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이 좀 길고 두서없음을 양해 바랍니다
제가 작년에 미국에서 E46 M3를 이삿짐으로 들여왔을 느낀겁니다만,
구형이 된 모델은 한국에서 팔 때의 중고 시세를 감안했을때에 미국에서 가지고 오는 경우가 오히려 손해일때가 많은 것 같아서 여러분들께 여쭙니다.
제가 지금 미국에 체류 중이고 내년까지 몇개월을 더 있다가 들어갈 계획입니다.
미국에서 E39 M5 상태 좋은 녀석들 (2002년식, 모니터 및 스티어링 휠 후기형 모델, 약 5만 마일) 정도 된 녀석들이
약 $ 25,000~30,000 정도 하는데요, 이 놈을 직접 수입한다고 봤을때, 실 구매가의 35% 세금 내면 약 천만원 가량 더 내게 되어 이래저래 3,500~4,000만원 좀 넘게 되는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E39 M3 매물들 (10만 키로, 1999~2000년식) 대부분이 이천만원 중후반~삼천 정도에 거래되는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 실구매가로 세금을 낸다고 봐도 한국 중고 가격을 상회하게 되는데
켈리 블루북 가격으로 매길 경우 총 비용이 육천만원 (미국 현지 구입비 + 운송비 + 관세 등) 가까이 들 수도 있게되나요?
상태좋은 2002~2003년식 E39 M5 나 <벤츠 SLK350 수동모델> 같이 한국서 구할 수 없는 모델들은 개인 직수가 유일한 방법인듯 한데,
켈리 블루 북의 세금을 낼 경우 우리나라 사는 경우보다 돈이 더 들어 가는 것 같아 여쭙니다.
질문1. 위와 같은 차량 외에 슈퍼카 급의 차량들은 켈리 블루북이 아니라 미국현지 구매가의 35% 정도 세금이면 한국보다 싸게 구매할 수 있을 거 같은데,,,
구매가 기준으로 세금 내는 것이 가능합니까 (유리한 법 적용등을 통한)
질문2. 미국에서 2001년식 람보르기니 가야르도 8만 ~ 9만불 (약 1억 미만) 정도면 구매 가능한데 (한국에서는 비슷한 차량 약 1.5~2억에 구매 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도 실 구매가로 세금을 내게되면 한국 구매가 보다 싸게 사게 되는데 (인증문제는 일단 나중에 고민하고 일단 가격적으로만 생각했을때 말입니다... ----> 람보같은거 인증받기가 그렇게 힘든가요?)
켈리 블루북으로 세금계산하여 차량가액을 2~2.5억 을 매겨버리면, 세금이 어마어마하게 붙어서
총 금액이 한국구매가를 넘겨버리게 되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전 2008년도에 E46 M3 를 이삿짐으로 반입한 적이 있습니다. 10년 내로는 다시 이삿짐 반입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관세청에 문의해보니 풍문으로 듣던 것보단 생각보다 제약이 덜하더군요.
저도 얼마전 일본서 타던 차량을 가지고 들어오려고 세관에 문의를 해봤었는데 론이라던가 리스 차량도 추가 증빙서류(론 또는 리스 계약서, 본인 명의 보험 가입 증명서 등 실제로 소유했음을 증명할 서류) 가 있으면 이사짐으로 인정을 해준다고 하더군요. 그간 본인 명의로 등록된 차량만 가능하다는 조금은 두리뭉실한 풍문 때문에 론 이나 리스 차량은 해당 사항이 없는걸로 알고 있었거든요.
그리고 저의 경우에는 중고차 거래 가격보다 레드북(일본이라서요)에 의한 잔존율 계산결과가 훨씬 저렴하더군요. 2001년식이라서 그런지....
개인적인 사정으로 알아보기만 하고 차는 일본서 정리하고 왔습니다만...ㅠ.ㅠ.
두분 조언 감사 드립니다.
이삿짐 자격이 제가 기억하기로는 6개월 이상 체류, 3개월 이상 소유로 알고 있는데 맞습니까?
슈퍼카 기준으로, 이삿짐이 아니라 단순 개인 직수로 할 경우에는 세금 책정이 어떻게 됩니까? 이삿짐의 경우 KBB 가격의 잔존율로 한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작년에 이사짐으로 가져와 보셨으니 아실 것 같은데요..
이사짐은 구입가 기준으로 세금을 내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지인의 이사짐 반입때문에 제가 세관에 문의해본 결과 그렇습니다..
KBB 기준 중고차량 가격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KBB 기준 신차가격에 연식에 따라 감가상각을 한 차량가격에 세금을 부과합니다..
02 M5 정도면 3만불에 대한 세금을 내느니 현재 신차 기준가격에 대한 7년 사용후 잔존율 13-18%에 대한 세금을 내는것이 더 싸지 않나요??
수퍼카 급의 차량들은 직수입보다는 이사짐이 낫습니다...
왜냐하면 KBB 신차가격의 잔존율로 따지는 세금이 실구입가에 대한 세금보다 저렴하고 직수입시 인증을 두세번 받아야 할 경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기본검사만 받고 끝내는것과 인증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것과는 전혀 다르죠...
이사짐 반입 이후 10년내로 이사짐 반입이 안된다는 말은 어디서 들으셨는지요??
이사짐 반입은 자격만 갖춰진다면 제한이 없습니다..
저는 2005년에 한대, 2007년에 한대 이렇게 이사짐으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