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보적이고 유아틱한 질문드립니다.

 

보통의 대부분의 국산차량은 대부분이 front 휀더갭이 rear 휀더갭보다 크다고 알고 있습니다. 특히 FR방식 + 맥퍼슨 스트럿을 체용한 차량은 더욱더 그러하구요..

 

때문에 차고의 세팅은 휀더갭을 기준으로 맞추는것이 아니라 차체의 수평으로 맞추는것이 정석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타고 있는 차종을 로체인데 로체라는 차량은 앞쪽과 뒤쪽은 휀더갭이 순정상태에서도 상당하게 차이가 납니다.

 

여기에 코일오버를 통한 차고 세팅을 한다면 자유롭게 세팅이 가능하겠지만 저의 성격상 메인터넌스에 꼼꼼하지 못하므로 그냥 일반적인 컷킷 즉 다운스프링을 세팅했습니다.

 

일반적인 차고의 높이는 동호회의 사진들을 통해서 알아보았고 차고의 벨런스도 동호회를 통해서 알아보고 선택했습니다.

 

헌데 고민은 아이박이라는 유명한 회사의 스프링은 제가 생각하는 차고의 수평이 아닌 앞뒤 휀더갭을 통한 수평을 맞춘 제품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아이박이라는 걸출한 이름답게 가장 안정적이고 소프트한 승차감과 다운되는 양도 무리가 되지 않는 수준이라는것이 좋아보이긴 하지만..  흔하게 통용되는 손가락 2.5개 앞뒤 동일 이라는 다운수치는 맘에 들지 않아서요..

 

즉 앞뒤가 동일한 손가락이 되면 결국에는 수평이 아닌 뒤가 들려버리는 세팅이 되는데..  이건 약간의 손해가 아닐지요? 

 

동일 차종에 적용되는 다른 메이커의 스프링 H&R, 다나베, 테인등의 외산 스프링과 국산 메카튠, 프롭, 스톰등등의 스프링은 모두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흔히 말하는 손가락 높이가 앞쪽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수평이 완벽하게 유지되는건 아니지만 아이박보다는 수평에 가까운 차고는 확보되는 수준입니다.. H&R과 다나베 테인은 국산 스프링보다 약간더 앞뒤의 차이가 크더군요..(앞쪽이 높아보임)

 

과연 아이박이라는 정석에 가까운 메이커가 왜 수평보다 휀더갭을 기준으로 스프링을 만들었을까요?

(뒤쪽이 처지지 않아서 동호인 사이에 인기는 많더군요 특히 lpg붐베를 뒤쪽에 실은 lpi차량에도 뒤쪽과 앞쪽의 차고가 동일하게 보입니다.. lpi차량은 거의 아이박이 정석??!이더군요^^)

 

여담이지만 완벽하게 수평을 세팅할려구 측정해보니까 로체의 경우에는 앞쪽은 손가락2개 뒤쪽은 손가락 반개 정도가 수평이었습니다.. (즉 앞뒤 휀더갭이 2~ 2.5cm이상 차이가 나야되는^^)흔히 말하는 자세는 영 아니었습니다.. ^^

 

그냥 궁금함해서 여쭤 봅니다.. 답을 아시는 고수님 리플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