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그동안 엘리사 6MT를 타오면서 서스펜션을 이것저것 바꾸어보았지만, 항상 뭔가가 부족한 느낌을 지울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이번에 좋은 기회가 생겨 그 유명한 PSS9을 장착하게 되었답니다.
인스톨을 마치고 집으로 가는길에 시내주행을 하는데, 왜 사람들이 그토록 pss9을 외쳐대는지 이유를 알 수가 있었습니다. 불규칙한 노면의 잔진동은 거의 완벽하게 걸러주면서도 단단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이 새로운 차원의 기묘한 승차감을 제공합니다. 특히 지하철 공사장 같이 악조건의 노면을 지나갈때도 이전의 서스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정도로 컴포트한 승차감을 선사하더군요. 무엇보다 다른 서스들과 비교되는 점은 과속 방지턱을 넘을때의 느낌입니다. 마치 내 차의 밑에 우레탄 육상 트랙을 한겹 깔아놓은것처럼 불필요한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깔끔하게 넘어가는 느낌이 일품입니다.
성능테스트를 위해 한적한 야간에 고속도로에 차를 올려보았습니다. 드문드문 달리고 있는 차들 사이를 지나가는데 일말의 불안감도 느낄 수가 없습니다. 도로를 면도칼로 잘라내듯 썰고 지나갑니다. 정말 이게 내차 맞어? 라는 신기하고 흐뭇한 기분에 입가에 미소가 번집니다.
고속도로에서 간선도로로 진입하는 램프에서 4단으로 쉬프트다우후 그냥 차를 던져보았습니다. 예상외로 롤이 좀 발생하네요. 그러나 이거 이러다 밖으로 튕겨나가는거 아니야 라는 불안감은 거의 느끼지 못합니다. 타이어의 포텐셜을 100% 끌어다 쓰는듯 쫀득하게 지탱해주는 밀착감에 또한번 흐뭇해집니다. 이번에 서스 교환과 함께 뒷타이어를 하이그립 타이어로 교환해준것도 큰 역할을 한것 같네요.
다른 제품들이 퍼포먼스와 승차감 사이의 일직선상의 어느 한 점에서 힘겹게 타협점을 찾는다면, PSS9은 일직선상이 아닌 제3의 지점에서 어느 한쪽도 희생시키지 않는 타협점을 찾은것 같습니다.
그러다가 이번에 좋은 기회가 생겨 그 유명한 PSS9을 장착하게 되었답니다.
인스톨을 마치고 집으로 가는길에 시내주행을 하는데, 왜 사람들이 그토록 pss9을 외쳐대는지 이유를 알 수가 있었습니다. 불규칙한 노면의 잔진동은 거의 완벽하게 걸러주면서도 단단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이 새로운 차원의 기묘한 승차감을 제공합니다. 특히 지하철 공사장 같이 악조건의 노면을 지나갈때도 이전의 서스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정도로 컴포트한 승차감을 선사하더군요. 무엇보다 다른 서스들과 비교되는 점은 과속 방지턱을 넘을때의 느낌입니다. 마치 내 차의 밑에 우레탄 육상 트랙을 한겹 깔아놓은것처럼 불필요한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깔끔하게 넘어가는 느낌이 일품입니다.
성능테스트를 위해 한적한 야간에 고속도로에 차를 올려보았습니다. 드문드문 달리고 있는 차들 사이를 지나가는데 일말의 불안감도 느낄 수가 없습니다. 도로를 면도칼로 잘라내듯 썰고 지나갑니다. 정말 이게 내차 맞어? 라는 신기하고 흐뭇한 기분에 입가에 미소가 번집니다.
고속도로에서 간선도로로 진입하는 램프에서 4단으로 쉬프트다우후 그냥 차를 던져보았습니다. 예상외로 롤이 좀 발생하네요. 그러나 이거 이러다 밖으로 튕겨나가는거 아니야 라는 불안감은 거의 느끼지 못합니다. 타이어의 포텐셜을 100% 끌어다 쓰는듯 쫀득하게 지탱해주는 밀착감에 또한번 흐뭇해집니다. 이번에 서스 교환과 함께 뒷타이어를 하이그립 타이어로 교환해준것도 큰 역할을 한것 같네요.
다른 제품들이 퍼포먼스와 승차감 사이의 일직선상의 어느 한 점에서 힘겹게 타협점을 찾는다면, PSS9은 일직선상이 아닌 제3의 지점에서 어느 한쪽도 희생시키지 않는 타협점을 찾은것 같습니다.
2006.04.29 01:15:33 (*.217.83.75)

이대기님의 그런 과격한(?)운동은 해보지 않았지만 역시 빌스타인으 맛은 부드러움속의 무서움이랄까요,, 마치 요조 수녀와 요부를 동시에 느낀닷고 표현하고 싶군요...
암틈 대단한 물건임엔 할말 어ㅃㅅ니다...
암틈 대단한 물건임엔 할말 어ㅃㅅ니다...
2006.04.29 08:04:12 (*.77.30.97)

PSS9정말 좋은 물건입니다.
전 개인적으로 쇽 업소버와 스프링의 선택은 좀 보수적이기 때문에 역사나 데이터가 확실치 않은 물건은 선택하지 않습니다.
높낮이 세팅과 감쇄력 세팅을 장기간 시간을 가지고 조절하다보면 자신만의 정답을 찾는 재미도 작지 않지요.
전 개인적으로 쇽 업소버와 스프링의 선택은 좀 보수적이기 때문에 역사나 데이터가 확실치 않은 물건은 선택하지 않습니다.
높낮이 세팅과 감쇄력 세팅을 장기간 시간을 가지고 조절하다보면 자신만의 정답을 찾는 재미도 작지 않지요.
2006.04.29 09:31:21 (*.120.143.171)

a/s나 오버홀은 어떻게 되나요?? 저도 이번에 구입할 차량의 서스펜션을 고민하다 이대기님의 글을보니 pss9으로 기울어지는군요. W124에 올린즈쇽을 올렸는데 운전습성이 잘못된건지 3달을 못견뎠거든요.. W124전용 올린즈쇽은 구하기도 힘든물건이었는데.. 오버홀이 해결되지 못해 왠만한 쇽은 눈에도 안차고 침대곁에만 두고 잠못이룬적이 많습니다..ㅎㅎ 아직도 그 찰지고 쫀득한 느낌을 잊지 못하겠습니다..ㅠㅠ..
2006.04.29 10:06:16 (*.153.160.52)

pss9의 내구성은 요즘에서야 국내에 알려졌습니다
그동안 오버홀을 요청한 사람이 없었다고 하더군요.. 쿠쿠..
빌스타인은 오버홀이 아니라 교체 개념이라는 이야기도 같이..
그동안 오버홀을 요청한 사람이 없었다고 하더군요.. 쿠쿠..
빌스타인은 오버홀이 아니라 교체 개념이라는 이야기도 같이..
2006.04.29 10:30:06 (*.131.6.10)
PSS9워랜티에는 Lifetime이라는 수식어가 붙네요. 쇼바가 휜거는 교체가 안된다고 합니다. 단순히 메커니즘이 고장난 경우엔 무상 교환이구요. 지금 7에 놓고 있습니다. 지금 2년 가까이 한번 관리 없이 잘 타고 있습니다.
2006.04.29 14:05:31 (*.159.88.123)
테인SS와 비교했을 때 어떨지 정말 궁금합니다^^
(경험해 보신분 쪽지 부탁드립니다^^)
저도 테인SS를 만 3년 넘게 만족스럽게 쓰고있는데......
맛이 갈 생각을 안하네요....
이 넘이 맛이가면 왠만해서 딴 서스들은 눈에 안들어올텐데....
테인베이직 혹은 PSS9을 고려해 볼렵니다...
(경험해 보신분 쪽지 부탁드립니다^^)
저도 테인SS를 만 3년 넘게 만족스럽게 쓰고있는데......
맛이 갈 생각을 안하네요....
이 넘이 맛이가면 왠만해서 딴 서스들은 눈에 안들어올텐데....
테인베이직 혹은 PSS9을 고려해 볼렵니다...
승차감에 대해선 더 말하면 입만 아프구여..^^ 승차감을 희생시키지 않는 것은 빌스타인의 특기인 모양입니다.
암튼, 많이 부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