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투스카니 2.0 오토를 타고 있습니다.
휠은 순정인 17인치 구 엘리사 휠을 장착하고 있어 현가하질량이 높은 편입니다.
싼값에 스포츠패드를 구입할 수 있어서 구 엘리사 캘리퍼로 업그레이드를 할까 말까 고민이 되네요.
제가 질문을 구하는 이유는 들이는 비용 대비 많은 차이가 있을까 하는 부분입니다.
현가하질량이 2kg 줄어든다는 장점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인지, 주철/알루미늄 브레이크의 차이가 큰지..
고속에서 브레이킹보다 120km 이하에서 와인딩에서 반복적인 브레이크가 많은 편입니다.
그래서 많이 장착하는 XG 2p보다 지금 시스템에서 약간의 업그레이드가 좋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사실 오래된 중고부품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값은 저렴합니다만
큰 차이가 없다면 굳이 돈을 들일 필요가 있나 싶네요. 경험이 적어 조언을 구합니다^^
모두 11인치 순정 디스크와 매치입니다.
1. 순정 주철 1피 캘리퍼 + 스포츠패드.
JSP Kevlar 카본 메탈 브레이크패드가 저렴한 가격에 있길래 냉큼 사버렸습니다.
평을 들어본 적이 없는 패드라서 조금 갸우뚱 하고 있습니다.
구입비 2.8만원선 + 장착은 DIY.
2. 엘리사 순정 알루미늄 1p 캘리퍼 + 순정
알루미늄 캘리퍼라 약 2kg이 감량됩니다. 현가하질량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중고가 약 4만원 + 장착비(브레이크액 등)
3. 엘리 순정 캘리퍼 + 스포츠 패드
구할 수 있는 스포츠 패드가 프레미오 패드인것 같습니다.
중고가 4만 + 패드값 7만원↑ + 장착비(브레이크액 등)

안녕하세요.. 저도 투스카니2.0오토^^;
3번 조합을 선택하신다면, 프레미오 패드 외에 맨스토이 패드도 있습니다.^^;

2번조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름만족하고있습니다. 투카오너들 투피로 많이들 가시는데..엑스지투피한 아반떼레이싱타본후 엑스지투피의 명성(?)은 느껴지지 않더라구요..반대로 그 아반떼레이싱오너 분이 제차타고 브레이킹에 살짝 놀래셨습니다.ㅋㅋ
2번하시고 간지로 로터에 구멍 몇방 뚫어주세요~ㅋㅋ

클투에서 쪽지보고 다시 리플드립니다.^^
엘리캘리퍼는 그냥 .0 순정캘리퍼와 개조없이 단순 1:1교환 가능합니다.
저도 중고로 사서 동네 카센터에서 갈았어요..ㅋ
패드는 엘리순정이 없어서. 기아 옵티마 리갈걸로 갈았던거 같네요..ㅋ

와인딩에서의 용도라면.. 그냥 2.0 순정 캘리퍼에 쓸만한 스포츠 패드 (하드론Z 정도면 충분),
그리고 할수 있다면 오히려 로터를 순정이 아닌 방열에 유리한 스타일로 구하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좀 더 여력이 있다면 브레이크 냉각 덕트를 뚫어준다면 와인딩용 스펙으론 더 낫지 않을까 싶네요..
사실 XG 투피의 경우엔 초반 답력이 좀 신경질적으로 느껴질만큼 강해서..
와인딩에서의 선형적인 답력의 브레이킹 컨트롤을 하는데는 오히려 좀 걸리적거릴수 있구요,
에쿠스 포피의 경우는 답력은 선형적이지만, 좀 무거워서.. 와인딩 용도론 무거울수도 있습니다.
일단 제동력의 증가는 개인적으론 '로터의 직경'과 패드의 재질에 영향이 컸던걸로 경험했습니다만..
고출력의 고속 주행스타일이라면 유사시에 200후반에서 100아래로 한방에 속도를 떨구는게 일단 중요하지만,
와인딩이라면 지속적인 브레이킹시의 로터와 캘리퍼의 냉각쪽이 오히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투스카니 2.0 수동 오너입니다
저는 일단 전부 굿리치 브레이크 호스 에 프론트 엘리사 알미늄 캘리퍼 + 맨스**에서 나오는 12"디스크용 브라켓 + 12" 순정 타공 디스크 + 맨스** 스포츠패드로..리어는 순정 11" 부품으로 전부 교체 했습니다
출퇴근용이라 성능은 모르겠고 보기는 참 좋습니다..
엘리용 맨스토이 패드는 전화로 주문하시면 될겁니다.
종전에 메일 받은게..
엘리사용 패드 77,000원
투스카니 리어 패드 60,000원
앞/뒤 패키지 구매하시면 운송비 포함 11만원
연락처 010-9070-5735 또는 010-4668-8236
이더라구요.
예전에 엘리사 순정 알루미늄 켈리퍼는 스피드웨이에서 주행하면 죄다 눌러붙어서 브레이크고착되어서 차가 어부바로 실려 나갔었는데.. 물론 무상교체가 되긴 했지만 , 이후로 부품 업그레이드가 되어서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궁금해 지네요.
2p 써보았던 경험자로써 2p 는 무조건 말리고 싶습니다. 무슨말인지 써보시면 압니다. 차를 직선에서 무조건 빨리세우는 목적이 아니라면 별볼일 없는 투자 입니다.

우선 스포츠 패드를 장착하여 겨울을 난 뒤에 전반적인 메인터넌스를 하면서 엘리캘리퍼 및 스포츠패드로 업그레이드 하기로 했습니다.
관심 가지고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세라토와 투스카니에 적용되는 알루미늄 캘리퍼의 경우.
어느정도 지속시켜서 강한 브레이킹을 했을 경우. 정말 캘리퍼 고착현상으로 문제가 있더군요...(서킷에서 세라토 고착된거 2번 보았습니다.엘리사 1번.)
냉각성능이 좋은 로터와. 덕트를 매치시켜서 사용하지 않고서는 캘리퍼 용량의 증대가 필요할 듯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같은 차를 타고 계시군요^^ 변속기만 다르구요.
우선은... 현재 제 차량은 순정 디스크에 앞은 AJ레이싱 패드 이며, 리어는 알스타즈S1패드 입니다.
보쉬스포츠를 쓰다가 더이상 보쉬 에서 스포츠 패드는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AJ레이싱 에서 전에
받았던 것을 사용하는 중입니다.
엘리사 캘리퍼는 알스타즈에서 투어링A용으로 R1패드가 나오지만, 시중에 공급이 안됩니다.
그 외 스포츠 패드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며 R1패드는 정말 말그대로 레이스 용이라 일반
도로에서 타시기엔 좀 그럴 것 같네요.
그 대안으로 세라토용 알루미늄 캘리퍼 가 있는데 이 경우 도 마찮가지로 중고로 캘리퍼를
구입하기 쉽고, 패드가 kmsa나 알스타즈에서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2pot은 예전에 했었다가 시내주행이나 산 길에서 너무 초기에 너무 강하다고 생각해서
다시 순정캘리퍼로 돌아왔는데 여기에 용도에 맞게 패드를 구입하시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 합니다. 순정캘리퍼도 의외로 다양한 패드를 입맞에 맞게 끼울 수 있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