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아래 윤명근님이 오일을 14,000km 주행후 교환하셨다는 글을 읽고 끄적여 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주말에만 운행하고, 그것도 가혹(?)조건으로 몰아붙이는 경우가 많아서 반드시 합성유만 고집하고 매5,000km 전후로 교환을 해줍니다.
자동차 설명서를 보면 보통 오일은 10,000~15,000km마다 교환해주라고 나와있더군요. 매일 사용하고, 일상적인 주행패턴에 예열과 후열을 생활화 한다면 그 이상도 가능하리라 봅니다. 독일차들 같은 경우는 매뉴얼에 30,000km마다 교환하라는 차종도 있더군요.
어쨌거나 매뉴얼에 뭐라고 써있던지간에, 본인의 운전 패턴에 따라 오일 교환 시기는 다양할것으로 보입니다. 스포츠 드라이빙을 즐기는 테드 회원님들은 엔진오일 교환주기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네요?
프리챌 굴비가 없어서 섭하긴 하지만, 오랜만에 리플놀이~ ^^ ↓↓↓↓↓
2006.03.23 22:38:01 (*.91.9.157)

저도 5000키로마다 합성유나 반합성유(지크XQ 이상급)로 교환합니다. 뭐 1만키로 이상도 문제 없겠지만 오일 한 번 가는데 3만원이니 5천키로마다 갈면 항상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가끔 레드존까지 돌려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1만키로마다 갈면 7천키로 정도 탔을 때는 왠지 고회전으로 돌리기가 꺼름직하겠죠^^
2006.03.23 23:02:46 (*.120.215.183)
저는 100%합성유 중 비교적 저렴한 놈으로 교환하는 편입니다.. 그리 가혹하게 주행하는 스타일은 아니라서.. 7000~8000Km정도 사용한 후 교환하는데.. 문제 없는 듯 느껴집니다.. 7000Km정도 타도 점도 저하가 느껴지지는 않는 것 같더라구요..
2006.03.23 23:54:41 (*.155.198.74)
유X상사 리터당 4천원짜리 시그마 5W50 으로 매 4천키로 남짓마다 교환하는데 제 선택에 절대 후회 없습니다 ^^ 갠적으로는 비싼오일보다 싼걸로 자주자주~ 가 좋은것 같습니다.
2006.03.24 07:47:32 (*.109.40.245)

저두 아직 리퀴몰리를 사용해보진 않았지만 대단한 중증 환자인(얼라이먼트 0.1mm 오차에도 잠못이룸..ㅋ) 윤명근님의 구구절절한 권유로 이번 아방가르도의 길들이기가 끝나는대로 넣어볼 예정입니다..
윤명근님이 절대 점잖은 주행을 하지 않는 편인데..^^
만킬로미터 주행하고 체크해보니 처음과 거의 동일한 점도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다소 불량스러운 얘기에 저역시 이번에 넣어보고 언급해 보도록 하겠슴다..*
윤명근님이 절대 점잖은 주행을 하지 않는 편인데..^^
만킬로미터 주행하고 체크해보니 처음과 거의 동일한 점도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다소 불량스러운 얘기에 저역시 이번에 넣어보고 언급해 보도록 하겠슴다..*
2006.03.24 09:16:59 (*.74.230.252)

이제껏 5000Km마다 5/40이나 0/40 으로 갈아왔는데,
BENZ, BMW, VW등의 매뉴얼을 보면 최소 15000 에서 많으면 30000Km에서 교환하라고 나와있죠. 제조사가 절대로 엔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교환주기를 매뉴얼에 명시했을리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오일과 엔진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BENZ에선 엔진수명 다할때까지 오일교환이 필요없음을 보장하는 엔진을 선보이기도 했을 정도이기에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일반 엔진 교환주기는 훨씬 늘려잡아도 문제될 것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앞으론 5000K마다 오일만 교환, 만키로 될때 오일과 필터교환, 웜업 거의 안하고 얌전히 운전하는 편이므로 0/40 오일 중 싼넘(BP)으로 교환하는 패턴으로 가 볼까 합니다.
VW의 경우 정비소에서 워크샵 권장하는 주기는 8000Km라고 얘기해 주더군용.
BENZ, BMW, VW등의 매뉴얼을 보면 최소 15000 에서 많으면 30000Km에서 교환하라고 나와있죠. 제조사가 절대로 엔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교환주기를 매뉴얼에 명시했을리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오일과 엔진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BENZ에선 엔진수명 다할때까지 오일교환이 필요없음을 보장하는 엔진을 선보이기도 했을 정도이기에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일반 엔진 교환주기는 훨씬 늘려잡아도 문제될 것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앞으론 5000K마다 오일만 교환, 만키로 될때 오일과 필터교환, 웜업 거의 안하고 얌전히 운전하는 편이므로 0/40 오일 중 싼넘(BP)으로 교환하는 패턴으로 가 볼까 합니다.
VW의 경우 정비소에서 워크샵 권장하는 주기는 8000Km라고 얘기해 주더군용.
2006.03.24 09:50:37 (*.103.199.164)

이제까지 사진에 있는 황금색만 사용했더랬습니다. 항상 예열/후열 확실히 지키고(터보다 아닌데 ^^;) 매 8,000~ 10,000km 에 교환하고 평일 주행은 매일 대략 30km 가 조금 넘고 주말은 3주에 한번씩 거의 100km 정도의 운행 거리입니다. 평균시속은 매일 대략 30~50km/h 가 넘는다고 GPS 가 알려주더군요. RPM 은 최대한 3,000 rpm 을 넘지 않게끔 운전하고 가끔은 레드존 근처까지 땡겨줍니다.
다른 오일들은 저와는 안 맞는듯 합니다. 상대적으로 비싼 오일을 넣거나 싼 오일을 넣어도 항상 교환 주기가 되면 안절 부절하는 성격이라 그런지도 모르겠네요 ^^;
다른 오일들은 저와는 안 맞는듯 합니다. 상대적으로 비싼 오일을 넣거나 싼 오일을 넣어도 항상 교환 주기가 되면 안절 부절하는 성격이라 그런지도 모르겠네요 ^^;
2006.03.24 10:22:42 (*.37.198.195)
저는 서비스에서 25000에 세팅해주는거 같은데... 냥 10000-12000 정도에 가서 교환합니다. 20000을 타도 큰 문제는 없을거 같긴한데 웬지... 저는 레드존 자주 때리거든요. ^^
2006.03.24 11:32:24 (*.111.192.87)

음 전 ow40 모빌원 쓰는데 1만키로정도 교환하고 있는데 문제는 없고 좀 일찍 교환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두 드는정도네여. 더 타두 될듯한데 그냥 차를 위해서 갈자..이런 맘
글코 저기 사진의 골드는 싱가폴산 이구여 실버는 미국산인데..다 똑같다곤 하는데 혹자는
미국산 원유가 질이 좋아서 실버가 낫다고 하네여. 그래서 전 실버만 사서 교환하고 있습니다
글코 저기 사진의 골드는 싱가폴산 이구여 실버는 미국산인데..다 똑같다곤 하는데 혹자는
미국산 원유가 질이 좋아서 실버가 낫다고 하네여. 그래서 전 실버만 사서 교환하고 있습니다
2006.03.24 11:38:15 (*.180.100.62)

참.. 다들 아시겠지만 수명이 긴 엔진오일이라도 필터까지 수명이 긴것은
아니기에 중간에 엔진오일필터&에어필터는 교환 해 주셔야 합니다.. ^^;;
저의 경우엔 엔진오일은 14000km를 탔지만
7500km에서 필터 교환 했다는..
다행히 람다엔진은 필터가 위에 있어서 엔진오일필터 교환시
오일보충은 필요 없더군요.. ^^;;
아니기에 중간에 엔진오일필터&에어필터는 교환 해 주셔야 합니다.. ^^;;
저의 경우엔 엔진오일은 14000km를 탔지만
7500km에서 필터 교환 했다는..
다행히 람다엔진은 필터가 위에 있어서 엔진오일필터 교환시
오일보충은 필요 없더군요.. ^^;;
2006.03.24 11:47:08 (*.191.48.13)

윤명근님이 좋은 언급해 주셨네요..^^
그렇죠.. 오일필터는 자주 교환해야죠. 에어필터야 어느정도 청소해 주어도 되지만..쿠쿠.
제 경우엔 합성유를 사용하더라도 오일필터만은 5000 킬로미터를 넘기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죠.. 오일필터는 자주 교환해야죠. 에어필터야 어느정도 청소해 주어도 되지만..쿠쿠.
제 경우엔 합성유를 사용하더라도 오일필터만은 5000 킬로미터를 넘기지 않고 있습니다..
2006.03.24 12:02:42 (*.74.230.252)

전 거꾸로 생각되어. 에어필터는 자주 갈거나 청소해주어야 하고(흡기저항, 먼지문제), 오일필터는 최소한 오일보다 먼저 교환할 필요성이 없어뵙니다. 물론 슬러지 끼어 오일 순환저항이 필터때문에 생길수도있겠으나 그에 따른 영향은 아주 미미할 것 같습니다.
2006.03.24 16:56:42 (*.113.131.60)
저희 아버지 마트 배달차 포터2 같은 경우 예열 후열 가리지 않고 (터보엔진인데.ㅜㅜ)
2만에서 4만 사이 교환합니다. 차가 너무 불쌍하지요..ㅜㅜ
이제 6만 탔는데. 시동만 켜도 매연이.ㅜㅜ
시동키자 마자 휠스핀을 내며 출발하시는 아버지. ㅜㅜ
포터도 휠스핀 내며 급출발 하는거 우리 아버지 밖에 없을 껍니다.
최고속도로 x70 km 로 장시간 고속도로 주행후 도착하자 후까시 조지고
시동 끄고 ㅜㅜ 가속 할때 보면. 터빈이 헛도는 소리.
쉬~~~~~ 하는 소리가 심함.ㅜㅜ
관리좀 하시지..
2만에서 4만 사이 교환합니다. 차가 너무 불쌍하지요..ㅜㅜ
이제 6만 탔는데. 시동만 켜도 매연이.ㅜㅜ
시동키자 마자 휠스핀을 내며 출발하시는 아버지. ㅜㅜ
포터도 휠스핀 내며 급출발 하는거 우리 아버지 밖에 없을 껍니다.
최고속도로 x70 km 로 장시간 고속도로 주행후 도착하자 후까시 조지고
시동 끄고 ㅜㅜ 가속 할때 보면. 터빈이 헛도는 소리.
쉬~~~~~ 하는 소리가 심함.ㅜㅜ
관리좀 하시지..
스팩상 40000km라는데요..
등교길은 5분만 빨리 출발하면 여유있게 갈걸.. 항상 전투모드(?).. ㅠㅠ
하교길은 평균시속 10km.. OTL
한국 도로사정을 생각해서 25000km정도는 탈줄 알았는데
이런 주행패턴으로 주행하니 14000km에 끝나는군요.. ㅋ
이번에는 리퀴몰리 몰리겐으로 교환해 봤는데 10000km는 탈런지.. 쿠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