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안녕하세요...
요즘 심심치 않게 들르는 카페가 있는데요..
소비자고발에서 내수차와 수출차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고 하네요...
혹시나 해서 테드에도 퍼와봅니다.....
제보 하실분 제보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여러분들 덕분으로 확정 되었습니다.
공개 및 팝업 사용해달라고 당부 해주시네요 ㅎ
서명도 많이 해주시고 사고나서 피해 입은 내용에 대해 많은 제보 부탁 드리겠습니다^^
화물차, 경차, 택시, 버스, 장애인등의 에어백 차별 및 안전사양 차별..
옵션 트림별로의 사양 차별 이 철폐되길 바랍니다.
http://agora.media.daum.net/petition/view?id=85716 - 청원
소비자고발 제작진입니다.
저희는 『내수용 차&수출용 차』를 비교해보는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자 합니다.
특히 안전장치 부분에선
내수용과 수출용이 확연히 차이가 나고 있는데요.
안전장치 미흡으로 사고의 경험이 있으신 분,
혹은 내차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고자 하시는 분,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수출용 차 구매하시거나 생각하고 계시는 분 등
이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받습니다.
연락부탁드립니다.
010-3364-1362/ letter728@naver.com

GM대우 자동차 견학만 가봐도 알 수 있습니다. 북미사양은 철판 처리 부터 다릅니다.
아연도장 이라던가... 작업내역을 알 수 있는 각 공정별 지붕에 걸린 LCD창에 나오더군요

과연 정말 '제대로' 될 수 있을 지, 그리고 그 후의 영향이 있을지도 의구심이 살짝 들긴 하지만...
상당히 긍정적인 접근이라고 생각됩니다.
아무쪼록 좋은 결과를 기대해 봅니다.

내수차와 수출차를 자동차 제조사에서 구분하는 이유가 자동차 제조사의 소비자 차별과 이윤 추구만을 위한 결과때문이라고 결론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것봐라 다르다!라는 이슈만 부각시키는 것이 아니라, 왜 다르게 된 것인지를 알려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국내 자동차 제조법규를 소위 말하는 '수출차'가 나가는 국가들의 법규 정도로 맞춘다면,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싫어도 맞추게 되어 있습니다. 저는 수출차/내수차의 차이가 자동차 제조사의 의도보다는 법규의 차이가 근본 원인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북미 사양에 아연도장 강판이 들어가는지는 몰랐지만, 그게 북미 수출차의 상품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보다는 해당 국가의 corrosion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해서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첨언하자면, 국내 법규가 다른 나라보다 우수해서 수입차가 들어올 때 타 시장에 비해 생산 옵션을 추가해야 하거나, 국내 회사의 내수용 차에만 있는, 우리나라가 더 높은 수준의 안전/환경 규제를 취하고 있는 것도 얘기하지는 않겠지요. 수출은 미국만으로 하지는 않으니까요. 반대로, 수입차가 다른 나라보다 후진적인 법규에 의해 이미 장착되어 있는 기능을 죽이고 들어와야 하는 것도 부각시키면 좀더 다양한 얘기 거리를 던지게 되겠지만요.
자동차 제조사의 로비던 정부와 국회의원들의 입법 후진성이 원인이던, 말초적인 문제 제기만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 분석과 발전적인 대안 도출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그랬습니다만, 걍..에어백, 커튼에어백 있으면 좋은차(=고급차)라고만 생각하고 다 같은걸로만 생각했었는데, 무심코 넘어가기 쉬운 부분을 방송한다니 좋은 기회인것 같네요. 부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기를 바래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