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라디오 위에 붙여놓은게 CK-3100 핸즈프리 콘트롤러. 전화가 오면 LCD화면에 번화가 뜹니다. 아래 오른쪽은 아이나비 네비.

저렴한 가격대의 블루투스 스피커폰 JABRA SP-500. 설치,사용도 매우 간편.

안녕하세용..
이곳 테드 권 주인장님의 첫페이지의 빨간색 GOLF R32 헤드라이트를 궁둥이로 누르고 멋지게 찍으신 사진을 보면...
저는 빨간 차 뿐만 아니라 주인장님의 오른쪽 귀에 걸린 블루투스 핸즈프리에도 관심이 가더군요.
사실 차를 몰다 앞차가 아주 느리게 가거나 이상한 운전을 하는 경우는 딱 3가지 경우가 99%이더군요.
1. 여성운전자(죄송합니다. 근데 사실인걸요) 2. 졸음운전 3. 전화통화하며 운전
그만큼 운전중 전화통화가 분명히 운전에 영향을 미치고, 안전운전에도 방해가 된다는 것이겠지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차량용 핸즈프리나 스피커폰의 이용율이 극히 낮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제대로 잘 동작하고 편리한 차량용 스피커폰이 시중에 없어서 라고 봅니다.
차량에서 가장 편하게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몇 번의 시행착오를 한 끝에 parrot 사의 CK-3100 블루투스 스피커폰을 설치하는 것으로 최종적인 완성이 되었습니다.
parrot 사의 CK-3100 블루투스 스피커폰은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만 전문으로 생산하는 프랑스의 parrot사의 제품으로서 이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회사입니다. www.parrot.biz
제품은 ebay에서 170달러 정도에 구입하였고, 제 차(VW GOLF 5) 순정오디오용 전용 케이블 아답터는 parrot 홈페이지에 따로 주문해서 받았습니다 (우송료포함 60달러, ISO케이블로 연결되는 애프터마켓 차량용 헤드유닛이 아닌 메이커별 순정 헤드유닛에 장착하려면 케이블아답터 필요)
장착은 아는 오디오샵에서 하였고, 장착의 어려움은 특별히 없었습니다. 케이블이 다 딱딱 맞으니까요.
구입하고 사용해 보니 국내에서 판매중인 블루투스 핸드폰과도 잘 호환됩니다. 블루투스 자동 페어링, 통화, CID(Caller ID) 등등 정상작동하며, 한글지원이 안되므로 ck-3100으로의 주소록 자동 전송기능만 안됩니다.
. 사용 편리성
무지하게 편리합니다. 블루투스가 지원되는 핸드폰이면, 핸드폰은 포켓속에 넣은채 차량에 탑승하여 시동을 걸면 자동으로 무선 페어링이 되어 대시보드에 부착한 ck-3100 LCD화면에 "AnyCall Network OK" 메시지가 뜹니다.
전화가 걸려올 경우, ck-3100 LCD화면에 상대방 발신자표시가 되므로 번호 확인 후 통화버튼만 누르면 바로 통화가 됩니다.
전화를 걸을 경우, 핸드폰을 꺼내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ck-3100의 다이얼을 돌려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아니면 아무것도 안하고 ck-3100의 통봐버튼만 눌러주면, "이름을 말해주십시오" 요렇게 소리가 나고 제가 "강냉이" 라고 하면(주소록에 있는 이름) "강냉이 님이 맞습니까?"라고 묻고 "네" 하면 전화를 걸어줍니다.
전화가 오거나 걸 경우 차량 오디오는 자동으로 음소거되고 전화통화소리는 차량 스피커로 나옵니다.
. 음질
상대방에게 스피커폰이라고 말해주기 전엔 알아채지 못할 정도로 음질이 매우 좋습니다. 기존 스피커폰의 나쁜 음질을 경험하신 분들이라면 아주 놀랄만큼 좋은 통화음질을 제공하기에 비지니스통화나 중요한 통화를 하는것도 OK..
. 참고
왜 스피커폰은 차량용이던 가정용이던 음질이 아주 나쁠까요? 일반적인 스피커폰을 사용해 보면 2가지 큰 문제를 경험하시게 됩니다.
첫째, 소리가 작아 상대방 목소리가 잘 안들리거나 상대방이 내 목소리를 잘 못알아 듣는다.
둘째, 내가 말한 소리가 다시 스피커로 들리거나 삐~ 하는 하울링이 생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마이크 감도를 높이고 스피커 볼륨을 키우면 되지 않을까요?
불행히도 안됩니다.
왜냐하면 마이크감도를 높이면, 내가 말하는 목소리 뿐만 아니라 상대방이 말해서 스피커로 나오는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들어가게 되어 하울링현상이 생겨버리게 됩니다. 스피커볼륨을 키워도 같은 현상이 생기게 되죠.
그래서 이를 해결하려면,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를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통해 나의 묵소리와 주변소리, 그리고 상대방이 말한 소리를 실시간으로 분석해서 나의 목소리 성분만을 골라내어 주는 컴퓨터 회로가 필요하게 됩니다. (실시간으로 음성을 분석해서 분리해야 하니 꽤 고성능의 DSP가 필요하겠죠?)
때문에, 아주 좋은 품질의 스피커폰(예를들어 폴리콤사의 화상 회의용 스피커폰)등은 이런 고성능 회로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아주 비쌉니다 (최소한 100만원 정도)
parrot ck-3100 제품은 이러한 제대로된 수준의 DSP회로가 있고 그래서 통화음질이 매우 좋습니다.
. 더 간편한 제품
CK-3100은 사용해 본 결과 아주 좋긴 한데, 가격이 좀 비싸고, 전문가가 차량에 install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죠. 그래서 발신자표시 기능의 제공만 포기한다변 싸고 간단하고 음질도 꽤 좋은 제품이 있습니다.
JABRA 의 SP-500 이라는 제품이 있습니다. 일주일에 한번쯤 차량용 시거잭으로 3시간 충전해 주면 일주일 내내 작동하고 전원선을 따로 꼽을 필요없고, 선바이져에 달랑 달면 됩니다. ebay에서 80달러 정도면 구입 가능합니다. 아무래도 저가형이기에 위의 고성능 DSP가 장착된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아울링을 최소화 하는 스마트한 디자인 등으로 다른 제품보다는 분명히 더 편리하고 좋습니다. 현재 마누라 차에 달고 사용중입니다. 음질은 아무래도 CK-3100보다는 떨어지지만 기존의 스피커폰보다는 분명히 더 좋습니다.
. 블루투스 헤드셋에 대비한 장점
사실 회사에선 회사전화, 핸드폰 모두 블루투스 핸즈프리로 걸고받습니다. (권 주인장님이 쓰는 것과 비슷한 종류). 음질도 좋고 귀도 편하고 한데요, 가장 신경쓰이는 건, 가끔씩 회사 동료가 조심스럽게... "팀장님, 귀에꼽고있는거 살짝 재수없어요" 라고 귀띰해 준다는 겁니다.. 아구구.. 우리나라의 실정이랄까... 사회적 분위기랄까.. 근데, 이걸 차 몰때도 귀에 걸고있으면.... 아무래도 더 신경이 쓰이더라고요.. 블루투스 스피커폰은 이런 단점(?)이 없습니다.
2006.04.21 13:07:39 (*.189.163.250)

'에코 캔슬러' 기능을 갖고 있는 핸즈프리로군요. ^^
블루투스 이어셋/헤드셋은 몇몇 나라에선 이미 트렌드 리더의 아이템으로 자리잡은 모양이던데, 우리나라에서만은 유독 찬밥(?)인듯 합니다. 블루투스 폰이 나온지는 3-4년이 다 돼 가는듯 한데, 실제 사용자의 선호도는 높지 않아서 기능을 넣는 것이 (원가 문제로) 꽤 제한적인거 같습니다.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
블루투스 이어셋/헤드셋은 몇몇 나라에선 이미 트렌드 리더의 아이템으로 자리잡은 모양이던데, 우리나라에서만은 유독 찬밥(?)인듯 합니다. 블루투스 폰이 나온지는 3-4년이 다 돼 가는듯 한데, 실제 사용자의 선호도는 높지 않아서 기능을 넣는 것이 (원가 문제로) 꽤 제한적인거 같습니다.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
2006.04.21 13:31:49 (*.254.215.79)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이상하게 블루투스와 인연이 없는 것인지... 한 6-7년전쯤..블루투스 가지고 한참 뭐가 될것 처럼 전국이 떠들썩 했었는데, 지금은 확실히 찬밥이 맞긴 한것 같습니다. 아마 그때... 솔루션 개발해서 준비하던 업체는 시장(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제조사 측면)이 형성되지 않아서.. 거의다 업종 전환을 한 것 같더군요.
그때는 규격 자체가 시장을 끌어들이기에 부족한 면이 있긴했지만,
지금 시점까지 아직까지 활성화가 안되는 것을 보면...
순익님 말씀처럼 비활성화에 따른 상대적 원가부담이 원인인 것 같네요.
향후에도 이와 같은 무선 링크를 제공하는 규격으로써 비젼도 부족하기도 하구요.
비젼이 부족하니... 투자도..부실하고.^^
(Low data UWB나 ZigBee가 규격상으로 활성화 되기 더 좋은 상태겠죠.)
그래도...^^
이준노님 글을 읽으면서... '하나 사서 써볼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글을 너무너무 잘 쓰셨어요...^^
근데... 제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핸드폰을 바꿔야 하네요...^^;;;
좋은하루 되세요.
그때는 규격 자체가 시장을 끌어들이기에 부족한 면이 있긴했지만,
지금 시점까지 아직까지 활성화가 안되는 것을 보면...
순익님 말씀처럼 비활성화에 따른 상대적 원가부담이 원인인 것 같네요.
향후에도 이와 같은 무선 링크를 제공하는 규격으로써 비젼도 부족하기도 하구요.
비젼이 부족하니... 투자도..부실하고.^^
(Low data UWB나 ZigBee가 규격상으로 활성화 되기 더 좋은 상태겠죠.)
그래도...^^
이준노님 글을 읽으면서... '하나 사서 써볼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글을 너무너무 잘 쓰셨어요...^^
근데... 제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핸드폰을 바꿔야 하네요...^^;;;
좋은하루 되세요.
2006.04.21 13:43:34 (*.119.172.114)

블루투스가 한국에서 핸즈프리로 나올때와의 제품과는 차이가 크군요 컨트롤박스부터 흐 상당히 좋아보입니다 한국 초창기 제조사 제품분석을 맡아서 사용해봤는데 으 저는... 배터리도 그렇고 유선을 선호하게 되더라는.....페어링도 귀찮고.....(감도는 세팅 잘해놓으면 잘되지요 스피커폰은 ㅡㅡ; 좀 그렇고...) 아참 블루투스 원가는 상당히 싼편입니다 :)
2006.04.21 13:59:06 (*.74.230.252)

허준님, 반갑습니다. 이름과 사진을 잊을 수가 없군용~
블루투스 핸드폰의 보급이 저조한 이유는 제조원가때문이 결코 아닙니다. 요즘 블루투스 탑재를 위한 칩셋가격은 불과 1~2천원 정도밖에 안됩니다.
삼성 핸드폰의 경우 해외출시 핸드폰은 거의 모두 블루투스기능 기본탑재인데, 이상하게도 같은 모델의 국내모델은 대부분 블루투스가 빠져있습니다.
그럼 왜??
바로 우리나라 핸드폰의 실제 유통자인 SKT, KTF등의 통신사에서 블루투스기능을 제조업체에 요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왜냐? 블루투스기능은 통신사에 돈을 벌어주는 기능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짜증나는 통신업체들이죠. 돈받는 부가서비스탑재에만 혈안이 되어 있어서요..
블루투스 핸드폰의 보급이 저조한 이유는 제조원가때문이 결코 아닙니다. 요즘 블루투스 탑재를 위한 칩셋가격은 불과 1~2천원 정도밖에 안됩니다.
삼성 핸드폰의 경우 해외출시 핸드폰은 거의 모두 블루투스기능 기본탑재인데, 이상하게도 같은 모델의 국내모델은 대부분 블루투스가 빠져있습니다.
그럼 왜??
바로 우리나라 핸드폰의 실제 유통자인 SKT, KTF등의 통신사에서 블루투스기능을 제조업체에 요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왜냐? 블루투스기능은 통신사에 돈을 벌어주는 기능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짜증나는 통신업체들이죠. 돈받는 부가서비스탑재에만 혈안이 되어 있어서요..
2006.04.21 14:05:59 (*.74.253.23)

좋은 정보 잘봤습니다.
운전중 통화때문에 비싸게 주고 산 둥글이 쓰는데 상당히 짜증납니다 ㅠ.ㅠ
준노님 글을 보니 이유를 알겠습니다.
삼성 애덜 문제 있다고 했더니 걍 새거랑 바꿔주더라는;;;
다른 부품 대비 블루투스는 부품단가가 센편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활성화가 안되엇죠.
동네 형님이 영국소제회사 한국본부장하시면서 그걸 사업화하려 했으나
부품단가부분에서 좌절을 했던걸로 격합니다.
그당시에만 1개당 만냥대엿던걸로 격합니다.
운전중 통화때문에 비싸게 주고 산 둥글이 쓰는데 상당히 짜증납니다 ㅠ.ㅠ
준노님 글을 보니 이유를 알겠습니다.
삼성 애덜 문제 있다고 했더니 걍 새거랑 바꿔주더라는;;;
다른 부품 대비 블루투스는 부품단가가 센편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활성화가 안되엇죠.
동네 형님이 영국소제회사 한국본부장하시면서 그걸 사업화하려 했으나
부품단가부분에서 좌절을 했던걸로 격합니다.
그당시에만 1개당 만냥대엿던걸로 격합니다.
2006.04.21 14:08:23 (*.68.16.174)

준노님, 맞습니다. 하다못해 SKT 사용자의 경우에는 MP3를 옮길 때에도 melon인지 메롱인지로 옮겨야 하지요. 너무 불편합니다. 또한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에서도 SKT 관련 메뉴를 탑으로 옮겨달라고 요구하구요. 제가 중학교 재학 시절..모토롤라 구형 스타택부터 사용했는데 월 4만원 정도밖에 이용료가 안나오다보니 보조금 액수는 좌절입니다. 중이 절 싫으면 얼른 떠나야지요. 훌훌 털어버리고. KTF로..
2006.04.21 14:15:46 (*.74.230.252)

블루투수 스피커폰을 블루투스 동글로 연결시에는 D/A, A/D 컨버팅을 여러번 더 거치면서 음질도 개판이 되고 스피커폰 블루투스 프로파일도 정상적으로 지원이 안되기 때문에 사실상 사용이 어렵습니다. 동글을 쓰실바엔 그냥 유선 핸스프리를 사용하시는게 더 낫습니다.
2006.04.21 15:10:48 (*.126.41.60)

BT를 휴대폰에 적용하는 것은 이미 해외수출되는 GSM폰에는 거의 대부분에 다 들어 갑니다. 해외쪽 통신사업자들이 요청을 많이 하기 때문이고요. 부품은 주변회로에 BT 안테나 까지 다해서 $5불 정도 될겁니다. 내수 CDMA폰에 활성화가 안된것은 사업자가 요구하는 일이 거의 없고 아직 악세서리가 비싸기도 하고요. 가장 큰 문제는 CDMA경우 GSM보다 들어가는 부품수가 많아 폰이 커져야 하는 데다가 이것저것 부가기능들로 인해 (금융칩, 2M가 넘어가는 카메라기능, 대용량의 메모리, 인테나, DMB) 폰 사이즈가 가뜩이나 큰데 BT까지 들어가게 되면 더 커지겠죠... ^^
2006.04.21 17:25:16 (*.254.215.79)

ㅋㅋ IT쪽 분들 많으신가 봅니다..^^ 유태훈님 말씀처럼 국내 통신사업자는 BT기능 썩..활용할 의지가 없는 것은 맞구요. 제가 말씀드린 '상대적인 원가부담'은 BT 활용성 대비 비용이구요.. 칩셋도 칩셋이지만.. BT를 사용해서 다양한 기능을 넣기에는 관련 드라이버의 기능이 제한적이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시겠지만, 요즘 핸드폰은 제조사 개발 부분 보다는 OS포팅후에 프로그램 사서 올리는 작업 위주로 진행되고, UI관련 작업이 전체 개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니까...^^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하지는 않는 것 같네요.
BT안테나 포함해서..5불 내외면 많이 떨어지긴 했네요...^^
BT처음 나올때 목표가 1~2불 정도 였던 것 같기는 한데요...
통화만 가능한 헤드셋이 한 소비자가격으로 3만원 선만 되어도... 시장은 커질 것 같기는 한데...^^
한 3-4년 전만해도.. 해외 무선관련 전시회에서..
블루투스 헤드폰 나눠주는 행사도 하더만,
많이 없어지거나.. 업종 바꾸었더군요.
암튼~ 저속UWB 등에 밀리지 않으면,
테드내에서 이렇게 뜨거운 반응을 보면...^^
다시한번 부활할 날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BT안테나 포함해서..5불 내외면 많이 떨어지긴 했네요...^^
BT처음 나올때 목표가 1~2불 정도 였던 것 같기는 한데요...
통화만 가능한 헤드셋이 한 소비자가격으로 3만원 선만 되어도... 시장은 커질 것 같기는 한데...^^
한 3-4년 전만해도.. 해외 무선관련 전시회에서..
블루투스 헤드폰 나눠주는 행사도 하더만,
많이 없어지거나.. 업종 바꾸었더군요.
암튼~ 저속UWB 등에 밀리지 않으면,
테드내에서 이렇게 뜨거운 반응을 보면...^^
다시한번 부활할 날이 올지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