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제 차의 전륜 브레이크 로터가 마모 한계를 넘어선 것을 인지하고 있었고, 부스트업으로
인해 올라간 출력을 감당하기 위한 다양한 옵션을 고민하다가 결국 순정을 이용한
업그레이드를 결정하고 감행했습니다.
A3 1.8TQ의 전륜 브레이크 로터는 288mm 입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로터 크기를
사용하는 VAG의 차종들과 312mm 크기의 로터를 사용하는 TT, S3 등과 캘리퍼를
공유한다는 것입니다. 캘리퍼를 허브에 연결하여 받치는 캘리퍼 캐리어의 길이가 로터의
직경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캘리퍼 캐리어와 로터만 구하면
캘리퍼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더 큰 브레이크 사이즈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캘리퍼 캐리어는 악명높은 E** Tuning에서 구입하였고 - 특별한 일 없으면 앞으론 별로
거래하고 싶지 않은 곳이 돼버렸습니다 - 아래 사진에서 보시면 반짝거리는 것이 새로운
캐리어입니다.
로터는 국내 모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Zimmerman의 312mm를 구입했습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애프터마킷의 크로스드릴드 로터가 순정 민짜 로터보다 더 싸더군요.
참고로 Z사의 로터는 방향성이 없습니다.

작업은 직접 했는데, 캘리퍼를 탈거하는데에 7mm 헥스 볼트와 18mm 너트라는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규격 덕분에 꽤 삽질을 해야 했습니다. 게다가 운전석 로터의
볼트가 녹으로 인해 고착되는 바람에 드릴링해서 볼트 헤드를 날리고서야 로터를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 운전석을 먼저 작업했는데 운전석 작업에 걸린 시간은 5시간 가까이 됐고,
조수석은 30분만에 끝낼 수 있었죠.
아직 로터의 길들이기가 덜 되어 있는 상황이라 확실한 성능 향상을 알 수는 없습니다만
y00->x00 감속시에 느껴지던 페이드가 확실히 줄어들어 일단은 합격점을 주고 있습니다.
후륜 로터가 239mm밖에 되지 않아 밸런스 면에서 불리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으나,
마땅한 솔루션이 보이지 않네요. ^^
PS. 이미지 태그, 앵커 태그 정도는 쓸 수 있게 해주셨으면... ㅠㅜ
인해 올라간 출력을 감당하기 위한 다양한 옵션을 고민하다가 결국 순정을 이용한
업그레이드를 결정하고 감행했습니다.
A3 1.8TQ의 전륜 브레이크 로터는 288mm 입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로터 크기를
사용하는 VAG의 차종들과 312mm 크기의 로터를 사용하는 TT, S3 등과 캘리퍼를
공유한다는 것입니다. 캘리퍼를 허브에 연결하여 받치는 캘리퍼 캐리어의 길이가 로터의
직경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캘리퍼 캐리어와 로터만 구하면
캘리퍼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더 큰 브레이크 사이즈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캘리퍼 캐리어는 악명높은 E** Tuning에서 구입하였고 - 특별한 일 없으면 앞으론 별로
거래하고 싶지 않은 곳이 돼버렸습니다 - 아래 사진에서 보시면 반짝거리는 것이 새로운
캐리어입니다.
로터는 국내 모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Zimmerman의 312mm를 구입했습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애프터마킷의 크로스드릴드 로터가 순정 민짜 로터보다 더 싸더군요.
참고로 Z사의 로터는 방향성이 없습니다.

작업은 직접 했는데, 캘리퍼를 탈거하는데에 7mm 헥스 볼트와 18mm 너트라는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규격 덕분에 꽤 삽질을 해야 했습니다. 게다가 운전석 로터의
볼트가 녹으로 인해 고착되는 바람에 드릴링해서 볼트 헤드를 날리고서야 로터를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 운전석을 먼저 작업했는데 운전석 작업에 걸린 시간은 5시간 가까이 됐고,
조수석은 30분만에 끝낼 수 있었죠.
아직 로터의 길들이기가 덜 되어 있는 상황이라 확실한 성능 향상을 알 수는 없습니다만
y00->x00 감속시에 느껴지던 페이드가 확실히 줄어들어 일단은 합격점을 주고 있습니다.
후륜 로터가 239mm밖에 되지 않아 밸런스 면에서 불리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으나,
마땅한 솔루션이 보이지 않네요. ^^
PS. 이미지 태그, 앵커 태그 정도는 쓸 수 있게 해주셨으면... ㅠㅜ
2006.03.18 07:01:24 (*.249.174.112)

오호라...캐리어라는게
국산차로 치자면 안*드럼에서 파는 2피 브라켓 같은거네요...
외제차 브레이크 업글 개발에 강한 유혹을 느낍니다...
만렘보는 그렇고 적당한 고급 캘리퍼와 빅로터의 매력
어떨까요 선동님...???
국산차로 치자면 안*드럼에서 파는 2피 브라켓 같은거네요...
외제차 브레이크 업글 개발에 강한 유혹을 느낍니다...
만렘보는 그렇고 적당한 고급 캘리퍼와 빅로터의 매력
어떨까요 선동님...???
2006.03.18 08:28:23 (*.36.164.93)

앞쪽이 넘 좋다보니 이젠 리어쪽도 불만이 되더라구요.... 325탈때의 안정감...뭐랄까..
325를 타보면 리어 브레이크가 한템보 빠르게 잡히면서 바로 앞쪽이 잡힙니다..
결국 차체를 내리 누르게 되어서 접지력을 확보해 안정된 브레이킹 밸런스를 이끌어 내더군요
325를 타보면 리어 브레이크가 한템보 빠르게 잡히면서 바로 앞쪽이 잡힙니다..
결국 차체를 내리 누르게 되어서 접지력을 확보해 안정된 브레이킹 밸런스를 이끌어 내더군요
2006.03.18 11:06:45 (*.147.181.68)

*C*입니다. 악명이란 건 좀 과장된 용법이고, ^^ ... 제 경우엔 캐리어가 아무래도 쓰던 물건을 새로 도색한 것 같더군용. 국내에서 사는 것보다 한참 싸니 참아주기로 했습니다만, ECS에서 파는 OE 물품의 품질에 의문을 갖는 분들도 좀 계시더군요. 더불어 좌,우 한 세트인 다른 물건도 같이 주문했는데 좌측 것만 두 개를 보내서 '삽질'중입니다. 다행히 새 물건을 보내준다고는 합니다만 ... 배송조건도 까다롭고, 배송시에 인보이스 가격 엄격하게 적용하는 등, 구하기 힘든 것 구할 때 빼고는 큰 메리트를 느끼기 힘들었습니다.
2006.03.18 11:09:37 (*.147.181.68)

전후브레이크의 밸런스 문제는 여러모로 고민중입니다. 패드만 강화하는 방법은 전륜패드도 강화했을때 무효가 되고, 따라서 로터를 키우는 방법(S3의 리어 로터는 직경이 약 17mm 늘어납니다)이 가장 유효한 방법이 됩니다만 캘리퍼부터 모든 것을 다 교체해야 해서, 그럴 바에는 차라리 앞뒤 모두 애프터마킷 빅브레이크 킷으로 가는 것이 나을 지경입니다. 게다가 전후 바이어스를 바꾸는 것은 레이스카에나 어울릴 법한 세팅이라서...^^;;
2006.03.18 12:29:54 (*.192.170.33)

E*S가 그런 엉뚱한 면이 쿠쿠 ㅡㅡ
근데 순익님 답변의 끝을 보니 다시 구상을 해보거나 쩐을 모으는 방법으로 돌려야 할까봐요 생각보단 훨씬 까다로울 듯 하군요 흠 상세한 답변이 많은 고민과 도움을 줍니다 감사~^^
근데 순익님 답변의 끝을 보니 다시 구상을 해보거나 쩐을 모으는 방법으로 돌려야 할까봐요 생각보단 훨씬 까다로울 듯 하군요 흠 상세한 답변이 많은 고민과 도움을 줍니다 감사~^^
2006.03.18 23:51:11 (*.240.35.207)
ecstuning.com 말씀하시는건가요? ^^;; 지금 거기서 주문해서 월요일날 받기로한물건있는데...난감하네요...ㅜ.ㅜ 평이안좋다는 말은 아직 못들어봤는데...audiworld에서도 비교적 괜찮다고들해서 안심했는데 이럴수가.....ㅜ.ㅜ
직접 하셨다니 멋지시군요 그런데 궁금한것이 말이죵~~
E** Tuning 에서 자도 거래를 하는데 어떤 문제로 악명이 높은지 궁금합니다
이번에도 로터를 구입 고려중이라서 ...^^ 답변좀 부탁드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