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교환 잘 하다가 막판에 밑에 좀 흘렸네요 으윽~.
안녕하세요?
오늘 브레이크액을 자가교체 했습니다.
일전에 패드를 교체하면서 같이 하려고 했는데 뒷 캘리퍼 니쁠의 방향이 하늘로 향해 있어 작업이 쉽지 않아
호스를 연결해서 작업 했습니다. 호스는 포터 워셔액호스를 구입했지요.
6x9mm 10미터. 1500원 17819-06000 품번을 외워버렸네요.
브레이크 패드는 JSP 케블라 카본 메탈패드라는 복잡한 이름을 가진 녀석으로
순정에 비해 분진은 많더라도 생각보다 소음이 크지 않아서 마음에 들고 있습니다 ^^
중간에 브레이크액 보충하는걸 깜박해서 브레이크액을 낭비해버렸네요(거기다 원래 물이 3분의 1정도 차있었음)
2006년도에 교환하고 다시 교환한 모습입니다. 2년간 주행은 약 2만여키로 했습니다.
제법 색깔에 차이를 보이네요. 이미 앞서 준비기에 올렸듯이
사용한 브레이크액은 GM대우 라세티 프리미어용 DOT-4+ 입니다.
끓는점 273℃
WET끓는점 174℃
동점도(-40℃) 700㎟/sec
리터당 약 7천원선으로 매우 저렴하면서도 품질과 성능이 좋은 녀석이지요
아무래도 자가정비로는 해결하기 힘든 부분인 스캐너 연결해서 ABS 모듈 공기빼기 작업도
한번 해야할 것 같아 다음 엔진오일 교환할 때 같이 작업해야겠네요.
일전에 류기주님께서 타이어를 싸는데 포장 필름을 쓰면 좋다고 올려주신 글을 보고
찾아보니 포장자재 전문점 찾기가 쉽지 않아 권동문님 리플에 착안,
공업용 랩(스트레치 필름;파렛트 위에 화물 안 떨어지게 빙빙 감아두는 것)을 주문했습니다.
(타이어는 외부 트레드나 사이드월은 문제가 없지만 타이어 안쪽의 타이어코드와 같은 부분이
습기 등에 노출이 될 경우 쉽게 노화가 일어나 좋지 않다고 합니다)
두께 15미크론 폭 30cm 길이 30M의 제품으로 7000원에 구입했죠.
두어번 정도 돌려 감았는데 제법 남은거 보니 아직 더 쌀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다만 다음엔 20미크론 이상 제품을 구입해야 좀 더 쓸만할 것 같으네요.
그런데 아직 싸야할 휠+타이어 6짝이나 더 있어서 한숨이 나올려고 합니다 -_-
왜 이렇게 사모았는지 ㅎㅎㅎ. 환자는 환잔가 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혼자서 하기는 조금 힘든 작업인데 어떻게 하신건지..
가장중요한 마지막 단계에서 브레이크를 발고 캘리퍼 니플을 잠그는건 동시에 하기엔 어렵지 않나요..?

주영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특히 워셔액 호스는 짱입니다.
그런데
" 17918 " 이 맞는지요 아니면 " 17819 " 가 맞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