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흐.. 요즘 아주 동계올림픽 메달소식에 좋아죽겠습니다.
여러분도 다 들 그러실 듯. ^^
각종 기초체력과 구기종목 위주인 하계 올림픽에 비해, 첨단 과학 결정체인 기구를 많이 사용하는 동계 올림픽에.. 한층 흥미를 더 느낍니다. 또 대부분이 직곡선 스피드를 중시하는 스포츠여서, 드라이빙 매니아에겐 꿀과 같이 소중한 첨단 정보들을 많이 접할 수 있는게 좋네요. 아침에 출근하기 싫어 죽겠습니다. 오늘도 모태범 경기 볼라고 개기다가 점심때에서야 출근했네요. ㅎ
노르웨이 스키 활강 영웅인 스빈달을 정밀 분석한 다큐를 보니, 인간능력의 한계는 대단합니다. 중반까지 숏턴이 많고 절대속도가 160km 까지 올라가는 중반 이후에 한계에 어프로치하는 과정은 정말 신비롭더군요. 턴이 빈번한 구간에선 안정적인 마찰접지를 위해 근육이 릴렉스하게 대응하고, 직선구간이 많은 후반에선 설반을 누르는 중력의 힘을 최대한 이용한다는 점도 신기하고.. 각 코스를 빠르게 달리기 위해 1~2cm 의 오차까지 계산하여 달린다는 점이 짜릿합니다.
슬립 코너링구간이 대부분인 랠리에서도, 드리프트 시 불과 몇센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 절대로 터프한 운전이 빠를 수 없듯이 스키활강이든 스케이트든, 안정적인 자세에서 뿜어나오는 섬세하고 정교한 속도에너지가 멋집니다. 레이스 시에 그날의 기온과 지면온도, 공기압의 1~2psi 차이와 트레드블록 크기와 모양차이 등이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알고보니.. 빙상장의 특성이나 해설자가 얘기하는 미묘한 자세의 차이.. 스케이트 슈즈의 컨디션등이 너무나 재미있게 공감되는군요.
오늘 오전.. 문준 선수의 스케이팅 중계를 하는 중 해설자의.. '보통 선수의 발에 맞는 스케이트는, 6개월이 지나야 맞춰지는데.. 문준 선수의 스케이트는 엄청난 훈련으로 고장나 한달전에 맞춰 신었다.' 는 얘기. 단순한 기능의 스케이트도, 신체와 맞춰지는데 그런시간이 필요한데.. 만개이상 부품이 조합된 자동차는 과연 어떨까..를 생각했습니다. 각 시즌 초 새로 세팅된 레이싱카는 경기를 거듭하면서 숙성되고, 긍정적인 화학변화를 받아들입니다. 달리는 동안 각 부품의 움직임이 마치 자신의 내장과 골격 하나하나가 조율되듯 파악하고 이해하면서 달린다면 얼마나 짜릿하고 멋질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동계올림픽 중계나 리뷰를 자세~히 관찰하는 것도, 운전에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가끔 직원들이나 회사임원을 태우고 달릴 경우가 있는데.. 아주 안전한 페이스로 부드럽게 달려도, 레이스하던 사람은 굉장히 터프하고 무모하게 운전하는 줄 알더군요. ㅋ 보통 사람들은 높은 알피엠때문에 엔진소리가 커지거나, 속도가 빠르면 매우 난폭한 운전으로 인식하는거 같습니다. ^^
스빈달의 고글안쪽에 카메라를 달아, 그가 활강하는 동안 눈을 찍어보았더니.. 3키로 구간을 활강하는 1분 수십여초 동안 한번밖에 눈을 깜박이지 않더군요. 훈련된 사람이 읽는 시각정보는, 판단하고 분석하는 경로를 거치지 않고, 직접 행동지침으로 전달되는 과정도 매우.. 흥미롭습니다. 암튼..
요즘 동계올림픽 때문에, 일상이 즐겁네요.
깜장독수리..

아이스하키를 취미로 하는데..일반인들은 이스하키=위험한 운동 으로 인식을 하더군요. 꼭, 레이서=난폭한운전 처럼요. 절대 위험한 운동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말이죠.ㅜㅜ)

카메라 중계방식이 많이 좋아져서 더 그런것 같습니다.
카메라가 선수를 따라가면서 박진감 넘치는 장면이 많아졌고.
구도도 좋아졌고.

제목만 보고 '어? 왠지 낯설지 않은 문체인데...' 하고 올라가보니 익렬님 글이네요... ^^
스포츠와 운전을 연관 시킬 수 있는 건 제 생각에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사고 방식에서는 좀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어느정도 이상 차를 좋아하고 드라이빙을 몸으로 느끼면서 즐거워하는 이곳 환자수용소에서나 일반화가 될 수 있겠죠... ㅎ
저는 F1 등의 레이스를 가끔 보면 왠지 모르게 마라톤 경기가 생각나곤 합니다...
운동화 끈을 조여매고 가장 이상적인 경기복을 착용하는 것과 타이어 상태, 각종 오일, 레이싱 슈트를 착용하는 것...
스타트 라인에서의 초반부터 시작되는 경쟁자들과의 신경전...
Finish line을 향해 달려가는 동안 한순간도 방심해서는 안되는 바디/마인드 컨트롤...
선수와 코치의 긴밀한 협조, 드라이버와 미케닉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모든걸 뒤받침해주기 위해 흘려야하는 땀과 수많은 고민을 반복하게하는 준비 과정들...
마지막으로 인간의 한계에 도전한다는게 가장 잘 Match되는 것 같더라고요...
동계올림픽과 연관해서 생각해본적은 없는데, 하이라이트 보면서라도 좀 유심히 봐봐야겠네요...
스케이팅의 막판 직선 스퍼트는 드라이버에겐 막판 직선구간에서 악셀 페달 밟고 서있는 것과 유사하겠는데요? ^^
정해진 출근 시간이 없으시다는 점이 부럽습니당..~~~~
올림픽 본방을 본적이 한번도 없어요..
SBS 단독 중계이다 보니깐,, 이전 올림픽때는 아무 채널이나 틀어도 재탕삼탕 하루종일 볼 수 있었던 올림픽 하이라이트가
시간 맞추고 기다리다고 봐야 해서 여간 불편한게 아니에요..
단독중계 정말 나빠요..~~~
EBS 방송 보셨군요~ 저도 그 방송 봤습니다~상당히 인상적이었는데..어제도 하더군요..스키점프~
일본방송은 어떻게 그 선수들을 대상으로 방송을 찍었는지..대단하다는 생각만 들더군요~
알파인 스키 중계가 적어서 무척 아쉽습니다. 근데, 다운힐에 숏턴(슬라럼) 구간은 없는듯 합니다. ^^ 빨리 SG, GS 를 보고 싶습니다. 간식으로 SL 까지....
정동현 선수 경기 모습 보고 싶습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aid/2010/02/18/3630697.html?cloc=nnc 보면서싱긋 웃은 올림픽+'차' 관련 기사입니다.

많은 회원분들이 여러 레저 스포츠를 즐기시리라 생각됩니다.
분야별 작은 소모임을 만들어도 될만큼 되지 않을까요....
탁구, 당구부터 시작해서 extrme스포츠까지...
어떤 레저 스포츠를 즐기시고 계시는지 궁금해 지네요..

익렬님 글을 보며, 저도 중계를 보며 많은 생각을 했던게 기억이 납니다.
스피드스케이팅의 경우, 직선주로 끝나고 코너 들어가는 라인이 카레이싱의 아웃-인-아웃과 거의 똑같이 맞아 떨어지죠.
코너링시에 너무 무리를 하면 속도를 이기지 못하고 레인 바깥으로 밀려나가는 것. 음. 이건 언더스티어인가요? ^^
각 경기(500, 1000, 1500)별로 직선주로 스트로크 횟수가 거의 정해놓고 훈련을 합니다. 최적의 스트로크 갯수만큼 해 주고, 바로 라인잡고 코너링에 들어갈 수 있게끔...
수영도, 턴 하기 전에 스트로크 꼬이면 거기서 랩타임 꽤 잡아먹거든요. 그래서 바닥에 T 자 보고 스트로크 맞추는 훈련도 했던 기억이... (수영은 경기도 대표로 체전에도... 아주 오래 전 일이지만요...)
모태범선수 1000m 경기를 보며 정말정말 땅을 치게 안타까웠던 장면이 있는데요...
바로 피니쉬 직전이었습니다.
결승라인에 반스트로크 정도 못 미친 채로 그냥 날치기가 들어갔는데, 거기서 한 피치 정도 더 들어갔으면 금/은 메달 주인이 충분히 바뀌었을 수도 있거든요. 금메달딴 샤니~ 인가 하는 선수랑 0.18초 차이였지요?
샤니 선수는 결승라인에 스트로크가 딱 맞춰지고 날치기가 들어갔구요...
뭐 그래도 정말 우리나라 선수들 훌륭합니다.
이규혁 선수도 수고 많았구요.
동계스포츠의 마니아로서 공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윗사람을 모실때는 일단 빨리 재우는 모드로 운전하는게 가장 편한것 같습니다.
동네 운동구점을 모두 뒤져 장만한 스피드 스케이트를 꺼내 먼지라도 닦아 보관해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