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엔진 보어업으로 인한 오만가지 잡생각중 갑자기 궁금해 지는 부분이 있어 질문 올립니다.
1. 베타 1.8과 2.0은 보어는 같고 스트로크만 다릅니다.
하지만 커넥팅 로드의 장단으로 상사점이 비슷한 건가요?
2. 비스토는 63X64, 모닝은 66X73 입니다. 당연히 크랭크 축이 틀림에도 불구하고 커넥팅 로드는 동일 한 것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상사점이 어떻게 될까요? 아예 모닝의 경우 크랭크 축을 좀더 오일팬 쪽으로 내려서 설계한 것일까요?
2009.11.30 18:47:09 (*.202.83.225)

2번. 비스토의 블럭에 모닝의 크랭크를 사용하여 스트로크를 키우면 상사점일 때 피스톤의 위치는 원래보다 4.5mm정도 위겠네요. 블럭과 헤드의 접합면보다 피스톤이 위로 올라오거나 밸브를 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초고압 압축비의 엔진으로 변신하게 되겠군요ㅎㅎ. 모닝과 비스토의 커넥팅 로드가 같고 피스톤 상단 면으로부터 핀까지의 거리가 비슷한 피스톤이 쓰이고 있다면 말씀하신 것처럼 모닝의 크랭크 축이 비스토보다 아래에 위치해 있어야만 하지 않을까요??^^
2009.12.02 00:01:46 (*.119.9.122)

크랭크 축이 다르다는건 위치가 아닌 무게가 다른게 아닐까요?
즉 크랭크축의 밸런스웨이트의 형상이나 무게가 다르기때문에 품번이 다르다면..
위치변경 없이 같은 크랭크 로드와 다른 형상의 피스톤을 사용할경우.. 비스토에 모닝 크랭크가 장착 가능할 듯 합니다..
흠.. 말로 설명 하려니 어렵군요..^^:;
보현님 동규님 다들 잘 지내시죠?
2009.12.03 10:15:22 (*.124.116.239)

스트로크 변경으로 늘어나는 배기량은 보어업의 절반입니다.
비효율적입니다. 스트로크가 늘어난 만큼 tdc 점은 높아지고
이 문제를 해결 하려면 일단 피스톤 상부에 밸브 리세스 부분을 가공
하면 됩니다. 당연 연소실도 가공을 좀 해야겠지요
위의 경우는 크랑크 저널과 길이등은 같아서 장착은 돼지만 소단부
사양이 달라서일겁니다. 블럭변경은 필요없지요
크랑크형상만 조금 바꾸면 장착이 가능한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