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법제처 보도자료 일부 입니다..
- 법제처의 ‘국민불편법령’개폐사업 결실로 운전면허취득절차가
현행 7단계에서 3단계까지로 축소, 30만원 이상 비용절감 기대 -
□ 최근 전라북도 완주군에 거주하는 68세의 한 할머니가 950번의 도전 끝에 500만원 이상의 비용을 쓰고 필기시험에 합격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진 바 있는데, 앞으로는 운전면허시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등의 노력이 대폭 절감되어 주민등록증에 이어 ‘제2의 신분증’으로 사실상 통용되고 있는 운전면허증의 취득이 쉬워질 전망이다. □ 법제처(처장 이석연)는 현재 운전면허를 취득하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7단계의 절차를 대폭 축소, 3∼5단계로 변경하는 내용을 담은「도로교통법 개정안」과 「도로교통법 시행령 개정안」이 11월 17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여 조만간 시행될 예정이다. - 법제처는 현재의 운전면허취득절차가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들고, 여러 단계의 시험을 거쳐야 하는 등 국민에게 불편한 제도로 작용하고 있어 이를 법제처에서 추진 중인 “국민불편법령개폐사업”의 핵심과제로 지정, 지난 2008년부터 그 개선을 주무부처인 경찰청과 함께 추진하여 왔다. □ 운전면허 취득절차가 간소화 되는 내용을 살펴보면, ○ 먼저 현재 7단계인 운전면허시험장에서의 면허취득은 3단계로 축소된다. - 교통안전교육은 강의, 시청각교육 등에 의한 3시간 유료 교육이던 것을 시청각교육 중심의 1시간 무료 교육으로 개선하면서, 학과시험 직전에 같이 교육하도록 하여 응시자의 부담을 줄이게 된다. - 기능교육 및 도로주행연습은 폐지되고, 기능시험과 도로주행시험은 통합하여 실시된다. - 학과시험은 50문항에서 40문항으로*, 기능시험은 15문항에서 11문항으로, 도로주행시험은 39항목에서 35항목으로 그 평가항목이 각각 축소된다. *학과시험 평가항목 조정은 2008년 12월22일부터 취득절차 간소화 차원에서 기시행되고 있음. ○ 다음으로 현재 7단계인 운전전문학원에서의 면허취득은 5단계로 축소된다. - 기능교육시간은 수동변속기인 경우에는 20시간에서 15시간으로, 자동변속기인 경우에는 15시간에서 12시간으로 축소된다. - 도로주행연습은 15시간에서 10시간으로 축소된다. - 교통안전교육 시간의 축소․무료화 및 학과시험과의 동시 실시, 기능시험과 도로주행시험의 통합 및 학과시험․기능시험․도로주행시험의 평가항목 축소는 운전면허시험장에서의 면허취득의 개선 내용과 같다. 운전면허 취득절차 간소화의 구체적 내용 취득절차 운전면허 시험장 (7단계 → 3단계) 운전전문학원 (7단계 → 5단계) 적 성 검 사 현행 유지 (1단계) 현행 유지 (1단계) 교통안전교육 3시간(1만2천원) → 1시간(무료) 강의․시청각교육 → 시청각교육 《시행령 제37조 및 제84조 단서》 좌동 학 과 시 험 50문항 → 40문항《시행규칙 제63조》 (2단계) 좌동 (2단계) 기 능 교 육 3시간 → 폐지《법률 개정안 제83조제4항》 수동 : 20시간 → 15시간 자동 : 15시간 → 12시간 《시행규칙 제107조 및 별표 32》 (3단계) 기 능 시 험 15문항 → 11문항《시행규칙 제67조 및 별표 25》 좌동 도로주행시험과 통합 허용《법률 개정안 제83조제5항》 도로주행연습 10시간 → 폐지《시행령 제49조제2항》 15시간 → 10시간 《시행규칙 제107조 및 별표 32》 (4단계) 도로주행시험 39항목 → 35항목《시행규칙 제68조 및 별표 26》 (3단계) 좌동 (5단계) □ 이러한 개선내용은 「도로교통법 개정안」과 「도로교통법 시행령」 및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각각 반영되어야 비로소 실시될 것인데, 국회의 의결이 필요한 법률개정사항인 “운전면허시험장의 기능교육 폐지 및 기능시험과 도로주행시험의 통합”을 제외한 내용은 시행령과 시행규칙에 반영되어 바로 시행될 예정이다. - 즉 4종류의 개선사항(교통안전교육시간 감축․무료화, 각종 시험의 평가항목 축소, 운전전문학원의 기능교육시간 축소, 도로주행연습의 폐지 또는 시간 축소)은 「도로교통법 시행령」과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반영하여 2010년 2월 중순경(공포 후 3개월 경과한 날)에 바로 시행될 예정이다. ※ 법령 개정에 따른 운전면허 취득절차 비교 1. 현행 운전면허 취득절차 (7단계) 적성검사 → 교통안전교육(3시간) → 학과시험 → 기능교육(3시간) → 기능시험(연습면허 취득) → 도로주행연습(10시간) → 도로주행시험 2. 정부가 바로 개선할 수 있는 시행령·시행규칙 개정 후 운전면허 취득절차 (5단계, 운전전문학원은 6단계) 적성검사 → 교통안전교육(학과시험 직전 1시간) 및 학과시험 → 기능교육(3시간) → 기능시험(연습면허 취득) → (운전전문학원: 도로주행연습) → 도로주행시험 3. 법률 개정 후 운전면허 취득절차 (3단계, 운전전문학원은 5단계) 적성검사 → 교통안전교육(학과시험 직전 1시간) 및 학과시험(연습면허 취득) → (운전전문학원: 기능교육과 도로주행연습) → 기능 및 도로주행시험 □ 이러한 운전면허 취득절차의 간소화가 완전 시행되면, 운전면허 취득에 소요되는 시간은 운전면허시험장의 경우는 최소 9일에서 1일로, 운전전문학원의 경우는 최소 15일에서 10일 정도로 줄고 그에 수반되는 소요비용도 크게 줄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운전면허를 따는 데 필요한 비용은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취득하는 경우에는 14만4천원에서 5만6천원으로, 운전전문학원에서 취득하는 경우에는 현재 8-90만원이 소요되는 것보다 약 30만원정도가 절감되어 일반 서민들의 운전면허취득관련 비용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 절차를 간소화 하는것, 비용을 줄이는것 등 국민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이겠지만.. 우리나라 운전 면허 취득후 운전 수준을 생각한다면 절차와 비용을 줄이고 실제로 도움이되는 도로에서의 긴급상황시 운전 요령이나 긴급시 유용한 스페어 타이어 교환 방법, 방전시 시동거는 방법 등 이런종류의 시험을 신설 하거나 좀 더 강화 시켜야 한다 생각이 듭니다.. 작년에 두번째 적성검사 기간 도래로 면허시험장에 가서 적성검사를 받는 동안 너무나 형식적으로 하는 검사를 보면 도대체 뭐하는 것인지 하는 답답한 마음이 듭니다.

아 요즘 운전하면서 도로에서 개판으로 운전하는 사람들 점점 많이 보는데...훨씬 늘어나겠네요..
어제도 단방향 2차선 일반도로에서 역주행하는 차를 만나서 식겁했는데...-_-;;
(자기가 잘못 들어온거 알았으면 뒤로 빠져야 하는데 슬금슬금 계속 밀고 들어오는건 무슨처사인지..)
제도는 간소화 되고 교육은 지금보다 더욱 철저히 해야 되는데 그렇게 되지 않을거 같아 걱정이 앞섭니다.

취지는 좋지만... 도로가 점점 무서워지는.. 시대가 다가오는것 같습니다...
제 아버지도 운전면허 다시 취득 하신다고 하시는데...

알찬교육은 늘리고, 비용은 줄어들면 좋겠는데요..
아들녀석 지난주 학원 등록했다, 2월경부터 실시된다길래 취소했는데.. 아직 확정사항이 아니여서 그냥 보내야겠습니다. 냠..

저번에 얼핏 국내자동차시장 확대라는 이유가 있었던걸로 들었습니다....
카더라 통신이지만,,,,
현대차의 로비가 있진 않았을지..

사실 운전이라는게 극단적으로는 차가 하나의 흉기가 된다는 시각에선, 교육내용이 보강되지않고
단순한 간소화만으로 체제가 바뀐다면 후에 일어날일들은 정말 끔찍하기까지 하네요~~

무개념 운전자들이 더욱 늘어나겠군요...오늘도 외곽순환에서 1차선으로 7~80킬로정도로 정속(?)주행 하는 다마스때문에 1차선 차들이 기차놀이를 하더군요...앞쪽으로는 뻥~ 뚤렸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1차선주행...김여사는 아니고 김기사였습니다...무슨생각으로 1차선에서 70킬로정도로 주행하는지원...

안그래도 면허발급 후 운전연습을 모두 길바닥에서 하고 있는 판국에 도로는 막히고 위험하기만 하거늘...
더욱 어렵고 실질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건 고사하고 더욱 줄어든다니...개탄할 노릇입니다.

아~ 오늘도 출근길에 앞차가 갑자기 서길래.. 뭐지? 했는데..
그대로 차를 멈춰선채 던킨도너츠로 들어가시는 아주머니 때문에..
미X듯 화가 치밀었는데..
더한 인간들이 많아 지겠군요~ 젠장~ ㅡㅡ;
점점, 운전하기가 힘들어지는것 같습니다.
어찌 이나라는 교육에 대해서는 빵점인지.. ㅡㅡ;
'절차와 비용의 간소화' 라는 문제와
실제 길위에서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 에 대한 대책이 점점 간소화되고 있는것에 대한
걱정이 한참을 앞섭니다.. ㅠ.ㅠ 지금도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데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