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1.
급발진의 원인 분석이 제대로 되지 않는 중요한 이유 하나는 ABC 페달에 있습니다. 아, C는 빼고.
A페달과 B페달이 붙어 있는 것은 백년 가까이 지켜져온 자동차 디자인의 전통(이라고 쓰고 dogma라고 읽는다)입니다. 이 디자인은 운전자에게 과실을 떠넘기는 제조사의 방패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디자인을 쉽게 바꿀 수 없다는 것입니다. 기껏해야 급발진 관련 제조사의 책임이 인정되었던 케이스 중 하나인 아우디에서 A페달의 높이를 몇 센티 낮추는 것이 제일 많이 바뀐 디자인 아닌가 싶습니다. 우습게도, 가장 큰 피해자(?)들인 소비자들이 이 디자인의 변경을 원치 않는 가장 많은 개체수의 집단입니다.
A페달과 B페달을 다른 발로 밟도록 설계되기만 했어도 이런 논란은 없었을 것입니다. 이런 점에선 차라리 한세기 전 동력마차의 핸드브레이크나 핸드악셀 디자인이 훨씬 우월합니다.
2.
(A페달의 힘을 B페달이 이길 수 있다는 것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그 사실이 급발진의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못합니다.
그 원흉은 바로 브레이크 부스터입니다.
최근의 값비싼 자동차들에는 심지어 긴급 상황에 대비하는 어시스트 기능까지 들어있긴 합니다만 이 역시 전자회로와 버그프리일 수 없는 프로그램으로 제어되는 놈이라 논란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갑자기 차가 가속하기 시작해서 순정의 출력마저 넘어선 듯한 굉음의 폭발적 가속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펌핑브레이크를 해서 얼마남지 않은 진공을 소모시켜버리는 바보같은 짓을 하지 않을, 차가운 얼음장같은 심장을 소유하고 있는 운전자는 별로 없을 겁니다. (마스터님은 할 수 있다에 한 표 걸어 봅니다)
결국 딱딱해진 브레이크를 평소의 힘으로 밟는 운전자는 "브레이크가 듣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밖에 없습니다. 기계쟁이들은 당연히 "최대한의 힘으로 밟으면 브레이크를 듣게 만들 수 있다"고 할 것이구요. 할 수 있는 것과, 실제 상황에 맞딱뜨렸을 때 하게 되는 것과는 엄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전자회로의 힘에 길들여진 것이 아니고... 단지 공기의 힘에 길들여진 운전자들은 전력으로 브레이크를 밟을 수 없게 되어버렸습니다.
역시, 이 문제 또한 가장 큰 피해자 집단인 소비자들이 그 해결을 원치 않고 있습니다. 16팟 캘리퍼를 기본 장착하고 부스터를 없애는 것 말이지요.
분위기 전환(?)좀 해보려고 농담처럼 끄적여봤습니다. ^^

2번에서 말씀하신 내용에 공감이 갑니다.
저에게 그런 일이 생겼을 때 과연 내가 잘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브레이크 부스터 없이는 브레이크를 아주 부러지게 밟아도 생각만큼 잘 안 멈추더군요.
예전에 휠 얼라인먼트 본 후 시동을 걸고 나와서 바로 길로 나와 웽~ 가속하는데 갑자기 차량이 끼어들어서 급브레이킹을 했습니다.
그런데 차가 쭉--- 미끌어지는 겁니다.
놀라서 패달을 힘껏 밟았지만 그 느낌은 '브레이크가 말을 안 듣는 것 같다'는 거죠.
바로 몇 cm 전에 겨우 멈춰섰습니다.
그 이후엔 브레이크가 잘 작동하더군요.
나중에 생각해보니 브레이크 부스터에 진공이 채 차기도 전에 제가 성급하게 액셀을 전개해서 나왔던 것이죠.
( 휠 얼라인먼트 볼 때 브레이크 패달도 눌러 놓지 않습니까. 이 것이 기여 요인이 되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
그 때 생각하면 지금도 아찔합니다.
1번에 대해서는 저는 생각이 약간 다른데, 액셀과 브레이크를 다른 발로 밟으면 오히려 혼동을 줄 수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왼발 브레이크, 오른발 액셀... 왼손 오른손 헷갈려하는 사람도 있는데 말이지요.ㅎㅎㅎ
그리고 가다 서다 하는 상황에서 두 발 모두 쉴 수가 없어지고요.
안전벨트가 3점식으론 부족할만큼 확고히 매어져 있어야 하고, 시트에서 엉덩이가 미끄러지면 안되겠지요.
두 발 모두 공중에 뜬 것 처럼 되는 수가 많아 운전이 피곤해질 수가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한 쪽 발이 불편한 사람은 운전을 전혀 못하게 됩니다.

1. 네, 맞습니다.
사실, AB페달이 붙어서 한 발로 쉽게 다 밟을 수 있게 만들어져 있는 것이 design flaw라고 하더라도,
"그렇다면 바람직한 해결책은 뭐냐?"라고 하면, 현재와 같은 수준의, 혹은 그에 준하는 사용성을 유지하면서 급발진과 관련된 논란의 한 여지를 없애는 설계가 쉽게 생각나지는 않습니다 -- 그게 되면 이미 누군가 했겠죠. ^^
수십년 이상 유지되어 온 컨벤션이면서, 또한 수많은 문화적 유산(힐앤토 테크닉을 포함하여)을 만들어낸 것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들이 혼동을 느끼고 그 디자인을 바꾸는 것에 가장 큰 저항세력이 될 것이라는 말씀을, 그래서 드린 것입니다. ^^

1. 브레이크 패달의 경우 약간의 배려인지는 모르겠지만 패달의 길이가 수동과 다르지 않습니까?
왼발로 밟기 조금이라도 도움되라고 패달이 축에서 왼쪽으로 더 길게 설계되었더군요.
오토 차량을 운전해봤을때 왼발브레이크를 써봤는데, 자세가 적응되니 그리 불편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다리가 모아지는 자세가 되다보니 남성의 경우(?) 좀더 패달이 왼쪽에 붙어있었으면 하고 느끼긴했습니다.
2. 일반인들에게서 브레이크 부스터를 제거한다는건.... 조금 가혹하지 않을까요? ^^;
저 역시 부스터 없는 차량을 운전해본적이 없기에 나름 패달좀 쌔게 눌러본 경험 있지만... 부스터가 없다면
자신이 없습니다.
여담으로 투어링 경주의 경우 GT급에선 부스터가 없다고 합니다. 적어도 국내 경기중 GTMasters 출전 차량 중
LeeRacing의 M3에는 부스터가 없습니다. 구형 M5에 들어간 엔진의 무지막지한 출력을 부스터 없이 브레이크를
한계까지 동작시켜야하는데... 사람은 적응되면 뭐든 다할 수 있나봅니다.
브레이크 진공력의 문제라면 엔진의 회전력에서 하이드로백을 진공 상태로 만들기보다 바퀴 쪽의 회전축에서
운동에너지를 얻을 수는 없을까요? 위급상황시 엔진을 정지시키더라도 부스터가 계속 작동될 수 있게 말입니다.
스티어링 조작의 경우 과거에는 파워스티어링이 존재하지 않았었고, 파워스티어링을 제거한 엑센트를 운전해봤는데
처음에는 조금 당황스럽긴 했지만 바로 적응했고 운전이 가능했던 경험이 있기에, MDPS나 유압식의 경우 엔진이
오프되었을때 얼마나 다를지는 모르겠지만 제어는 어렵지 않을거 같습니다.
이렇게 자동차의 제어 구조가 살짝 변경된다면 면허법 등을 개정해 파워스티어링 Off 차량을 경험해보게 한다면
될거 같습니다. (이 상태에서도 운전이 가능하고, 과거의 차량들은 다 이랬다. 이런 형식으로 말입니다.)
저도 말은 이렇게 해도 급발진으로 인해 200km/h 언저리의 속도로 차가 달리는 상황에서 엔진 off 시키라면
섣불리 못할거 같군요. 역시 걍 수동타면서 클러치 밟는게 속편할거 같습니다.

1.
그래서 여성운전자들 중 왼발브레이크를 이용하는 분들이 많은거군요.라고 하면 위험한 발언에 잘못된 가정이고,
오토만 운전하셨던 분들 중에는 그래서 왼발 브레이킹에 능숙한 분들이 많은 듯 합니다.
2.
말씀하신 점을 참조하여 정확히(엄밀히) 말하면 엔진이 만들어내는 진공을 이용한 부스터 디자인의 flaw라고 보는 편이 타당하겠네요. 숨어있던 문제가 급발진 건에서 나타나는 것이니까요. 진공 펌프를 별도로 가지고 있는 차들(예: 트럭 등)은 이 문제에서 자유롭겠지요? 그러고 보니 왜 수십단의 최첨단 제어로직을 가진 트랜스미션의 트레일러들에서는 급발진 문제가 보고된 바가 없는 것일까요 - 혹은 이슈가 안되는 것일까요? DBW를 안쓰나요, 트럭에서는? (혼자궁금)
시속 200kph 가까운 속도에서 엔진 off는 최후의 목숨을 건 수단인 듯 합니다. ㅠㅜ
2번의 경우를..
시동을 끈 상태에서.. 몇 번 브레이크 펌핑하면..
확 다른 느낌의 브레이크 감을 이야기 하시는거면...
언덕에 세워 놓고..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어 놓아도...
무섭더군요.^^
물론.. 나중에 익숙해 지면 좀 달라질지도 모르지만...
음.....시동을 꺼둔상태에서 2~3회 브레이크를 펌핑한 후에 뻑뻑한 브레이크를 밟아보려 시도를 해봤습니다.
문득 드는 생각이 '내 몸무게로 이 페달을 체중을 싣어서 밟으면 부러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문득 들어서 포기했습니다...
핸들도 시동끈상태에서 돌리면 뭔가 '부서질것'같은 느낌이오는데요....
실제로 시동이 꺼져서 기타 장치의 도움없이 브레이킹, 핸들링을 한다면. 이게 고장이 날지 안날지도 궁금합니다
농담처럼 쓰셨다곤 하지만...어쩌면 이것도 요즘같은 시기에는 적극적인 홍보를 해야되는 내용일지 모르겠습니다.
브레이크 부스터가 어쩌고 진공이 어떻고 하는 걸 모두에게 설명하기는 힘들테니...이런 캠페인을 한 번..
"갑자기 차가 가속하기 시작해서 순정의 출력마저 넘어선 듯한 굉음의 폭발적 가속을 하고 있는 상황이 벌어지면 펌핑브레이크를 하지말고 있는 힘껏 브레이크를 밟아서 단번에 요령껏~ 차를 세워봅시다"
실제로 세우기는 쉽지 않겠네요.ㅎㅎ
AB 페달이 근접해 있는 것은 힐앤토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 아니었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