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얼마전 페라리 F360 모데나를 시승하면서 보통 수퍼카들이나 초고성능 엔진들이 킬로수가 적은데도 상태가 나빠지고 오버홀하는 빈도가 잦은 이유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페라리나 람보르기니, 포르쉐 혹은 기타 초고성능 차량의 주행킬로수와 실제 상태가 전혀 함수관계를 가지지 않는 이유는 바로 운전자가 어떻게 엔진을 다루느냐의 변수가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엔진의 파워가 높을수록 실린더내에서 일어나는 이벤트가 과격하고 엔진에 각 부품들에 걸리는 부하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예를들어 400마력을 발휘하게 만들어진 엔진의 경우 그 출력을 발휘하는 때의 주변 여건이 완벽해야 그 출력을 안정되게 뽑아낼 수 있습니다.
수온이나 오일온도가 너무 낮다든가 오일점도가 낮아 오일압력이 정상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이런 엔진으로 풀파워를 사용하게 되면 엔진은 엄청난 속도로 마모되고 노화됩니다.
페라리의 경우 완전히 한겨울이 아니더라도 풀파워를 내기 위해 엔진이 준비되는 시간이 최소 20분 정도를 저부하로 주행해야 합니다. 이는 무조건 천천히 달리라는 것이 아니라 회전수의 상승을 가급적 천천히하고 급격한 액셀링을 피해야한다는 뜻입니다.
수온이 늦게 뜨는 것보다 훨씬 늦은 속도로 오일온도가 상승하는데, 보통 오일쿨러가 있는 차량은 써모스탯을 가진 공냉 쿨러를 가진 경우라도 온도가 늦게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페라리의 경우 오일온도가 최소 80도 정도까지 도달하기 전에 풀rpm, 풀쓰로틀하게 되면 일단 엔진에 손상이 간다고 봐야 합니다.
페라리 엔진이 레이싱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정교하고 고도의 기술들이 투입된 것은 맞지만 준비가 안된 엔진으로 부하를 받을 경우 특히 8500rpm을 돌리는 피스톤의 상황에서 설계시 고려되었던 작동온도에 미달하는 경우 분명 피스톤링의 급격한 마모나 변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몇년전 360모데나를 처음 시승했을 때는, 6,000km밖에 안된 차의 엔진이 약간 과장보태서 걸레였던 경우와 얼마전 13,000km를 탄 엔진의 경우 당장 이차로 레이스에 나가도 될 정도로 회전도 부드럽고 모든 것이 만족스러운 경험이 있습니다.
이태리차들의 부품의 수명이 약하기 때문에 주변장비들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이슈와는 별개로 엔진블록과 크랭크샤프트 그리고 밸브구동계통의 수명과 성능유지는 결국은 차를 즐기기위해 차가 준비되는 시점까지 젠틀하게 몰면서 기다리는 여유가 필요합니다.
이는 출발전 불필요한 공회전을 많이 하라는 뜻은 전혀 아닙니다.
수퍼카가 아니더라도 고성능 엔진중에서도 리터당 출력이 높은 엔진들의 경우 이러한 기본적인 수칙들이 엄격히 지켜지지 않을 경우 엔진은 쉽게 상처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수온계에 의존해서 전부하 운전의 타이밍을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보단 오일온도를 살피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고성능 엔진의 수명이 떨어진다는 선입견은 이와 같은 논리에서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며, 튜닝으로 출력을 높여놓은 엔진도 주행관리를 어떻게하느냐에 따라 많은 주행거리를 달려도 엔진의 압축과 출력저하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를 아무리 정성껏 관리해도 운전방법의 옳고 그름만한 변수는 없습니다.
한국의 수퍼카들이 모두 건강하게 무병장수하기를 바랍니다.
-testkwon-

저도 이러한 부분때문에 고출력 차량들을 중고로 구입하기에 참 애매합니다..
잘아는 지인분들의 차량이 아니라면, 선뜻 이해하기 힘든 부분은 어쩔수 없는거같습니다..

우매한 질문이라 드리기 쉽지 않지만,
수온이 어느 정도 오른다면 엔진 내부에 존재하는 오일의 특성상 오일온은 더 먼저 올라 있는게 아닌가요?
(답답해도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이전에 유온 수온 유압 게이지 사용했었는데 수온보다 유온이 배이상 늦게떴던걸로 기억합니다..
실제 순정 수온계는 정상치를 회복해도 오토미터 수온계는 아직 5~60도 경우도 허다했었네요

S2000에 데이터로거 BROS 랩터 R1을 장착중입니다.. 수온이 70~84도 인 주행상태에서도 유온은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도 있더군요... 일반 주행을 해도 37~ 42도 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정체가 있어야 50도를 넘기더군요.... 이전엔 수온 3칸이 뜨면
감으로 주행을 변경했는데 게이지로 보이니 주행이 차분해 졌습니다...

이쯤에서 갑자기 궁금해 지는게 생기네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차량 가격을 떠나서 일반 적으로 차량 구입시 동봉된 설명서를
거의 읽지 않는데, 그렇다면, 고출력 차나 슈퍼카 같은 경우 메뉴얼에 그러한 것이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국산차 의 경우 설명서가 상당히 애매모호 한 경우가 많더군요.
외산차 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동감입니다...항상 시동후 정상온도가 올라 가기전까지는 서행하는게 차량관리상 좋은것 같습니다...다만 공회전 또한 좋치않다는 이야기를 독일 인스트럭터에게서도 들었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엔진에 최고의 컨디션을 생각해야하는데 저도 그런 생각을 별로 해본적이 없네요.
일반 범용엔진이라면 충분히 내구성을 생각하여 만들었기에 잘 움직여주겠지만, 최대한 성능을 끌어낸 엔진의 경우 그런 면에서도 민감할 것 같네요.
기본적인 지침서는 지키는게 당연하지만...
평소에 유리알같아도 한방터트릴 수 있는 그것의 매력이 수퍼카가 아닌가 합니다.
복합적으로 수반되는 비용문제에서 타협점을 찾은 수퍼카의 소비자가격.
페라리가 포르쉐 반만 따라가도 좋을듯합니다.(내구성,보증문제)

더 중요한 부분이 하나 있습니다. 차를 수리를 위해 맡겼을 떄
끝까지 지켜봐야합니다. 이건 경험에서 나오는 얘기인데요
차를 맡기고 오너가 없을 경우에 그 샵에 누구던 한번은 타게 됩니다.
근데 문제는 시동후 도로 진입하자 마자 풀스로틀이라는 거지요
제 밑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전 당장 모가지였지만....,
암튼 그 부분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그런 경우는 수퍼카 아니라
어떤 엔진이라도 오래가질 못합니다....,
결국 마인드 정립된 샵에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맡기고
지켜보는 쎈스도 하나 추가합니다.
동감입니다. 고배기량 차량은 사실 스포츠카냐 세단이냐를 떠나 관리가 정말 중요하죠.
연식의 1~2년 차이는 아무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얼마전 지인 샵에서 엔진 이상으로 들어온 v8 4.x 대 모빌을 까봤는데...피스톤이 4개가 나가고 컨네팅로드 2개 부러지고
블럭까지 박살났더군요. 일반 공도에서 퍼진 찬데 말이죠.
우리 나라 사람들 특성이나 배려없이 고배기량 수입차를 모는 분들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수퍼카엔 그에 걸맞는 수퍼급 관리가 필요하군요~
페라리하면 왠지 주인을 길들이는 고양이가 떠오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