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어제 재규어 동호회에 쓴 글인데 관심있는 분들을 위해 테드에도 올립니다.
----------------------------------------------------------------------------------------------------------------
엔진오일은 교환 직후에 성능이 최상이고 시간이 갈수록 성능이 저하된다고 믿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일찍 교체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시죠.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첨가제가 없는 순수 광유( mineral oil)이던지 합성유 이던지 하는 경우엔 그 믿음이 어느 정도 맞습니다만,
현재 오일은 각종 첨가제가 들어 있습니다.
이 첨가제들은 광유를 베이스로 하는 오일들 보다는 합성유를 베이스로 하는 오일들에 더 발달된 것들이 들어 있다고 보이고요.
( 이 것은 오일 메이커들의 이윤 생산 방식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
합성유에는 여러 가지 첨가제들이 있습니다.
이 것들 중에는 시간이 지나면서 활성화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효과를 발휘하기도 전에 빼버리면 허탈하겠지요?
그렇다고 너무 오래 써도 안되겠고요.
이 것은 기어 오일에도 해당되는 원리입니다.
( 각종 첨가제가 포함된 합성 기유의 프리미엄 기어 오일은 오래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것도 기어의 종류에 맞게 써야 함. )
그리고, 엔진오일의 초도 충전 오일을 너무 일찍 교환하게 되면 적절하게 brake-in( 길들이기)이 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현실적으로는 이러나 저러나 별 차이를 못 느끼게 되지만, 처음에 적절하게 길들이기가 된 후에 엔진오일을 교체하는 것이 엔진 길들이기에는 가장 좋습니다.
저도 예전엔 신차 사면 1000km에 엔진오일을 교체했던 적도 있으나, 몇 해 전부터는 재규어에서 권하는 1만6천km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7천km는 넘기고 교체하면 좋겠다고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적당한 길들이기를 위해서는 1만 km 정도 주행하면 적당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7~8천 km 정도가 정신 건강에 이로울듯. ㅎ)
엔진오일마다 특성이 조금씩 다를 것이므로 감안하세요.
결론은: 초도 충전 오일도 마찬가지이고, 유수의 합성유를 넣으시면 대충 1만 km 정도는 타도 됩니다.
( 초도 충전 오일의 경우 엔진 길들이기에 적합한 오일일 수도 있습니다.)
* 그리고, 엔진오일은 주행거리와 관계 없이 1년이 지나면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는 모빌1 홈페이이제 있는 내용을 발췌해 보았습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재규어에는 캐스트롤을 선호)
Time release additives 라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가 발휘되는 첨가제라는 뜻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이라는 말의 뜻은 오일을 저장해 놓은 시간이 아니라( 오일이 무슨 와인도 아니고...ㅎ),
엔진 기능이 시작되어 오일이 일을 하는 동안을 의미합니다.
* 간단히 요약
질문:Time Release additives에 대해 설명해 주삼.
엔진 오일의 성분 중에는 사용이 되기 시작해야만 활성화되는 성분인 'Time Release Additives'라는 것이 있고, 그래서 엔진을 더 오랜 기간동안 보호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지난 몇 주간 참 많이 읽었다.
이런 주장은 진실인가?
답변:
그렇다.
거의 모든 엔진오일은 그러한 첨가제를 가지고 있고 모빌 1도 그렇다.
antiwear additive ZDDP는 뜨거운 금속 표면에서 그 것이 분해되면서 활성화되어 금속 표면에 마치 유리와 같은 보호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Viscosity modifiers 같은 첨가제는 엔진 속 특정 환경에서 그 것들의 물리적인 구조를 변경하고, 분자에서 스트레스가 사라면 다시 원래 구조로 돌아온다.
청정제 역시 시간을 두고 계속 유리된다.
|
참고: 로얄 퍼플 오일과 모빌 1 극압( extreme pressure) 성능 차이에 대한 Q&A( Mobil 사의 답변)
질문: 어떤 검사 자료를 보면 로얄 퍼플이라는 오일이 마모 테스트에서 모빌 1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보았는데, 이런 결과는 로얄 퍼플 오일이 모빌 1보다 엔진 보호에 낫다는 뜻이 아닌가.
답: 현재 시장서 유통되는 오일중에 EP( extreme pressure, 극압) 첨가제가 들어 있는 것이 있다. EP 첨가제는 사실 엔진오일을 위해서가 아니라 기어 오일을 위한 첨가제이다.
극압 첨가제는 여러 이유 때문에 일반적으로 엔진오일에 쓰이지 않는데,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반복해서 사용했을 때 엔진에 부식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시연에 사용된 기계장치는 주로, 기어 오일과 같이 극압에 견디는 성질을 중대한 성능 특성으로 필요로하는 공업적인 적용에 쓰이는 것들이다.
이러한 시연에 사용된 장치는 현대적인 엔진들과 거의 상관이 없고, 또 그 것이 공업 시장에서 주도권을 갖고 있는 오일들이 그러한 테스트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는 이유이다.
Oil Film Strength of Mobil 1 Compared with Royal Purple |
Does Mobil 1 have less oil film strength than Royal Purple? I have seen many times the friction test of oils using the machine that test the oil film, test result shows that Royal Purple has more friction protection that Mobil 1 does, seeing these results makes me think that Mobil 1 is lacking some benefits, therefore Royal Purple has the better protection of all. |
-- Guillermo Tristani, Miami, OR |
![]() |
Answer: |
There are certain oils in the market today that use EP (extreme pressure) additives in their engine oil that are really designed for gear oils and not engine oils. Extreme pressure additives are typically not used in engine oils for a number of reasons but the most important is because they can cause engine corrosion over time. The rigs being used in these demonstrations are primarily design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like gear oils where extreme pressure is an important performance feature you need. These demonstration rigs have very little to do with modern engines and that is the reason that market leading oils in the industry perform poorly in these tests. |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http://www.mobiloil.com/USA-English/MotorOil/Car_Care/AskMobil/Additives_Collection.aspx
애프터 마켓 첨가제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계실 것 같아서 부연하자면,
모빌1 에서는 다른 첨가제를 넣는 것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 관계 없는 첨가제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겠지요.
더 깊은 정보는 개별적으로 찾아보시면 좋겠습니다. )
참고로, 저는 주로 캐스트롤 Syntec 0W30을 애용하고 있습니다( 재규어 AJ V6 2.5 & 3.0ㅣ 엔진).
그리고, 모빌 뿐 아니라 캐스트롤과 이해 관계가 없고요.
모빌1 5W30을 사용해 본 적이 있는데, 재규어 AJ V6와는 궁합이 별로였고, 프라이드 1.6 엔진과는 잘 맞더군요.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LPG 엔진의 경우는 1만km 주행을 하더라도 엔진오일 색깔이 많이 투명한 편입니다.
아무래도 연료의 특성이 오일의 성능과 청청도를 가름 하는듯 합니다.
상대적으로 디젤은 얼마 못가 바로 검정색을 변하는 느낌이 듭니다..
결국 합성유가 뭐니뭐니 해도 좋다는 결론으로 판단됩니다..

쏘렌토 이전에 구입했던 휘발유 차량들은... 색이 변했던걸로 기억합니다^^ 물론 디젤차가 색이 금방 변하는건 익히 알고 있긴 한데 요즘 차들이 예전보다 확실히 좋아진것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오일이 변성되면 변색이 일어나는 것은 맞지만, 변색으로 오일의 변성 정도를 판단하지는 않습니다.
디젤 엔진의 오일이 빨리 변색이 오는 것은 디젤은 카본( 검댕)이 연소실에서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 것을 대기로 방출하는 것을 억제하려고 DPF를 다는 것이고요.
실린더 벽에 발라져 있는 엔진오일에 계속 카본이 묻어서 검게 되는 것이죠.
가솔린 엔진은 보다 카본이 적게 생성되므로 변색이 늦게 옵니다.
디젤 엔진이 더 가혹한 조건이고 오일도 디젤 엔진용은 청정분산제와 anti-wear additives가 가솔린 엔진에 비해 많이 들어 있습니다.
그럼, 가솔린 엔진에 디젤용을 쓰면 좋지 않나... 가솔린 엔진의 촉매의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내마모제 중에 황 성분이 촉매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솔린 엔진용 오일을 디젤 엔진에 쓰는 것도 DPF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촉매에 영향을 무시하면 가솔린 엔진에 디젤용 오일을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촉매와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다면 가솔린과 디젤에 공히 쓸 수 있는 오일이 가장 함리적인 선택이 됩니다.
이상의 내용은 위에 올린 모빌 링크에도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차량에 맞는 오일을 고를 때는
메이커의 권장 스펙과 오일 회사의 차종별 추천 오일을 참고하세요.
오일 회사에서는 연비나 환경적인 영향, 그리고 엔진 보호를 모두 고려했을 때 가장 유리한 오일을 1st choice로 내놓고 있지만,
한 편으로는 그 다음엔 maximum performance를 위한 오일도 alternative로 나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의도를 간파하시면 내 차의 엔진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떤 오일을 써야하는가 감이 오실 겁니다.
무조건 점도가 높다고 엔진의 보호에 좋은 것은 아닙니다.
권장 스펙과 점도 범위 내에서 choice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기유를 변경하실 때는 적응 기간을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유가 같은 합성유라도 다 같은 합성유가 아닙니다.
같은 점도 등급이더라도 100도에서 점도가 다르고, flash point도 다르고 pouring point도 다릅니다.
가스킷 씰에서 새는 오일도 있고 안 새는 오일도 있고....
자기와( 결국 차가 아닌 사람이 느끼는 것) 궁합이 잘 맞는 오일을 빨리 찾는 것이 복입니다.

아랄 슈퍼트로닉 롱라이프 5/30 으로 교환하고, 이제 1만 500 정도 뛰었는데 좀 늦었다 싶은데...
그리 늦은것도 아니군요....
그런데 확실한건 1만킬로 넘으니 차가 전보다는 확실히 액셀반응이 둔해진 느낌입니다..
액셀반응이 걸쭉하다고 해야 할까요... 교환직후 반응인 가볍고, 즉각즉각 전해지는 그런 느낌이 확연히 줄어들었습니다.
구질구질한 날씨좀 풀리면 바로 교환해야 겠습니다...

금지 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마즈다 로터리엔진 전용 순정 오일이 합성유도 있더군요~
RX-8 순정오일이 그랬습니다. 광유와 합성유. 권장하는것이 각자 일리가 있긴한데요.
로터리엔진 특성상 뱅글뱅글 돌때 오일매타링 펌프라는것이
삼각형의 꼭지점의 윤활을 위해 뿌려줍니다. 소량의 오일을요.^^;
그것이 태워지고 사라져야하는데 합성유면 그것이 타지않고 남아서
카본축적이 된다는것인데... 90년대에 기원되어진 말이라서요. 요즘은 합성유도 좋아졌고하니..
현재 판도는 일본은 거의다 합성유를 넣고요. 미국은 합성유나 광유 둘다 넣는 추세더군요. 원랜 광유가 많았었는데.
국내오너분들 역시 저포함 합성유를 넣는데.. 잘~~타고 댕기고있네요^^
생각해봐도 가뜩이나 고열에 마모가 있는 엔진이라. 보호가 잘되어져야 할텐데.. 고부하주행까지 하려면요..
광유는 좀.. 여러모로 꺼려지더군요. 합성유넣어도 3000km ~ 5000km 사이에.. 그때 갈아줍니다.ㄷㄷ

합성유가 좋아졌으니 더 넣으면 안되는 것 아닐까요.
광유는 flash poin(연소점)t가 낮기 때문에 윤활도 하면서 적절하게 타서 없어질텐데 합성유의 경우 잘 타지 않는 성질이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겠지요.
묻어 올라오는 것과 연소실에 직접 뿌려지는 것과는 다르죠.
잘 안 타면 오히려 슬러지를 더 만들 수 있겠죠.
순정 합성유의 경우에는 그런 면을 고려해서 지장이 없더록 채택된 오일이겠고요.
Mobil1 사이트에서는 " 마쯔다는 엔진오일로 합성유를 추천하고 있지 않다." 라고 나와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모빌 1의 경우 마쯔다의 로터리 엔진에 추천되는 오일이 아니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겠습니다.
제조사의 스펙을 준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색이 변한다는 얘기는
오일내 카본이 많다는 얘기고
이는 오일 점도 유지와 상관없이
엔진내 구동부에는 좋을게 없지 않을지요?
그래서 한 3천마다 갈고 싶으나
금전/시간 등의 제약으로 인해
합성유(암스오일) 1만키로를 채우고 교환하는 사람입니다.
GTI에 이오일 저 오일 써 봤는데 갈고나서 차이가 느껴지는 것을 보면 어느정도 쓰면 성능 하락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저는 거의 5000마다 갈아주는 편입니다. 이번에 AMSOIL EUROPEAN ... 5W40으로 두번째 교환하였는데 처음에 순정에서 앰스로 교환때 보다 느낌은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좋은 내용이군요.
엔진오일 권장교환주기가 점점 길어지고 있는데 아직도 예전의 상식을 바꾸려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전, 오래된 차량이나 신차에도, 광유나 합성유에 별 상관없이 기본 1만km는 넘깁니다.
체감상 교환 전후에 별 차이를 못 느꼈기 때문입니다.
오일 종류별로는 차이를 느끼는데 같은 오일 교환 전후엔 차이가 오히려 적더군요.
1년에 5천km를 겨우 주행하는 차량의 경우 1년을 넘기기도 하는데 가만 두어도 오일이 상하지는 않을 것 같아서였습니다.
위의 글을 보니 제 어설픈 짐작이 맞는 듯 해서 기분 좋군요.

엔진을 maxim 으로 쓰는 경기용차의 경우도 경기전에 오일교환을 하지 않습니다.
엔진에 길들여진 오일말고 새 오일을 쓰면 반응이 무거워져 랩이 느려질수도 있지요. 승용차의 엔진오일도 만~만오천까지 보충만 해가면서 타는게 더 좋다는 생각을 갖고있습니다.

DPF/CPF 같은 분진필터가 달린 디젤 엔진 차량의 경우, (스캐너를 이용한) 강제재생을 하고 난 뒤에는 엔진오일 수명을 줄여서 보라고 하고, 3회 연속 강제재생후에는 오일을 교환하라고 나오더군요.
이런 글을 보면 저가오일로 통하는 0w20의 국산 엔진오일도 제차에서는 잘 맞을꺼 같습니다..^^
어찌보면 엔진오일은 축복받은 나라이겠죠?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일본 슈퍼 내구에서도 특별한 이상이 없을시 5000km에 오일을 갑니다.
그런 극한 상황에서도요. ^^
이익렬님이 말씀해주셨네요. ^^;
저도 일본에서 이것 저것 너보면서 나온 결론은 휘발유차는.. 10000km가 딱 적당하다 였습니다.
물론, 고속 주행을 많이 하는차는 5000km와 10000km의 차이가 엔진 오픈시 확실히 보입니다. ^^;
롱라이프 오일은 오일의 점도나 기타 성능 저하는 오래버티지만.. 오일필터는 미친듯 괘로워 하더군요. ^^
모빌이나 캐스트롤이나.. 첨가제는 몯 쓰지 말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 연구원들도 열심히 잘 넣더군요. ^^;
첨가제와 오일도 서로 궁합이 맞아야하니.. ㅎ"
디젤은 카본슬러지로 어쩔수 없지요. ㅎ" 이것때문에 5000km가 되는것 입니다.
시기를 넘기면 엔진 무리가 오기전에 터빈이 먼저 데미지를 입지요.
ㅎ"
최소한 차량에 합성오일을 넣는 분들이나 자동차에 관심이 좀 있으신 분들의 경우는 상관없지만,
일반적인 운전자(여성운전자)분들에게 5천키로는 최소한의 차량점검이라는 부분에서 의미를 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많은 수의 운전자분들이 5천키로동안 본넷한번 안열어 보시는 분들이 대다수입니다..
일전에는 옵티마 차주(40대 남성)분이신데 35,000키로에 오일경고등이 들어왔는데, 오일 한번 안갈고 타는 경우도
봤습니다..또 벤츠 타시는 친구 어머니분은 15,000키로 오일교환경고등이 들어오는 시기가 3년이 걸리시는 분도 뵈었습니다..
엔진오일을 안갈고 35,000키로, 3년을 타도 차는 굴러간다는걸 그때 알았습니다..^^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운전하시는 분들의 50%는 이 경우에 해당되지 않을까 싶네요 ^^
저처럼 로터리 차량을 타는 사람에게는 약간 다른 이야기가 될 것 같습니다. 로터리 엔진의 특성상 엔진오일을 휘발유와 함께 약간 소모하기 때문에, 합성유를 넣을때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마즈다에서는 아예 광유만 넣으라고 권하고 있고, 실제로 북미나 일본에서도 대부분의 오너들이 광유를 넣고 있습니다. 대신 오일 교환 주기는 철저히 지키려고 노력하구요.
저도 광유로만 갈고 있고, 지난 번 교환한지 3000마일이 좀 넘어서.. 며칠 후에 또 교환해 주려고 합니다.
2004년에 구입한 쏘렌토까지만 해도 한 2000km정도 주행 후 엔진오일 체크를 해보면 거뭇하게 색이 변해있었습니다. 그래서 3000km정도에 교환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런데 작년에 구입한 TG의 경우 1000km, 2000km, 3000km에서 엔진오일 체크를 해봤을때 아직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더군요. 신차라고 안에서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지 않는것 같더군요.
주행거리가 짧아서 아직 얼마 타지 못했는데, 첫 엔진오일 교환을 7000km 이후에 하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