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클러치 조작 때문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 올려봅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면허따려고 학원에 다니길 시작했는데
학원 내에서 교육 받다가 모르겠는 부분이 있더라구요.
연습장 내에서는 클러치 조작(기어는 1단 고정)으로만 돌아다니고 있는데
연습용 차량 외에 실제 도로 주행에 쓰이고 있는 차들도 1단으로 출발할 때는 액셀을 밟을 필요가 없나요?
1단으로 출발하더라도 보통 액셀 조작도 하면서 클러치에서 발을 떼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예상외로, 클러치만 이어줘도 쉽게 차가 움직이더라구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ps. 소형 트럭이라 그런건지 클러치에서 발을 떼고 있을 때에는 페달이 꽤 위로 올라와서
발을 페달에서 완전히 떼고 있기가 생각보다 힘들던데 반드시 클러치 페달에서 완전히 발을 떼야하는건가요?
(아니면 제가 좌석 위치 조절을 잘못 한건가요? 클러치 페달에 유격이 있어서 그런건지 클러치를 약간만 밟은 상태로는 클러치가 미끄러지는 소리가 들리진 않았습니다.-_-...)

장내기능이 기어변속구간이던가 한곳빼고요 속도제한 20이던가.. 그래서 대부분 학원에서 엑셀을 밝지 말라고 가르치는거 같던데요. 그리고 도로주행시 정차시나 변속후 클러치에 발을 대고 있으면 감점이었던가? 아마 그럴겁니다. 익숙해지면 쉽게 되는것들입니다.

1종 보통 이신가보네요.
디젤 수동차량들(특히 화물)은 저속토크가 크고 화물 적재및 적재 상태에서 등판을 위해 기어비가 아주 짧아서 액셀 조작 없이 클러치 떼는 것 만으로도 출발이 가능 합니다만. 학원에서 다른 차량들이 없는 상태에서는 그렇게 천천히 출발 하셔도 문제는 없는데 면허 취득후 필드(?)에 나오시면 저절로 액셀 밟으시면서 출발 하시게 될 겁니다.^^
가솔린 수동 차량들은 글쎄요..어지간한 차 아니면 클러치만 떼는 것으로는 출발이 어렵지 싶습니다. 설령 출발이 가능 하다 하더라도 반클러치를 아주아주 오래 동안 써야 하니 클러치 디스크가 빨리 소모 될 것 같습니다.(군에서 운전병을 했었는데 레토나 말고 구형 1/4 톤 차들은 1단에서 클러치만 살살 떼니 출발이 되긴 하더라구요^^)
그리고 주행중에 변속할 때 말고는 위에 분들이 설명 하신대로 클러치에 발 얹어 놓지 않습니다.^^
클러치 디스크 마모 및 릴리즈 베어링의 수명 단축을 야기 시킬 수도 있고 왼발을 클러치 위에 계속 얹어 놓으시면 바른 운전 자세 잡기에도 좋지 않습니다.^^ 변속시 말고는 왼발은 언제나 풋레스트에~ㅎ

가솔린 차량도 얼마든지 클러치 조작만으로 출발됩니다. 클릭따위의 풍부(?!)한 토크의 차량도 다 되는걸요. 다만 너무 느리니까 그렇게 조작할 일이 주차장에서 매우 천천히 조금만 움직여야 될 때만 쓸 일이 있다는 것 뿐입니다~ 나중에 직접 해 보시면 금방 아실거에요. 걱정 안하셔도 될듯.^^
답변 감사합니다.^^
강사님한테 여쭤보니 클러치를 살짝 밟고 있는 것 정도는 괜찮다는 대답을 하셔서
어떤게 맞는건지 헷갈렸었는데 이제 확실히 알겠네요.
테드에서 여쭤보길 잘했네요.ㅎㅎ
디젤은 1단에서 엑셀을 밟지않아도 쉽게 출발이 되죠. 하지만 가속이 매우 느리기때문에 보통은 '당연히' 엑셀을 밟아서 출발합니다. 디젤트럭들은 2단출발을 하는 경우도 많더군요.
가솔린차량은 1단에서 엑셀 안밟으면 출발이 매우 힘듭니다.
페달에서 발을 완전히 떼서 왼쪽에 있는 풋레스트에 올려놓고있는것이 기본입니다.
힘들다구요? 습관이 안되어있을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