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뭐, 더블클러치를 사용하면 싱크로에 무리가 덜 간다. 쏙 빨려들어가는 느낌이 좋다.
하지만 싱크로가 괜히 있는게 아니다. 그냥 변속해도 된다.
등 여러가지 의견들이 있는 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못하는 것 보다는 할 줄 아는게 훨씬 좋겠다 싶어 요즘 더블클러치를 연습중에 있습니다.
실제로 더블클러치를 써 보니... 단순히 다운쉬프팅이 부드럽게 되는 것 뿐만 아니라
쉬프팅 후 재가속도 훨씬 더 부드럽게 되는 것 같습니다.
원래 그런건지, 아니면 원래 제 클러치/엑셀 쓰는 법이 매끄럽지 못해서였는지는 모르겠지만 말이죠.
그래서 더욱 열심히 연습해 보려 하고 있는 중인데....
주로 주행중인 상태에서 연습하게 되니 5단에서 4단, 혹은 4단에서 3단으로 다운쉬프팅할 경우가 대부분이고
3, 4단의 위치도 그렇고, 이때에는 자연스럽게 되는 편입니다.
그런데.. 6단에서 5단으로 내릴 때에는 아무래도 6단에서 5단 가는 위치도 그렇고
해당 속도에 RPM의 차이가 크게 없어서 6단에서 5단은 그냥 더블클러치를 쓰지 않고 변속합니다.
이것보다 더 문제는 6단에서 4단으로, 혹은 5단에서 3단으로 두단계 바로 내린다거나,
혹은 어디에서건 2단으로 내릴 때더군요.
더블클러치를 쓰지 않고 변속을 해도 빠르게 변속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데다가
아직 느리기 짝이 없는 익숙하지도 않은 더블클러치를 쓰니 이거 변속이 무지하게 늦네요. ;;;;
그리고 업쉬프트시에도 더블클러치를 쓰는 분도 있다고 하여 이것도 연습해 보았습니다.
이 경우에도 기어가 훨씬 더 부드럽게 들어가는 것은 확실히 느껴지나.. 이건 아무래도 손에 익숙해 지질 않네요.
엄청나게 신경쓰지 않으면 클러치 한 번 놓을 겨를도 없이 다음 단에 확 기어를 꽃아버리게 됩니다.
겨우 했다 싶으면... 이건 변속이 이렇게 느릴 수가 없네요. ;;;;;
멀리 타지에서 혼자 하다보니 누가 직접 하는 것을 볼 수도 없고, 조언을 해 줄 사람도 없고..
물론, 조언보다는 연습이 중요한 것은 압니다만.... 좀 답답한 건 사실이네요.
그리고.... 1단으로 내릴 때에는 사실 좀 이상합니다.
더블클러치를 쓰지 않으면 사실 1단으로 아예 잘 들어가지도 않네요.
이건 엔진 및 미션을 보호하기 위해 원래 그런걸꺼라고 생각도 들지만
1단 싱크로가 나가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도 드네요.
하여간... 더블클러치가 익숙해 지면 힐앤토를 연습할 계획에 있습니다.
정차시에 발목만 움직여서 해보니.. RX-8의 브레이크, 엑셀 페달의 위치가
저같이 유연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각목같은 인간도 쉽게 할 수 있도록 잘 배치되어 있더군요.
브레이크 끝까지 밟은 후에 살짝만 꺾어도 엑셀이 잘 밟혀 지네요.
여기서 질문.
1. 실제로 업쉬프팅시에 더블클러치를 쓰는 분들이 많이 있으신지요???
2. 변속 속도를 올리는 방법은 부단한 연습밖에 없나요?
3. 1단은 원래 그런가요?
그나저나.. 자게에 쓰기에도, Q&A에 쓰기에도 적당하지 않은 글인 것 같네요. 죄송합니다. ;;;;

1. 직접 본적은 없습니다.
2. 그렇겠죠. 저도 싱글클러치보다 더블클러치가 더 빠른듯한 기분입니다. 싱글클러치는 싱크로가 한번 잡아주면서 반박자 슬쩍 걸렸다 들어가는 느낌이고, 더블클러치는 그냥 곧바로 쑥~ 들어가는 느낌이구요.
3. 1단은.. 사실 세차 직후 브레이크 분진 묻는거 싫어서 억지로 넣을때 말고는... 넣을 일이 거의 없던데요. 1단은 원래 다 그런듯 합니다. 더블클러치로도 과감한 악셀링으로 레브매칭을 잘 해주지 않으면 바로 안들어가지요.
저는 힐앤토는 거의 싱글클러치로 합니다. 사실 노멀한 일상주행에서는 다운쉬프트시 더블클러치만을 사용하고 와인딩이나 서킷에서의 주행때에는 싱글클러치만 하게 되더군요.
오래된 테드 회원으로서 수동 매니아라면 그래도 더블클러치정도는 능숙히 익혀놓으시는게 맞지 않을까요? ㅎㅎ

요즘차는 싱글클러치로만 해줘도 충분한거같긴해요.^^ 더욱이 현역인 RX-8 이면.ㅎㅎ 저도 더블클러치로 해줬을때 조금더 잘맞아들어가서 기분좋긴하더군요. 제차도 2>1단이 싱글클러치로는 좀 버겁게 꽂아넣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잘안들어가는 느낌 ㄱ-;; 1단은 원래좀 그런듯 싶네요. 더블클러치로 하니 매끄러와지더군요. 요즘 프로들 타는거보면 요즘차는 RPM보정을 거진 다 싱글클러치로 다하긴하니까요~ 힐앤토도 싱글로 한번만으로 맞춰주는게 대세더군요.ㅎㅎ
굳이 모든단수를 더블로 하자면... 어쩜 귀찮다고 생각하면 귀찬을지도요.ㅎㅎ 은근히 이게 N단에서 한번 페달떼주고
블립핑 해주고 다시 클러치밟아 기어넣는거.. 말그대로 2번 클러치질 해주는거니.. 음.. 발이많이간다는점은..ㅎㅎ 요즘차에 쓰기엔 메리트가 떨어졌다고 해야할까요.. 더블로 해서 메리트가 있는 기어단수에만 해주는것도 좋을꺼같아요. 저도 힐앤토는 거진다 싱글로 하구 (1단만 더블클러치를 하는..) 그냥 쉬프트다운은 더블클러치로 할때도 싱글로 할때도 있숩니다.^^ 업쉬프팅을 할땐.. 그냥 다음단수를 꽂았을때의 RPM으로 떨어질때 정확히 맞춰서 변속해줍니다. 그정도면..^^; 퀵시프팅보다 반박자 느리긴한데 충격이 없어서요. 드래그모드 아니면 그렇게 별차이는 안난다고 합니다. 업쉬프팅시는 속도에 너무 연연해 하시지 않으셔도 될꺼같아요..^^

제가 업시프트에 더블클러치를 쓰는 경우인데,
제 경우는 따로 이유가 있어서 4->5 단에서만 씁니다.
S2000의 고질병이라는 5단 싱크로 문제땜에..-_-
그냥 올리면 5단 들어갈때 좀 그륵 거리며 들어갈때가 많아서,
아예 항상 더블클러치로 5단을 넣습니다.. 그러면 깔끔하게 들어가죠.
6->5단도 더블클러치로 시프트다운을 하구요..
(의외로 이 경우는 더블클러치 안넣어도 잘 들어갑니다만)
그리고 변속 스피드는 연습에 연습 뿐입니다 ^^
그런데 속도도 속도지면 실수가 없는 변속이 더 중요한 듯 합니다.
저는 변속 속도는 꽤 빠른 편이라는 평을 듣지만 가끔 삑살을 내는게 문제랄까요..
와인딩에서 급한 코너 앞에서 레이트 브레이킹을 하면서 변속에 들어가는데,
거기서 삑살을 내서 변속 타이밍을 놓쳐버리면 정말 난감합니다 -_-
(빌빌거리며 코너를 돌면서 엄청나게 손해볼때가 가끔 벌어집니다)
그래서 빠른게 꼭 능사는 아닙니다. ㅎㅎ
실수없이 정확히 넣는 걸 중시하세요 ^^

더블클러치 변속이 용이하게 느껴지는건 단지, 클러치가 열려있는 시간이 길어서 그렇다는 생각입니다. 더블 클러치를 연습하는거 보다, 액셀을 쳐주는 타이밍과 클러치 열어주는 타이밍을 잘 맞추는데 신경쓰는게 더 유익하다고 봅니다.
1단 시프트 다운은 기어비 차이가 커서, 2단때보다 반템포쯤 더 늦춰서 정확히 해주면 됩니다. 성급하게 1단 힐앤토를 쓰다 실수하는거 보다는 그냥 정확히 다운시프팅 하는게 빠르고.. 짐카나나 오토크로스 경기가 아닌이상, 주행 중 1단까지 내릴 일은 거의없어 별 실용성이 없지요.

더블클러치는 할 줄 알면 아주 유용한 기술입니다.
업시프트때 사용하면 가장 좋을 때는 냉간시입니다. 주기어와 싱크로의 냉간시 수축율이 다르기 때문에 시프트업시에 변속기는 얼마나 춥냐에 따라 치합이 정확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 더블클러치를 써주면 변속기 보호에 아주 좋습니다.
1단 더블클러치가 더블클러치를 사용하는자의 실력에 좌우됩니다. 얼마나 정교한지 여기서 결판이 납니다.
원래 그런 것은 없습니다. 연습하고 기어가 빨려들어갈 듯한 느낌이 될때까지 연습하시는 수 밖에 없습니다. 단 기어를 밀었을 때 어느정도이상의 힘으로도 안들어가면 안넣는 것이 좋습니다. 더블클러치로 완벽하게 꽂아 넣는 상황이 아니고 억지로 넣는 경우라면 1단 싱크로에 무리가 갑니다.

1. 트럭이나 버스(그것도 요즘 트럭 버스는 더블클러치 안쓰더군요) 말고는 쓰는 것을 못봤고 필요성도 못느끼더군요.
2. 변속속도를 올리는 것은 연습도 연습이지만 차 특성에 맞는 팁이 있더군요. 어차피 해야될 동작은 정해져 있고 속도를 내려면 동작을 더 빠르게 하던지 여러동작을 동시에 하는 수밖에는 없으니까요.
3. 1단이 잘 안들어가는 것은 차마다 다릅니다. 이상하게시리 1단 기어가 더블클러치를 써도 구조적으로 뻑뻑한 차가 있습니다.(ex 젠쿱)

저는 주로 냉간시 업시프트때 사용합니다. 젠쿱수동인데 냉간시에는 1~3단까지 잘 안들어갑니다.
다운시프트때는 굳이 클러치를 띄었다가 밟지는 않고 그냥 악셀만 살짝 쳐줘서 알피엠만 맞춰주고 기어 바꿉니다.
근데 확실히 속도는 싱글클러치에 비해 익숙하지 않아서 느립니다.^^; 그냥 냉간시 기어가 안들어가서 사용하는 것뿐...
1. 클러치/미션비용이 고가인 슈퍼카들..(예를들면 페라리 F50같은)에선 쓰는 영상도 보았습니다.. 이건 뭐 돈을 아낀다는 개념보다는 남의 차 시승하면서 무리안주게 하려고 그런듯... 일반적으로는 사용하지않습니다.
2. 네.. ㅠ.ㅠ
3. 차마다 조금식 다르지만 대부분 그렇습니다.. 기어비 때문에 그런듯..
근데 이미 더블클러치가 익숙한게 아니라 지금부터 배우는 단계라면 굳이 더블클러치를 고집하실 필요가 있나 싶네요..
이제는 큰 의미가 없지않나 싶습니다... 그렇게 해야만 되는 차를 탄다거나 1단이 잘 안들어갈때...이럴때는 사용하겠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