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보배드림질을 하다가 요즘 시배목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엔진오일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글을 봤는데요. 사실이라면 앞으로 국산 합성유를 쓰는게 현명할까요? 제가 딱 1만원 초반대 수입합성유를 쓰거든요. ㅠ.ㅠ
---------------------
우리나라 정유업체가 세계에서 가장 품질이 좋고 많은양의 VHVI기유를 공급하는 업체입니다. 1리터당 1만원대 수입합성유는 대부분 우리나라에서 수출한 VHVI에 소량의 PAO와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면 될것 같고 고가의 합성유의 경우도 성분함량을 거의 공개하지 않으므로 ESTER나 PAO의 함량이 얼마나 되는지는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자동차 업체들의 순정유도 VHVI기반의 합성유이고 국내 정유사들의 저가형 제품들 중에서도 저점도 오일의 경우는 VHVI 100%이니 굳이 메이커값과 세금만 잔뜩 붙어서 비싸기만 하고 95%이상 성분이 같은 1만원대 수입합성유를 쓸 이유는 없겠죠.
우리나라 자동차 업체의 순정유가 빠르게 VHVI로 바뀌고 국산 합성유 가격이 아주 저렴한 이유는 고품질의 VHVI기유를 대량 생산하는 정유업체가 우리나라에 많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가 vhvi기유를 차고 넘치게 만들어 내니까 그나마 지크가 5천원대죠. 울나라에 정유사 없었으면 지크도 2만원대였을거라는거에 한표 겁니다.

저도 얼마전에 이곳 QnA란에서 글을 읽고 좀 검색해봤습니다(정유사에 계시는 외삼촌께도 자문을 ㅎㅎ)
세계 그룹3기유 즉 VHVI의 50%를 SK에너지에서 공급하고 있고 왠만히 들어서 아는 회사들은 대부분 SK의 최대고객이더군요. 그 이전에 S-오일만 윤활기유를 판매했다고 합니다. S 오일도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 폴크스바겐, 렉서스, 포르셰 등 최고급 승용차의 경우 신차 5대 가운데 1대가 울트라-에스로 만든 윤활유를 사용하고 있다" 고 하네요. 아래에 일단 기사 올려봅니다.
오일에 섞는 첨가제도 만드는 회사가 세계에 몇군데 없다고 하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716041001&spage=6

이미 S오일은 쌍용정유시대인 15~20년전부터 윤활기유를 직접 만든다고 광고했죠. 저도 그때부터 쌍용 엔진오일만 쓰다가 지금은 지크 XQ 캐스트롤 마그나텍을 거쳐서 수 유로XT를 씁니다. 많은 걸 안바라고 순정오일과 거의 같은 가격이라 나름 만족스럽습니다.

국내 양산차량 순정스펙기준으로 봤을경우 // 국산으로 바꾼지 1년정도 되었네요..
멋모르고 수입산 오일만 고집하다가 언제부터 오일 유통마진과 정책에 대해서 조금씩 알게되다보니..
덤핑제품 아니라면 거의 쓰지 않게 되더군요..
국산으로는 SSU XT 5w40 // KIXX PAO 0w40 제품을 지속적으로 쓰고 있습니다..
아마.. 제가 가격대비 최상군이였을때는 SSU XT 5w40 + 오일 점도유지제를 썻을때..
이정도 가격에 성능은 찾기 힘들정도였습니다.^^:

VHVI(Very High Viscosity Index) 기유는 광유를 정제하고 수소화처리하여 얻은 것으로 API 분류등급으로는 그룹3의 광유계 오일로 구분되고 PAO (POLYALPHA OLEFIN) 기유는 광유가 아닌 원유 분리시 나오는 가스 등에서 추출한 원료와 다양한 화합물을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이며 자연상태로는 존재하지 않는 오일로서 API 분류등급으로는 그룹4의 합성오일로 구분됩니다.
VHVI 기유를 베이스로 하여 PAO를 살짝 넣어서 만든 오일중 대표적인 것이 KIXX PAO 5W50 같은 제품들이고 암스오일과 모빌원 등이 PAO를 베이스 기유로 하여 만들어집니다..
혼다코리아에서 순정으로 제공하고 있는 VHVI 기유의 SSU 5W30 제품을 넣었을 경우 2천키로 정도 주행하면 가스패달의 답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연히 느껴지고 고회전영역을 사용하시는 오너들에게 VHVI 기유의 한계는 여기까지라고 생각됩니다... (정속주행만을 하는 오너들에게는 5천키로 무난합니다..)
모빌원, 암스오일, 76 등의 PAO계 기유의 5W30 제품을 사용하면 고회전영억을 사용하더라도 4000키로까지는 무난히 버텨줍니다... (정속주행만을 하는 오너들은 1만키로까지 사용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베이스 기유의 함량은 대부분 75% 이상으로 나머지 25% 가량이 첨가제이므로 제조사에서 굳이 밝힐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첨가제의 배합율이 제조사의 노하우라 공개하지 않습니다..
국내 제조사에서 판매되는 오일로 지속적으로 교환할 경우 내부 슬러지가 고착될 염려는 없을런지요??
외산(정확히 말하면 엔진오일을 오랜동안 만들어파는 인지도 있는 해외의 메이커들) 100% 합성 오일로만 관리된 엔진들은 세월을 잊은 듯 내부가 깨끗한데 말이죠..
개인적으로는 그것만 만족시켜준다면 킥스든 ssu든 국산 제품을 사용할 것 같습니다.. (역설적으로 외산을 쓰는 이유가 레스폰스나 성능이나 체감상 느낌도 있지만 슬러지 없이 깨끗한 상태로 오일이 지나는 모든 곳을 관리하기 위해서입니다.)
ps) 지인중에 울산 근처에 계신 분이 있는데,, 모 정유회사(기억이 안납니다)에서 벤츠의 순정엔진오일로 납품(수출)한다고 하던데 아시는 분 계시는지요.. 그래서 그 지인은 그 오일만 넣는다고 하더군요..

VHVL기유가 BASE인 오일을 사용한다면 국산 윤활유를 사용하는게 합리적이기는 한데
PAO기유를가 BASE인 오일은 그다지 쓸만한 오일이 없다는게 아쉽기는 합니다.
kixx pao는 0w40을 제외하고는 pao 향기만 맡은 제품이라서요...
3기유도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다고는 하지만,
한 번씩 달리고 나면 3기유와 4기유의 점도 복원력은 체감이 될 정도로 차이가 나더군요

VHVI(sk, s-oil)와 PAO향(kixx) 기유를 사용한 국산 100%합성유를 여러가지 사용해 봤지만
첫 느낌만 괜찬지 다들 한방에 훅~ 가네요.. -_-;;
kixx pao 0w40은 어떤 성능을 보여줄지 기대 됩니다..^^
L당 7700원에 질렀;;
gs kixx pao 0w40 7700원은 어디서 파나요? 인터넷 뒤져보니 죄다 11000원인데요 ㅠㅠ
쪽지로라도 알려주세용 ㅠㅠ

KIXX PAO 0w40은
PAO 85~90% 그외 성분은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다고 공식 문서로 답변 받았습니다 ;)
KIXX PAO는 이전부터 많이 사용했는데, 5w50은 진짜 한방에 훅가는 오일입니다. 수명이 고회전에서 급격하게 떨어지더군요... 정속으로 천천히 다녀도 5천킬로 뛰면 엔진리스폰스가 상당히 거칠어집니다.
0w40은 클릭레이스때 사용하다가, 별로 만족못해서 바꿨는데, 그 바꾼게 현대 순정 5w30이었다느;;;;;
클릭에선 크게 차이를 못느꼈습니다.

저와는 반대적인 느낌을 받으셨네요.>^^:
3월 트랙데이때 kixx 0w40 과 세라텍을 넣고 주행한이후로.. 15바퀴 연속으로 넘게 풀악셀 하고 다녔는데, 직선에서 나오는 속도는 항상 똑같았고, 리스펀스도 꽤 오랫동안 유지되었습니다~
반면에 그다음에 주행할때는 kixx 5w40 을 넣고 갔는데.. 3~4바퀴 달리고 나니... 그냥 훅 -_-;;
그러다가 다시 0w40 넣고 갔는데.. 원상복귀된 그런 느낌이였습니다 ;;;
고속주행시에 대우순정오일 5w30 을 넣었는데.. 역시나 얼마못가 훅......... 가더군요 ㅡㅡ;;;;;;;
5w40이 아니고 5w50 말씀이시겠죠? 0w40과는 가격차이가 심하게 나는 제품이니;;;
KIXX팀의 IS200 GT1도 0w40을 레이스에 사용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CJ팀에서 일하시는 분이 직접 넣고 달리는거 보셨다고 하니 맞을것 같습니다.
서킷에서 달리고있을때의 오일질감의 변화는 제가 둔감한건지 전혀 느끼지못했습니다. 어떤 오일도요.. 주행을 끝마치고 '집에 갈때'부터 고온으로 달궈진 오일의 변화가 느껴지기 시작하더군요.
(아, 전 시동걸고 서킷 들어가면서 처음 진입부터 체커 뜰때까지 무조건 쿨다운없이 풀악셀 밟고 최대한 달립니다. 수온도 서킷에서 풀악셀로 올립니다-_-;;;;)
5w50(오일판매점 기준 5천원짜리)은 아무튼 좋은 느낌을 받은적은 없습니다. 수명도 극히 짧았고, 엔진도 거친 느낌이었습니다. 그냥 현대 순정 광유가 훨씬 낫지않은가 싶더군요...
0w40은 고회전에서 오일압이 빨리 떨어지는 편이었는데, 식으면서 오일압이 다시 원상복귀하는 시간이 빠른 편이더군요.
지금은 현대 젠쿱터보 순정으로 들어간다는 현대 프리미엄 엔진오일(S-oil 5w30)을 사용합니다. 4리터에 2.3만원쯤 하는데, 식었을때 오일압이 돌아오는 시간은 좀 많이 걸리지만, 고온에서의 느낌은 kixx 0w40과 크게 다를바 없더군요...
사실 엔진오일의 성능 자체는 전혀 차이를 느낀적이 없었습니다.-_-

혹시 글 쓰신분에게 문제가 된다면 쪽지 주세요. 자삭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