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A3는 기본적으로 GTI와 같은 하체와 같은 파워트레인을 가지고 있지만 GTI에 부여된 Heritage와 비슷한 맥락의 이미지가 따로없고 상위에 S3가 있기는 하지만 A3와의 연관성이 워낙 부족해 성능이 좋고 재미있는 고성능 해치백의 이미지가 한국에는 아직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은 듯 보인다.
2.0TFSI 직분사 터보 엔진은 Model Year기준으로 08년식부터 타이밍벨트 방식이 아닌 체인방식으로 바뀌었고, 눈에 거의 안띄는 하드웨어 몇가지가 개선되었다.
내부에서는 EA888이라 불리는 이 개선판 2.0TFSI엔진(폭스바겐에서는 2.0TSI로 불림)은 주행시 어떤 차이가 느껴지거나 하지 않지만 튜닝을 하는 입장에서는 기존엔진에 비해 훨씬 쉽게 잠재력을 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에 시승한 차량은 APR stage3킷을 장착해 370마력에 최대토크 53kgm를 이끌어낸다.(EA888모든 엔진에 적용가능)
시승은 용인주변의 와인딩로드에서였고, 180km/h이하의 속도로 시승했다.
차에 올라탔을 때 이미 충분히 엔진이 덥혀져 있었지만 순정보다 큰 터빈(가레트 GT2871)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저속이나 중속에서의 운전성이 달라졌는지를 점검하려 했지만 순정과 별다른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초반에 무겁다는 느낌이 없었다.
재미있는 사실은 순정대비 170마력이 상승했지만 가스켓을 바꾸는 작업도 없이 순정 압축비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을 하면서 엔진본체는 전혀 건드리지 않았다.
EA888엔진의 장점은 APR stage3킷을 넣을 때 연료탱크에 있는 연료펌프는 물론 엔진주변에 있는 직분사 전용 고압펌프도 손을 대지 않아도 되는 점으로 작업이 엄청나게 간단해졌다는 것이다.
엔진이 풀쓰토틀을 받아낼 정도로 충분히 워밍업이 된 후 가속패달을 조금 더 깊게 밟아보았다.
3000rpm을 넘어서면서 상당한 토크가 쓰나미 밀려오듯 다가오는데, 전륜타이어가 2단 상황에선 이런 풀부스트에 그립을 제대로 잡지 못했지만 타이어의 온도가 높아질 수록 이렇게 끈기없이 접지를 놓치는 빈도가 줄어들었다.
순정 DSG가 이정도의 토크를 받아낼 수 있다는 것이 조금 신기하기까지 했고, 아무튼 시승중에 변속기가 힘을 주체하지 못한다는 느낌은 없었다. 다만 내구성에 대한 부분은 좀 더 지켜볼 일이다.
코너웍을 하면서 과연 이런 파워를 몇퍼센트나 쓸 수 있을까하는 의문은 고출력 전륜터보차량들을 대하는 자연스런 선입견이기도 하다.
사실 폭스바겐 그룹 전륜구동형 차량들의 이러한 파워언더스티어에 대한 부분은 굉장히 잘 제어되는 편이지만 순정대비 거의 두배에 가깝게 튜닝된 차량도 그럴 것이란 보장은 쉽게 할 수 없다.
결론을 이야기하자면 시승차는 코너에서 마치 LSD가 있는 차량처럼 행동했다.
보통 ESP가 작동한다해도 코너안에서 가속패달을 밟아 부스트를 띄우면 안쪽 앞바퀴가 공전하면서 트랙션 컨트롤이 개입되어 맹탕이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트랙션 컨트롤이나 ESP가 없는 차량이라면 극심한 언더스티어에 운전의 재미를 느낄 겨를도 없다.
하지만 시승차는 코너에서 부스트가 상승할 때 심지어 코너 안쪽으로 살짝 들어오는 느낌을 줄정도로 순정 ESP내의 기능중 하나인 EDL(Electric Differential Lock)이 매우 민첩하게 작동했다.
물론 숏코너에서 아주 깊은 액셀링에는 궁극적으로 트랙션 컨트롤이 파워를 제한하지만 왠만한 액셀링에는 이 EDL이 제법 큰 역할을 해냈다.
따라서 370마력의 파워를 코너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는 점이 A3 APR stage3의 시승에서 가장 크게 예상을 벗어난 항목이었다.
직선에서 파워를 한껏 발휘하면 속도가 신나게 붙으며, 토크스티어가 거의 없어 스티어링 휠을 잡은 손에 부담이 적었다.
어린애 주먹만한 순정 터빈과 비교하면 볼베어링 타입의 가레트 GT2871는 엄청난 전투력을 가진 터빈이고, 반응도 빨라 터빈이 큰 것에 비해서는 레스폰스가 좋은 편이다.
구형 2.0TFSI의 300마력 튜닝 사양을 탔을 때는 순정과 비교해 100마력 만큼의 출력과 토크가 그대로 상승한 느낌으로 매우 자연스럽고 부드러웠다는 느낌이라면 신형 TFSI엔진에 370마력 사양은 물론 저속에서 부드럽고 부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순정같은 느낌을 간직하지만 부스트가 급상승할 때는 다소 폭력적인 터프함을 이끌어내는 점에서 차원이 다른 세팅이라고 하겠다.
순정의 경우 터보엔진이 시간이 갈수록 개발의 묘미로 터보레그도 거의 사라져가고 있고, NA와 같은 리니어한 세팅으로 변해가는 시장상황에서 컨트롤이 다소 어려울 수도 있는 꽝터보의 존재가치는 애프터마켓이라는 조건하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세팅이 완전하다는 조건하에 여전히 매력이 큰 상품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겨울이라 미끄러워 제대로 시승을 할 수 없었던터라 이번 시승은 짧았지만 아주 통쾌하고 재미있는 시승이었다.
APR stage 3관련 링크 : http://www.goapr.com/products/stage3_20_tsi_trans.html (작업:VAG모터스)
-testkwon-

글로벌오토뉴스의 시승기에는 국내의 A3에는 6단습식 DSG가 장착된 것이 수입되었는데 허용토크가 35.6kg.m이고, 일본 등에 1.4, 1.8용으로 수입된 7단건식 DSG의 허용토크가 56.1kg.m라고 나오네요..
이것이 정확한 정보라면..
업그레이드 킷트 홈페이지의 정보는 아무래도 7단건식DSG용의 경우 업그레이드가 필요없다는것 아닐까 하는 추측이 됩니다..
국내 수입된 A3용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스테이지3를 넣을 경우 내구성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할듯한 생각이 드네요..

시승기에 변속기의 내구성은 지켜볼 문제라고 언급했습니다. 시승당시의 조건에서 클러치의 슬립은 없었습니다만 원래 자동변속기이건 수동변속기이건 순정 파워에 두개 가까이 튜닝된 차에서 일어날 수 있는 슬립에 대한 가능성은 시승중에 판단이 안된다해도 그것 자체가 가능성이 없음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언급한 것입니다.
그리고 위에 언급하신 허용토크는 다이나믹 토크수치입니다. 정적인 토크수치보다 다이나믹 토크 수치의 실제 버티는 토크값이 높습니다. 예를들어 달리고 있을 때 30킬로의 토크가 추가로 걸리는 것과 서있을 때 30킬로의 토크가 걸리는 것은 그 의미가 다릅니다.
그리고 폭스바겐의 7단 건식 타입 DSG는 6단 습식 타입에 비해서 토크 대응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1.4와 1.8TSI에만 부분 적용되고 있는 것이지요. 폭스바겐 그룹 내부에서 부르는 코드를 통해 추측하는 토크 대응은 6단 습식에 비해 20%낮은 토크 대응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전륜구동에서 300마력 오버는 구조적 한계로 밸런스가 트러지고 컨트롤이 어렵다는 말은 이제 옛말이 되는거 같군요. 요즘 고민중인게 GTI의 워런티 기간이 지나면 일정수준 튠을 할지 계속 순정을 고수할지인데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저는 bpy엔진인데 ccta엔진이 부럽습니다.
다른거 없이 5천불짜리 터빈-파이핑 킷트만으로(하체,브레이크는 별도로 하고) 저런 무시무시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니..
신형엔진이 탑재된 2세대신형A3와 골프GTI'09년식 이후 오너분들에게는 정말이지 크나큰 유혹의 글로 다가올듯 합니다..^^
프리미엄 해치백의 실용성에 꽝터보의 짜릿함까지.. 배기음색이나 자세를 중시하는 분들만 제외한다면 정말이지 완벽한 솔루션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올해내로 한-EU FTA도 체결된다 하니 향후 유럽차들의 분발을 더욱 기대해볼 수 있겠네요~!!
궁금점이 A3 TFSI와 A4의 TFSI가 같은 엔진인것 같은데요.. 그럼 위의 튜닝을 A4에도 별다른 큰 작업없이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A4 콰트로하고 접목되면 아~주 좋은 매칭이 아닌가 해서요...ㅎㅎ
전륜이 370 마력을 소화할 수 있다니 정말 놀라울 따름입니다.. 사실 전륜 300 마력도 저게 코너에서 정말 컨트롤이 가능 할까 싶었는데 LSD 와 같은 기능을 하는 아이템만 있으면 370 마력도 소화 되나 보네요.. 마스터님 덕분에 새로운 세계 간접경험 잘 하였습니다 그나저나 골프 정말 대단하네요 엔진에 전혀 손안되고도 370 마력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