. 다행히 에러난 적은 없군요. 인터넷에서 구입하는게 더 저렴해서 그렇게 했습니다.

하이패스와네비게이션을 붙여놓으면 오류가 생기는경우가있는거 같습니다
대시보드 중간에 네비를 장착하고 바로 그옆에 하이패스단말기는 유리창에 떡하고 붙여놓으니까
네비는 gps 신호를 받았다 끊었다 하고 하이패스 통과할때는 오류라고 삑삑 거리고
그래서 하이패스를 계기판중간바로윗쪽유리위치로 옮기니까 아무이상이 없었습니다
RF보다 IR이 좋다는 얘긴 처음 들어봅니다; RF는 설치위치에 제약이 없지만, IR은 정확한 위치에 있지않으면 인식오류 뜰 확률이 높거든요. (적외선이니까요)
배터리방식은 IR입니다. RF로 쓰려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파워공급이 필요해서 배터리로는 힘들다고 하더군요.

http://blog.paran.com/compaqmania/26142991
제가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Tn A100이라는 제품이구요.
9V 건전지 들어갑니다.
저때, 구입하며 같이 넣어준 건전지 아직도 사용중이네요. ㅎㅎㅎ
저는 운전석쪽 가장 가장자리 아래쪽에(흔히 전화번호판들 놓아두는 위치) 붙였구요.
여태껏 오류 단 한번도 난 적 없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제품은 IR 방식이라고 들었습니다.
전면틴팅(세라믹 열차단필름) 되어있구요.
덩치도 작고 전원선도 없고, 깔끔해서 지금까지 아주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네요.

전, 도로공사에서 나온 최초모델 제품과 TN 쓰는데 두 모델 모두 권장위치가 아닌 데쉬보드 좌측과 룸미러 옆쪽에 있습니다. 오류난적 한번도 없네요. 도로공사 모델은 어뎁터 사용이고, Tn은 배터리 사용모델입니다.

아이패스(IR) 쓰고 있습니다. 룸미러 뒤 조수석쪽에 디스플레이만 제 드라이빙 포지션에서 살짝 보일 정도로 장치해서 쓰고 있는데요... 딱 한 번 오류(?)가 난 적이 있습니다.
제가 카드를 뺐다가 다시 안꽂아서... -_-
다행히 차단봉이 없는 톨이었더랬습니다.

엠피온 티니 쓰는데 한번도 오류난적은 없습니다.
RF방식이며 룸미러 뒷편(선팅된곳)에 장착했고 배선을 천정과 앞유리 틈새로 하여 전혀 보이지도 않습니다.
크기도 아주 작죠..

물건 자체가 문제가 있는것일것 같군요.
모든것에 100%란 없지만 하이패스서비스가 정식 런칭을 한건데 검증없이 된건 아니라고 봅니다.
10만원 정도하는 충전식 아이패스것도 오류 한번도 없었고 4.5만원짜리 스피드메이트 머라고 써있는 싼놈도 오류 한번도 없었습니다.
두대 모두 전면틴팅 없고 장착위치는... 한대는 앞유리 가운데 아래, 한대는 운전석쪽 전면 아래입니다.

충전식이 아닌 후불하이패스 카드시라면, 액정없는 아이패스 이코노 추천드려요. 가격도 액정있는거
보단 저렴하구요. 저는 퓨즈박스에 상시전원 연결해서 A필러와 천정과 앞유리 틈에 선을 밀어넣어서
룸미러쪽(까만 체크무늬)에 부착했는데요. 좀 달려도 오류 한번도 없었습니다.^^
초창기부터 하이패스 쓰고있는데 올해 8월까진 이상없었는데... 요즘은 반은 인식오류나고 반은 오류없이 통과됩니다
차단봉 치고 지나가는게 이젠 아무렇지도 않습니다 ㅡㅡ;;;

전 도로공사에서 2년 임대로 팔았던 기본형(RF)방식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거잭 전원용이지만 RF이기에 한동안 사물함에 너어 두고 사용하다가 카드 빠진채로 들어가다 오류 난 이후로
계기판 아래 공간에 붙여서 사용중입니다.
IR쓰시면 동호회에 혹시 솔라콘트롤글라스 때문에 그런건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저 처음 살때 IR사려고 하니 솔라콘트롤글래스 앞유리 차는 에러가 날 수도 있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엠피온제품으로 3종류째 쓰고 있는데, (제가 두종류, 하나는 친구) 셋다 아직까지 에러 한번도 안났습니다. ^^; 방식은 신경을 끄고 있어서 뭔지 미확인. (100키로 이상으로 지나가도 잘 체크하더군요 쿨럭. 요즘은 안그럽니다. ;;;)
장착은 두가지는 FM대로 대쉬보드 중앙, 한가지는 운전석쪽에다 장착했는데 잘 되더군요.

하이패스 통과하는게 아주 스릴 넘칩니다.
통과할 수 있을까 없을까...무사 통과하면 안도의 한숨을 쉬고 사이렌이 울리면 .... 울려도 브레이크 밟지 말아야지 하지만..
회원님들의 고견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솔라콘트롤 글래스는 별 문제가 아닌것 같습니다.
심지어 열차단 필름도 문제가 없다는 의견도 많이 있구요..

일본의 ETC는 RF 방식입니다만 이것도 간혹 기계의 문제로 인해 구설수에 오르곤 합니다.
(고속도로 입장은 잘되었는데 나오다가 인식 불능이 된다거나...등)
한때 미츠비시 전기제 ETC 기기에 문제가 있어서 리콜 하느라 정신없었죠.
그거 받아서 팔았던 칼소닉도 한동안 그 문제로 고생했었던 기억이...(정직원들이 회사 물건이라고 구입하고 또 주변 지인들에게 추천했는데 문제 생기고 나서 그거 수습하느라...)

TNA100 씁니다,,,,추천도 하고요,,,에러 단한번 (1년6개월)없었으며 앞유리 썬팅/운전석 맨위 아주잘됩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일종의 편법을 말씀드리자믄...
카드를 인스톨(ㅋㅋ)하실 때, 주유소에서 주는 세차권 같은 것을 함께 넣어보세요.
밀착이 되지 않아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저도... 몇 번 바꿔달라고 이야기해보다가
지쳐서 나름의 방법이라 생각되어 세차권 집어넣고 다닙니다.
이후로는 별다른 문제없이 작동 잘 합니다.
단말기는 초창기의 무식한(^^,) 회색 덩어리입니다.

저도 무식한 초창기모델(IR) 초창기부터 쓰고 있습니다.
초기에 두번쯤 대시보드 위에 던져두었다가 오류겪고는, 이후부터 항상 오른손으로 들고 통과합니다. (자유의 남신상. ㅋㅋ) 그 이후엔 글로브박스로...
제 라프디에는 애니톨 200(?) 구형모델(IR 방식)을 룸미러 좌측에 부착해두고 있습니다만, 잘 됩니다.
정면 창에 두기 싫으면 RF 방식을 쓰셔야겠죠.
혹시 솔라컨트롤 글래스 들어간 모델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