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현재 베타엔진에 카니발터빈 0.9바를 사용하고있는데 연료량이 부족한지 배기온이 많이 뜨는편입니다. 인젝터는 젠쿱 2.0 터보용 인젝터입니다. 조금만 밟았다 싶으면 1000도를 그냥 넘어가서 맘놓고 밟을 수가 없습니다.
1. 연료압 레귤레이터를 장착하면 연료량을 좀 늘려 이런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을까요? 검색을 해보니 매우 저가의 제품과 고가의 제품 등등 다양한 종류가 있던데 차이점이 무엇이고, 제 차(베타 + 카니발터빈)에는 어느정도 수준의 제품을 장착해야하는건가요? 아울러 연료압 레귤레이터만 달아도 다시 맵핑을 해야하나요?
'연료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라는것만 알고있어 수십만원의 비싼 제품과 10만원도 안하는 제품의 차이점이 뭔지 도통 모르겠습니다.
2. 대용량 연료펌프는 무진장 비싸다 라는 생각만 가지고 있었는데, 검색을 해보니 Walbro사에서 나온 순정형 연료펌프가 그다지 많이 비싸지 않네요. 설치도 간단해보이구요. 제 스펙에 이정도를 사용하면 연료량을 늘려 배기온 많이 뜨는 증상을 좀 개선시킬 수 있을까요? 물론, 맵핑은 다시 해야겠지요?
3. 계속되는 우문입니다만... 이렇게 연료량을 열심히 늘려놓고 맵핑을 해서 타고다니게 되면 연비가 현저히 떨어지나요? 그냥 배기온 신경쓰면서 지금처럼 타는게 좋은 연비를 유지하는 방법일까요? 이것도 살짝 걱정됩니다.
답변해주시는 고수님들 미리 감사드립니다.

제의견으로는 베타엔진에 카니발터빈이면 후반 배기온도가 높아질수밖에 없는 하드웨어입니다.
카니발터빈이면 부스트가 낮아도 고회전에서의 배기저항이 굉장히 높아질수밖에 없습니다.
1,2번 질문의 답변이라면...한마디로, 하드웨어가 바뀌면 소프트웨어도 바뀌어야합니다.
3. 어차피 저회전 저부스트시의 배기온보다는 고회전 고부스트시의 배기온도를 잡기위해
연료량과 점화시기를 조절하는것이기때문에 일반주행정도의 연비차이는 미미할것이고,
일명 "조지는"주행에는 연비의 차이가 있겠죠.
베타엔진이라면 조금더 큰 사이즈의 터빈을 권하고 싶습니다.
제 세컨카인 스쿠프 터보에도 카니발을 쓰고있지만 1.5sohc엔진에도 조금 작은듯한 느낌이고
후반엔 배기온이 높게뜹니다.
참고만 하세요~ ^^

배기가 적절하게 되어있다는 가정하에 현재 시스템에서 연료압레귤레이터를 달고 부스트호스를 꼽으면 후반에
배기온 잡을수는 있습니다..허나 완전하진 않고 배기온이 뜨는 시간을 좀 줄일뿐이죠..
터빈이 작으면 배기온이 빨리 뜨긴 합니다.
현재 일반유 사용중이시라면 고급유를 쓰는것도 나름 적게 돈쓰는 방법일듯합니다..

현제 세팅하신 스펙으로는 연료압레귤레이터라든지 대용량 연료펌프는 필요 하지 않습니다.
전체적인 연료량이나 점화시기등을 켈리브레이션 하셔야 할거 같습니다.
ECU맵핑업체를 통해 다시 맵핑을 하시면 괜찮을것이라고 생각듭니다. ^^
그리고 연료압 레귤레이터를 장착하시면 다시 맵핑을 하셔야 합니다.

그런가요...고부스트를 사용하신다면 후반부 연료량을 늘리는것은 어쩔수 없는 선택입니다.
업체에서 연료량이 모자라다고 한다면 당연 연료압레귤레이터와 연료펌프를 바꾸시는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질문이 있습니다. 연료라인 타입이 리턴타입인가요? 리턴리스타입인지요?
리턴리스 타입의 경우 리턴타입으로 교체를 한다면 도움을 줄수도 있습니다. ^^
배기온도가 많이 뜨신다고 하셨는데 터빈이후 배기시스템을 어떻게 구성을 하셨는지요?
배기의 경우 배기 구경을 작게 하신다면 당연히 배기온이 높게 뜰수 밖에 없는 조건이 형성될수 밖에 없으니
배기구경을 키우시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 답해주신분들께서 좋은말씀 많이해주셔서 제가 알고있는 답변을 드립니다.
1.번의 연료압력레귤레이터를 별도로다시게되면 약간의 연료량을 늘일수있습니다. 순정의것을 때내고 다셔야 좋습니다.
저가형 ,고가형의 차이는...제생각에는 검증된것(그렇타고는하지만 100%신뢰는금물) 으로 신뢰감으로 선택합니다.
전 HKS 추천합니다.
다시멥핑해야합니다.안하게되면 작게는 연비악화 ,파워감소-크게는 엔진이 망가질수도 있습니다.
2.연료펌프는 소리와 진동 등의 불편한점등 이있습니다만 .큰것을 하시면 좋습나다.
아시고 계시는 내용일수도있습니다만.-예를들어 서지탱크(콜렉터탱크.등)내의압력이 1바라면- 연료압력은그압력을 이기며
분사를해야기때문에 충분?한 여유를 두는것이안심입니다.(만약2바나3바같은경우는 펌프를여러게를달기도합니다) 멥핑
해주시는 분들께서 알아서 말씀해주시지만 간혹 예산을 맞추어서 작업하시는경우는 타협하시는 경우도 있는것 같습니다.
3.멥핑 해주시는분에 따라입니다만 오희려 -연비, 파워, 배기온 모두 좋아질수도있지십습니다만. 위에말씀해주신분들 말씀처럼
카니발터빈의 경우는 한계가있는것 같습니다.
신뢰할만한곳에서 컴퓨터를 만진다면 말씀하신40만원정도의 비용은 가치있는것이라 생각됩니다.
만약 배기온으로 전조를보인 연료문제로 엔진트러블 이난다면 여러가지로 골치아프지않을까십습니다
(제생각엔 엔진블로나게되면 길들이기 등의물질적 시간적인 번거로움도 그렇코 A/S관계에서도 ,인스톨 샵에도 ,곤란할것같습니다.
멥핑하시면서 ,일반휘발유든-고급휘발유로든 정확한 장비로-데이터를보면 사용하고계신 배기온게이지 와의 수치 차이등도
확인 하시면 마음도 놓이고 좋을것 같습니다.

좀 어렵게 일을 풀려가는 느낌이들어 몆자 끄적입니다.
제가볼때는 인젝터교체에 너무 인색합니다.
간단하게 인젝터만 대용량으로 바꿔도 충분한 사양이고 충분히 배기온 잡을 수 있을것 같습니다. 물론 맵핑 병행하셔야하구요.
퓨얼레귤레이터 + 리턴라인 + 왈브로 + 연료탱크 센더모듈 교체 or 개조는 카니발 터보에는 구성안해도 되는 품목들입니다.
다만 윗분들 말씀처럼 터보가 작은 죄로 장기간 운행시 배압으로 인한 매니폴드의 크랙이나 볼트풀림등은 피할 수 없을겁니다.
장기적으로는 피스톤링이나 벨브주변의 밀봉도 약해져 오버홀 주기가 빨라집니다.
잘은 모르지만 줏어 들은 얄팍한 지식으로 말씀드리자면 배기온이 높게 뜨는 이유가 강수안님이 써놓으신 것처럼 연료분사량이 모잘라서인지, 점화시기가 지각되어서인지가 파악되어야 할 듯 합니다...
만약 연료펌프의 용량이 딸리고 연료압력이 낮아서라면 당연히 업글을 해주시고 재맵핑을 받으셔야 무탈하게 타실 수 있을 듯 합니다...
신경 쓰면서 차 타는 것보다는 연비 조금 안나오더라도 내구성 있는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