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차량떨림문제로 질문드립니다..
일단 차량은 투카2.0이고 na에 6단미션 스왑차량입니다.
공통된 증상은 항상 떠는건아니고 악셀레이터를 밟았을때만 떨립니다.
항속중에 떨다가도 악셀띄면 안떨고 다시 밟으면 다시 떨립니다.
100km 이후부터 대부분 120~130정도에 약하게 떨릴때가 대부분입니다.
핸들잡으면 떨림이 멎을정도..아주 살짝 잡으면 떨림이 느껴질정도,
주행에 80%정도는 이렇게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20%정도는 떨림이 나타나는 속도가 불규칙합니다.
어떨땐 100부터 떨때도 있고 어떨땐 130넘어가야 떨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160정도에서 풀가속중에 떨때도 있습니다.
이럴땐 떨리는 정도도 심할때가 있습니다. 정말 핸들이 부르르 양쪽으로 움직이는게 보일정도로..
아..머리아프네요...ㅡ.ㅡ;
일단 휠밸런스는 여러번, 타이어 새것으로 교환, 앞뒤위치교환, 디스크로터교환
등으로 전혀 개선이 되지않았습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소중한 의견정보 기다리겠습니다..

단언할수는 없지만 드라이브샤프트 가 원인이라면 가속페달을 밟지않아도 시미(스티어링떨림)현상이발생합니다.
그리고 휠 타이어 사이즈 가 궁금합니다.
위에 말씀하신 엔진마운트가 보편적인 엔진떨림 차체떨림의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18인치 이상 의 휠에 브레이크시스템도 순정보다 무거워졌다면...아래질문에서 말씀드린것처럼 로워암고무부슁이
제가 체크하는, 의심이가는 항목입니다. .
제..짧은 정비경력의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투스카니엘리사 브렘보 6포트 빅로터 장착차량 으로 18인치 (비교적무거운휠장착) 휠로 인치업후 말씀하신 고속역 120-140구간
시미현상이 발생한 차량--에 여러차래 휠벨런스, 밑에질문하신 바퀴를장착한채로 체크하는 휠벨런스, 타이어프로 선릉점에서 체크한 타이어 찐따? 휠비틀림검사(체크항목 은 용서할만한 범위내였습니다) , 모두 해보았습니다만 나아지지않았습니다. 물론 로워암도 체크해보았으므로 다음의심가는것으로 넘어갔고 작은휠( 17인치)로 교환하면 약간덜떨림--마지막으로 -- 로워암을 신품으로 교환후 더이상 시미현상 발생치않았습니다 .
이후 19인치,20인치 휠등으로 교환하며 운행되어진 차량이 10개월남짓되던때에 다시 18인치에서-19인치휠 장착 을계기로
같은증상발생--간단한 휠벨런스 체크후 나아짐없어서 다시 로워암 신품교환 후 증상없어짐 의 정비?사례가있습니다.
그때의 고찰로는 무거운 브레이크시스템에 무거운 휠로인한 스트레스를계기로 사용하던로워암의 부슁이 노골노골해져서이지
않았나하는 결론이었습니다.
제 경험과 반드시 같은증상이라 보기 힘듬니다만... 차령이 되시거나 중고차이시라면 그리고 다른곳을 체크해보았거나 교환해본후에
도 해소되지않으셨다면... 프론트 로워암을 신품으로 교환해보시는 것도 가치가있을것같습니다.
만약 아니라해도 로워암은 소모품이며 교환한다면 분명 차량의 컨디션 회복에도 도움이되는 투자이며 , 원인이 로워암부슁 인 이른바
뿌리채흔들렸던 것이었다라고 생각된다면 차후 안전성에도 기여한 예방정비였다라고 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가진짧은 경험으로 말씀드린것이라 혹 도움이 되셧으면 합니다.
(원래부터 한국태생인데 일본에와서 일하다보니 문법,문체가 꼬이는것을 느낌니다..이해해주세요)

제가 평소에는 10시면 자는데 오늘은 왠일인지 졸린데도 깨어있네요..
말씀하신대로 다시생각해보고 질문하신분 글을 다시읽어보면 이경석 님말씀처럼 엔진마운트 같다는생각이 저도 강하게 듭니다.
질문하신 내용의댓글은아니지만..
이경석님께서 달아주신는 댓글 들을보고 항상 많이배우고 있습니다.
전문적이면서도 드라이버의 감성을 느낄수있는 경험에서 나올수밖에없다 라고 느껴지는 답변들을 보고요..
전..거의 활동을 안하는 회원에 속한다고 생각되지만 -그래도 가끔 댓글을 다는이유중에 이경석님 과같은 분의 친절한 댓글을
보고 용기내어 달기도 합니다.
그래서 테드 가 좋코 자주들어 오는것 같습니다.
아 제가 글내용을 약간 잘못 썼는데요..차량 떨림이 아니라 스티어링휠 떨림입니다...ㅡ.ㅡ;
휠은 17인치구요 215 40 17입니다. 휠무게는 6.75kg입니다. 브레이크는 순정디스크이지만 12인치고,
캘리퍼가 2피입니다. 음..일단 김수진님 말씀 처럼 로어암 부슁을 먼저 확인해봐야하겠습니다.
그게 돈도 적게 드는 방법이니까요..
경석님 마운트는 유체마운트가 한번 터진적이 있어서 교체하고, 반대쪽 미션마운트는 교체한적이 없습니다.
일단 그것도 같이 체크해봐야겠군요..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좀 힘이 나네요...

마운트 부쉬 재질은 높이를 결정하고, 마운트 자체는 위치를 결정합니다.
FF는 AWD 보다 drveline angle에 덜 민감하겠습니다만,
로워암 부쉬에 이상이 없을 때는 꼭 엔진 마운트 부쉬 쪽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안전빵으로 순정이 가장 좋습니다.
드라이브 라인 앵글이란 변속기의 출력 축과 드라이브 샤프트 간에 이루는 각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차원적인 분석이 필요하고, 고무 마운트 부쉬의 경우 자리 잡을 때 까지 15일 이상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갑자기 발생한 shimmy에 대해서는 정비 이력이 중요한데,
제가 봤을 땐 일단 마운트 부쉬를 순정으로 교체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아부지와 어무니 + 제 차량(모두 현대..)의 스티어링 휠에서...
진동이 느껴져서... 손좀 보려고 했더니...
부모님이.... "다 그래~"라고 하셔서...
가만 있었는데... ㅎㅎ

같은 경험을 한적이 있었습니다..
제 경우엔 드라이버 샤프트.. 가 문제였습니다. 겉보기엔 이상없는데....
내부에 베어링이 손상되어 축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답니다.
가속시..드라이브 샤프트에 토크가 걸리면.. 떨림이 생기고.. 속도에 따라 그 정도가 심해졌었습니다..
떨림의 정도도 말씀 하신것처럼 간헐적으로 심하고.. 소리도 났었습니다..
악셀 오프하면 줄어들구요...
한번 드라이브 샤프트 점검 받아보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어제 프론트 로어암 양쪽, 엔드볼은 교체
미미는 알고보니 미션교체할때 신품으로 교체한거라 1년8개월가량 사용한거더라구요..
얼라이먼트 봤는데 이상하게 조수석전륜 캐스터가 안나오네요...로어암 교체하기 전엔 3,5정도였는데 지금은 3.9정도나오네요
운전석은 오히려 캐스터가 줄었구요..0.2정도?
어쨌든 떨림은 여전합니다..ㅠ.ㅠ

미션 마운트 부쉬에도 이상이 없었고, 로워암 교체했는데 증상에 변화가 없다는 말씀이시군요.
스프링 바꿔서 로워링 하신 것은 아니시죠?
마운트 부쉬 파절을 확인하시려면 스톨 테스트를 해봐야합니다.
D에 놓고 브레이크 밟은 채 액셀 밟아서 엔진에 토크를 걸어줘서 엔진의 비정상적인 발생 여부와 마운트 부쉬 크랙을 확인.
일단 엔진 마운트 부쉬들을 모두 순정 또는 같은 우레탄 재질로 교체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써브프레임 정렬,
드라이브 샤프트의 슬리브 조인트, CV 조인트 유격( 가능성은 낮음),
허브 베어링의 유격,
배기관의 정렬 상태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배기관에서 진동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을 얼른 찾으셔서 문제가 해결되길 바랍니다.
일단 엔진 또는 변속기 마운트 부쉬에 크랙이 생겼는지 확인해 보세요.
액셀을 밟을 때 엔진이 살짝 좌우로 틀어지면서 드라이브 라인 앵글에 영향을 미치므로 떨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 한 가지는 변속기 스왑 후에 드라이브 라인이 틀어져서 그럴 수도 있고요.
하지만 증상으로 볼 때 좌 또는 우측 엔진 마운트 부쉬의 크랙이 의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