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우리가 타고있는 자동차 계기판에는 속도계와 엔진회전수 이외에 각종 차량정보를 나타내는 경고등 및 지시등이 존재하며 차종마다 조금씩 틀리지만 대게 계기판 중앙 아래쪽에 자동차 주행거리계가 나와있습니다.
과거90년대 자동차 주행거리계만 해도 총주행거리계 및 사용자가 임의로 리셋할수 있즞 구간거리계 두가지만 존재했지만 2000년대 들어 액정 혹은 LCD창이 내장된 트립컴퓨터가 선보이면서 단순한 자동차 주행거리 뿐만 아니라, 평균연비, 순간연비 남은주유량으로 갈수있는거리등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행거리계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중에하나는 소비자가 차를 구입하고 나서 무상A/S를 받는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차종 혹은 부품마다 틀리지만 소형차는 대게 3년에 6만km 중 대형차는 5년에 10만km의 보증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예를 들면 A차종의 자동차오너 김아무개씨가 고장증상을 느끼고 A차종을 만든 자동차메이커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센터에 차를 입고시켰습니다.
A차종은 3년에 6만km까지 보증이 되는데 김아무개씨가 서비스센터에 차를 맡길때 주행거리계가 59999km라면 무상으로 보증수리를 받을수 있지만 그렇지않고 60001km라도 되면 그순간 김아무개씨는 무상으로 보증수리를 받을수 없게됩니다.
그만큼 자동차 주행거리계는 어떻게 보면 계기판의 다른 어떤정보보다도 매우 정확해야 합니다. 또한 주행거리계는 나중에 중고차로 되팔때에도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자동차 주행거리계는 오차가 없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주행거리계가 정확하지 않고 오차가 있다면 여러분들은 믿으시겠습니까? 아마 못믿으실겁니다. 적어도 자동차 주행거리계만큼은 정확하다고 신뢰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일겁니다.
저는 실제거리에 비해 자동차가 어느정도 오차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4차종을 가지고 비교실험을 해보았습니다.
비교대상 차종은 기아 프라이드(구형), 볼보S80D5, 포르테쿱, 라세티프리미어1.8입니다.
주행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기도 시흥시 정왕역 근처에서 출발하여 신천IC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로 진입한 후에 상일IC를 빠져나와 목적지인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KCC아파트 부근까지 주행하는 구간입니다. 출발지점에서 트립을 리셋하고 도착지점에서 사진을 찍어 결과값을 도출하는 실험입니다.
네이버지도 프로그램에서는 68.85km이라고 뜨는데 차선변경 등 어느정도의 오차를 감안하면 실제거리는 70km정도 될겁니다.
먼저 기아 프라이드입니다.

기아 프라이드는 계기판에 나타난 주행거리는 73km입니다. 실제보다 약간 높게 나왔습니다.
다음은 포르테쿱입니다.
포르테쿱의 경우 순정타이어사이즈인 215/45/17보다 한치수 더 높은 215/50/17사이즈의 타이어를 장착했습니다. 그래서 순정타이어를 장착할때보다 주행거리가 덜나올걸로 예상을 했습니다.

결과는 실제거리보다 5km정도나 적은 65km을 기록했습니다. 순정사이즈 타이어를 장착했다면 70km 정도 나올걸로 예상되며 그렇다면 포르테의 주행거리계는 상당히 정확한 편이라고 보면 됩니다.
다음은 볼보의 승용 플래그쉽모델인 S80D5입니다.

주행거리는 71km가 나왔습니다. 구형프라이드보다는 약간 적게나왔고 실제거리와 비교시 비슷하거나 아주 조금 더 높게 나왔습니다.
다음은 라세티프리미어 1.8입니다.

라세티프리미어 1.8의 경우 결과이미지가 지워졌습니다. 주행거리는 볼보S80D5와 동일한 71km가 나왔습니다.
실험결과를 추정해보면 현재 생산되는 차량은 주행거리계와 실제거리의 오차가 거의 없는듯 합니다.
몇년전에 TV프로그램에서 몇몇 차종을 선별하여 서울에서 대구까지 실제주행거리와 자동차주행거리계와 비교하여 오차가 어느정도 나는지에 대한 실험을 한적이 있었습니다.
그 결과 오차가 제일 적었던 차는 SM5였으며 오차가 제일 큰 차는 포터와 스타렉스였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오차가 큰 차량은 일명 생계형 수단 목적 차종으로 일반 승용차에 비해 주행거리가 많고 주행환경도 가혹한 편입니다. 그리고 대부분 생계형 차종의 오너들은 영세한 편이라 무상A/S가 매우 중요한 편이죠.
그러한 생계형 차종에서 주행거리 오차가 제일 크게 나온건 그당시로서는 상당히 충격적인 일입니다. 차라리 처음부터 무상A/S를 받을수 있는 기간 및 주행거리를 줄였다면 그나마 덜 억울하겠지만 메이커가 보증하는 무상수리 주행거리는 6만km인데 실제로는 55000km에 끝나는 것과 같은 것이니 당시 TV를 본 저로선 너무 심한 처사가 아닐까 생각도 했습니다.
다행히 이번실험에 사용된 차량의 경우 구형프라이드를 제외하면 나머지 차량들의 주행거리계 오차는 거의 없는거 같습니다.
다음에 기회된다면 생존과 직결되는 생계형 차종으로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이 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배너의 추천 박스 살포시 눌러주시면 더 좋은 글 많이 올리겠습니다^^;
볼보 850터보를 탔던 적이 있는데 수치들이 정확했던 것 같습니다.
주행속도랑 GPS 랑 비교하면 현대차는 100킬로 이상에서 거의 10킬로 정도까지도 차이가 낫던 것에 비해
볼보는 거의 칼같이 일치하더군요.
BMW 도 10%보다는 적지만 꽤 차이가 나는 것에 비해 볼보는 아주 정확하게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거의 71킬로 일수도 있을 것 같네요.

2001년인지 02년인지 기억이 가물합니다만, 당시 교통부에서 국산 차종으로 적산 거리계의 오차에 대해서 발표했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 비스토, 슈마, 프라이드 등을 보유했거나 가족들이 운행중이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기억나지 않습니다만, 비스토는 실제 거리보다 아주 약간 적게 나온다더군요. sm5도 그랬었고... 반면 ef는 조금 더 나온다고 했었던...
아울러 휠/타이어의 크기에 따라서 미세하지만 오차가 나올 수 있습니다. 미세하긴 하더라도 그것이 쌓이게되면 제법 큰 오차가 되겠지요.

과거에는 주행거리계가 오차가 5%가 넘는 경우가 있어서 현대차의 경우는 거리계상으로 63000km까지는 무상으로 해줬던 적이 있습니다. (지금도 시행하지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파워트레인 워런티가 10만km인 차들(뉴EF, XD 등)은 대신 그 조치가 적용되지 않았죠.
GPS로 테스트 해보면 요즘 차들은 속도대비 오차가 매우 적게 나옵니다. 젠쿱도 2.5% 정도, i30는 2% 정도만 더 나올 뿐인데 구형 SM5는 오차가 매우 적은 편에 비해 SM7이나 뉴SM5가 10%로 좀 많고 HD도 7% 정도로 요즘 차보다 많은 편입니다. 반면에 스쿠프는 오히려 속도계가 덜 나올 정도이고 쏘나타3로 5%로 높은 편은 아니더군요.

이런 뉴스가 검색되네요.
적산거리계 오차와 관련된 법률은 없(었)다고 합니다.
속도계 오차 범위를 규정한 법조항은 있는데, 속도계 오차 =/= 적산거리계 오차라서... ^^
sm7 2010년형으로 어제 달려본 결과 속도계 오차가 아주 적은 편에 속했습니다.
계기반으로 125km일 때 GPS는 120km정도였고 그 이하의 속도에서도 비슷한 비율로 유지됐습니다.
구형 sm5도 sm7보다는 약간 더하지만 오차가 적은 편이었습니다.

최근 테스트를 위해 ECU 로거와 계기판, 내비게이션 GPS 사이에서 시달리는 경험으로는...
ECU 로거가 읽어주는 속도는 내비게이션 속도와 1Km 정도의 오차로, 상당히 정확한 범위 안에 있다고 할 수 있는 숫자였습니다만, 그 ECU 로거와 계기판 상 숫자에는 차이가 있더군요.
아마 누적 적산거리계 자체는 나쁘지 않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예전에 M3, X5, C63, E63으로 고속도로 거리표지를 기준으로 테스트 한 적이 있습니다.
약 100-200km내외 거리를 안 쉬고 2차선 100km/h로 계속 주행하면서 고속도로에 표시된 거리
(100m마다 나오는..경부 하행선 비슷한 구간..)와 거리계상의 거리를 10km마다 비교해 보는 식
으로 테스트 해 봤습니다.
공교롭게도 BMW의 경우 고속도로 거리보다 1%내외로 적게 측정이 되는데 벤츠의 경우 1-1.5%
정도 고속도로에 표시된 거리보다 많게 표시 되더군요. 표본집단이 4대 밖에 안되어 일반화는
어렵겠지만 기분은 안 좋더군요..
윗글에 속도계 오차=적산거리계 오차라 하신 분이 계신데 둘은 틀리지 않나요? 국내법상 속도
계의 경우 속도계상의 속도는 실제속도보다 10%내로 더 빠르게 나와야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안전을 위해..)
직선 평지 100km/h 정속주행시 C63,E63,X5 모두 3-4km/h정도 GPS가 더 느리게 나오고 M3는 6km/h
정도 GPS가 더 느리게 나오더군요.. M3의 경우 트립컴퓨터에 표시되는 속도와 계기판에 표시되는
속도가 또 차이가 많이 나구요.. 일반적으로 속도계의 경우 적산거리계보다 오차가 훨씬 큰 걸로
알고 있는데..

요 몇일 같이 눈길에 헛바퀴 자주 돌리면 적산 거리계가 마구 올라갈까요? ㅡ.ㅡ;;
그렇다면 매우 불리한데요... 특히 후륜 차들은... ㅡ.ㅡ;;
제 CM은 100km기준에서 5km정도 더 나오는 것 같습니다...
통상적으로 1인치 인치업+타이어 정도면 계기 속도와 네비 속도가 거의 일치하던데요...
그정도 되면 적산 거리계와 거의 맞아 떨어질 것 같더라고요...

모닝 GPS랑 속도계랑 차이나는거보면 정말 깜짝놀랠정도...
적산거리계로 연비 체크하면 완전 뻥연비 100%입니다..
가득주유기준으로 약 1키로정도 더 적게 계산해야 실연비랑 비슷해질정도..
오래전에(언제인지는 기억이...) 국산차들의 적산거리계문제점에대해 시사프로그램에서 나왔던적이 있었습니다.
그자료가 아직도 있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그당시의 차들이 적산거리계에 표시되는 거리가 실제거리보다 많이
나온다는 것이었습니다.. 각 메이커마다 무상보증기간에 대한 키로수 제한이 있었었고 실제로 탄 거리보다 짧
아지니 무상보증기간도 어찌됐던 정상적인 거리보다 일찍 끝난다는 점에서 비용절감적인 부분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또 다른 이유....그당시도 지금처럼 공인 연비라는게 있었지만 생산이 되던 차들이 실질적으로 연비가 안
좋았나 봅니다. 그래서 0.8Km를 달려도 1Km를 달린것처럼 적산거리계가 나오면 실제로는 연비가 그렇게 안나오지만
어찌보면 적산거리계의 사기행각에 연비가 비슷하게는 나왔었다는 그런 메이커의 입장을 시사프로그램이 밝힌적이
있습니다. 물론 지금 차들은 안그렇다고 믿고 싶으나 간혹 가끔가다가 의심스러울때도 있습니다....ㅋㅋ
집에 생계형 차량이 있는데 한번 찍어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