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스피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자신의 차의 성능을 극한으로 끌어내고 싶어합니다.
물론 원래 빠른 포르쉐나 페라리 같은 차가 있으면 좋겠지만 ..
그러지 못한 사정에 있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원래 일반용으로 생산된 승용차를 구입하여
튜닝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차는 얼마나 빨라야 하는 것일까요??
얼마나 빨라야 만족스러울수 있을까요?
다다익선이 여기에도 적용되는 이야기일까요?
여기에 선뜻 답을 못하는 사람은
자신이 왜 달리는지 ..
달리는 것의 무엇을 좋아하는지조차 알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번 살아가는 소중한 인생의 시간은 유한하고
우리는 그 중에
자동차를 튜닝하고 스피드를 내는 것을 취미로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시간들을 헛되히 보내서는 싶어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생각해야 합니다.
나는 왜 달리는 것을 좋아하는가 ..
달리는 것을 즐기기 위해서는 얼마만큼 빠르면 되는가 ..
그런 생각을 한번쯤 해본다면
도로에서 칼질을 하며
남들이 양보하여 간신히 살려준 목숨을
자기 실력이 좋아 살아있다고 착각한다던가 ..
극한의 튠을 위하여 한없이 돈을 쏟아부어
자신과 가족들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드는 일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지 않을까요?
찬물을 끼얹으려는 것이 아니라 ^^
여기 계시는 멋진 회원님들과는 다르게
깃발(목표)도 보지 않고 질주만 하는 사람들을 보고 와서
아쉬운 마음에 괜히 한번 적어 봅니다.
자신의 차의 성능을 극한으로 끌어내고 싶어합니다.
물론 원래 빠른 포르쉐나 페라리 같은 차가 있으면 좋겠지만 ..
그러지 못한 사정에 있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원래 일반용으로 생산된 승용차를 구입하여
튜닝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차는 얼마나 빨라야 하는 것일까요??
얼마나 빨라야 만족스러울수 있을까요?
다다익선이 여기에도 적용되는 이야기일까요?
여기에 선뜻 답을 못하는 사람은
자신이 왜 달리는지 ..
달리는 것의 무엇을 좋아하는지조차 알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번 살아가는 소중한 인생의 시간은 유한하고
우리는 그 중에
자동차를 튜닝하고 스피드를 내는 것을 취미로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시간들을 헛되히 보내서는 싶어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생각해야 합니다.
나는 왜 달리는 것을 좋아하는가 ..
달리는 것을 즐기기 위해서는 얼마만큼 빠르면 되는가 ..
그런 생각을 한번쯤 해본다면
도로에서 칼질을 하며
남들이 양보하여 간신히 살려준 목숨을
자기 실력이 좋아 살아있다고 착각한다던가 ..
극한의 튠을 위하여 한없이 돈을 쏟아부어
자신과 가족들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드는 일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지 않을까요?
찬물을 끼얹으려는 것이 아니라 ^^
여기 계시는 멋진 회원님들과는 다르게
깃발(목표)도 보지 않고 질주만 하는 사람들을 보고 와서
아쉬운 마음에 괜히 한번 적어 봅니다.
2006.04.30 13:48:00 (*.131.6.10)
제가 생각하는 튠은(빠르기)는 순정엔진 마력/토크가 바퀴에서 나오면 끝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이상은 샤시와 하체에도 무리가 가고 브레이크나 모든 소모품들의 수명 단축을 불러오기 때문에.. 달리는건.. 달리는 곳에 가서 달리는게 좋지 않을까요? 공도에서의 질주는 스릴 만점이긴해도 워낙 변수가 많고 자/타인의 인명 피해가 있을수 있으니 조심해야 할듯 합니다.
2006.04.30 13:50:09 (*.120.185.144)

당연히 정답이 없는 말이지요. 얼마나 빨라야 하느냐는 말은 최고속을 말씀하시는것인지 최고마력을 말씀하시는것인지 모르겠지만, 처음이 말씀 꺼내셨던것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차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내고 싶어하는 것입니다. 물론 무모하고 대책없이 무조건적으로 돈만 쏟아붓는것은 문제가 되겠지만, 적어도 이곳 테드 회원님들은 그런분은 없을거라는 생각입니다.
2006.04.30 13:58:37 (*.131.6.10)
튜닝은 자기 만족이라고는 하지만.. 항상 버짓을 생각해가면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무조건 한방에 돈을 다 부어서 다 하는것 보다는 하나씩 해가면서 다른점도 느끼고 eval.기간을 두어서 그 튜닝에 의해 발생되는 다른 문제점은 없는지도 확인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튜닝 다 됐다고 나왔다가 망신 당한 차들도 상당히 많지요. 그리고 나서 문제 발생하면 트러블슈팅이 안돼서 고생하신 분들도 많구요. 천천히 하나씩 해가면 비용과 시간은 더 들지 모르겠지만 자기차의 개선된 점들을 느낄수 있고 이러면서 '나를 이차에 맏긴다'라는 생각보다 '난 너의 장점을 안다'라는 운전이 가능하게 되고 그럴 때 포텐셜을 다 끌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 차를 2년 반 동안 관리/튜닝 하면서 타도 아직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제가 부족해서 이겠지만..전 이제 최고속 주행보단 일정 속도까지의 가속력과 밸런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06.04.30 13:59:33 (*.120.185.144)

저는 달리는것이 좋아 달리는것일뿐 그 이상의, 그 이하의 이유도 없습니다. 얼마나 더 빨라야 만족을 할것이라는 구체적인 속도 생각은 해본적도 없고, 안전한 한도내에서 최대한 빠를 수 있다면 좋겠지요. 어떤 분들을 보시고 오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이곳 테드에서 튜닝을 하시는 많은 회원분들을 도로에서 남들 사이를 난폭하게 칼질을 하고, 자신의 능력에 맞지 않게 자신과 가족들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들정도로 한없이 돈을 쏟아붓는 사람들과 비교하여 말씀하시는것은, 이곳과는 어울리지 않는, 말씀하신것처럼 찬물을 조금 끼얹는듯한 글이라 개인적으로 생각됩니다.
2006.04.30 15:39:51 (*.128.164.88)

저는 똑같은 차로 똑같은 장소를 가장 빠른 시간안에 주파하는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오늘도 달립니다.^^
그러기 위해서 오늘도 달립니다.^^
2006.04.30 17:06:58 (*.234.45.138)

'과유불급'이라고.. 제가 자동차를 대할 때 항상 되뇌이는 한자성어입니다..쿠쿠.
차량 자체의 밸런스도 중요하지만 운전자의 밸런스.. 운전자의 마인드나 차를 대하는 마음가짐 역시 상당히 중요하지요.
쓰다보면 길어질 것 같아 주제넘게 몇 자 끄적여 봅니다..(^^*)
차량 자체의 밸런스도 중요하지만 운전자의 밸런스.. 운전자의 마인드나 차를 대하는 마음가짐 역시 상당히 중요하지요.
쓰다보면 길어질 것 같아 주제넘게 몇 자 끄적여 봅니다..(^^*)
2006.04.30 17:27:48 (*.48.33.204)

목표가 언제나 정해져 있다고는 생각치 않습니다. 언제나 그 쫒는 맛(?)에 중독되어 계속 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이루고 나면 무료해 지니까요.
2006.04.30 17:31:53 (*.217.83.75)

음음 ......한마디로 정의 내리긴 어렵지만..여기 계신분들은 달리는 것에 목표를 두기보단
안전하게 운전을 할려고 모인 분들이라 생각하는 데요...자신이 몰랐었던 것들을 이곳에서
간접 경험을 하면서 말입니다..운전을 더욱 즐겁게 하기 위해서요 그렇지 않으가요....
안전하게 운전을 할려고 모인 분들이라 생각하는 데요...자신이 몰랐었던 것들을 이곳에서
간접 경험을 하면서 말입니다..운전을 더욱 즐겁게 하기 위해서요 그렇지 않으가요....
2006.04.30 21:33:08 (*.254.41.49)

요즘들어 말도 안되는 칼질로(깜빡이도 키지 않은채~!!) 도로를 휘젖는 차량들이 많더군요. 그들은 매니아란 이유로, 자신의 스피드에 대한 욕구를 해소할만한 장소가 부족하단 이유로 합리화하려 하지만 제3의 입장에서 보자면 대현님 말씀대로 폭력입니다. 브레이크등을 검게 태웠다고 무조건 양카라 칭하기보단..... 역시 운전자의 마인드에 달려있단 생각이 요즘 절실히 듭니다. 오늘도 강변북로에서 그런 미친듯한 칼질을 하는 차량과 부딪힐뻔 하고 들어왔네요.
2006.05.01 00:46:12 (*.41.156.200)

저는 제 자신의 만족이 가장 중요하다 봅니다...즉 실제적인 빠르기(최고속이든 타임어택이든)보다는 제가 즐기고 만족하는 것이 제 나름대로의 기준입니다
즉 절대적인 빠름보다는 주행감성에 더 큰 표를 두고 있다고 봅니다. 튜닝이란 그 감성을 높여주는 하나의 수단이구요^^
서킷을 빠른시간내 주파보다는 얼마나 만족하게 달렸느냐를 더 중요시 여기죠^^
즉 절대적인 빠름보다는 주행감성에 더 큰 표를 두고 있다고 봅니다. 튜닝이란 그 감성을 높여주는 하나의 수단이구요^^
서킷을 빠른시간내 주파보다는 얼마나 만족하게 달렸느냐를 더 중요시 여기죠^^
2006.05.01 03:49:19 (*.48.76.141)

대현님 말씀 꽂히내요. 길거리과속도 폭력이라고 말할수 있겠네요.
저는.. 달리고 싶어 달립니다. ㅋ" 하지만- 달리수 있는 만큼 달리죠.
왠만해선 배틀도 안하고- 남들 피해주지 안을정도만 하고 다닙니다.
도로에서 과속이나 칼질을 안할수는 없을것입니다. 실력이 된다면요.
주말마다 서킷을 갈수도 새벽 늦게 나갈수도 없는 것 이니까요.
운전도 사람마다 다 기준이 다르겠지요.
저는 항상- 마음속으로 말합니다. "오버만 하지말자!" 라고요.
실력이야 어떻던 차가 어떻던 결론은 오버해서 사고나는것 이니까요.
근데- 요즘들어 개념을 집에두고 운전하시는 분들이 더 많아지는것 같아요.
저는.. 달리고 싶어 달립니다. ㅋ" 하지만- 달리수 있는 만큼 달리죠.
왠만해선 배틀도 안하고- 남들 피해주지 안을정도만 하고 다닙니다.
도로에서 과속이나 칼질을 안할수는 없을것입니다. 실력이 된다면요.
주말마다 서킷을 갈수도 새벽 늦게 나갈수도 없는 것 이니까요.
운전도 사람마다 다 기준이 다르겠지요.
저는 항상- 마음속으로 말합니다. "오버만 하지말자!" 라고요.
실력이야 어떻던 차가 어떻던 결론은 오버해서 사고나는것 이니까요.
근데- 요즘들어 개념을 집에두고 운전하시는 분들이 더 많아지는것 같아요.
2006.05.01 03:52:25 (*.48.76.141)

저는 튜닝~이라는것을 요즘 사람들이 너무 남용하지 않나~라는 생각을 합니다.
튜닝보다 먼저 알아야할것이 드라이버의 개념이고 두번째가 자신의 차를 완벽히
숙지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고 한숨쉬고 다음이 튜닝이겠지요.
튜닝보다 먼저 알아야할것이 드라이버의 개념이고 두번째가 자신의 차를 완벽히
숙지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고 한숨쉬고 다음이 튜닝이겠지요.
2006.05.01 08:53:21 (*.61.95.143)

물론 위협적인 난폭운전은 삼가해야 합니다.
하지만 남들이 양보하여 목숨을 부지하다니요..
말씀이 지나친 부분이 있군요.
전 젤 한심하게 생각하는 운전자들은 안전운전을
생각해서 그런지 모르지만
주행은 천천히 하는건 좋으나
황색불이 들어오는데도 횡단보도에 걸쳐서거나
보행자가 가는데도 그냥 지나가질 않나
사거리서 꼬리물기나 하고 있죠..
이면도로에선 보행자가 조금 막앗다고 클락션이나 울리고...
자기가 위협당해도 그리 할껀지.. 의심스럽죠..
어째거나 집앞에 횡단보도라 매일 목격하는 장면들입니다.
그건 튜닝과는 전혀 상관없다고 봅니다.
자기 개성에 맞게 하는 튠을 그런식으로
매도하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하지만 남들이 양보하여 목숨을 부지하다니요..
말씀이 지나친 부분이 있군요.
전 젤 한심하게 생각하는 운전자들은 안전운전을
생각해서 그런지 모르지만
주행은 천천히 하는건 좋으나
황색불이 들어오는데도 횡단보도에 걸쳐서거나
보행자가 가는데도 그냥 지나가질 않나
사거리서 꼬리물기나 하고 있죠..
이면도로에선 보행자가 조금 막앗다고 클락션이나 울리고...
자기가 위협당해도 그리 할껀지.. 의심스럽죠..
어째거나 집앞에 횡단보도라 매일 목격하는 장면들입니다.
그건 튜닝과는 전혀 상관없다고 봅니다.
자기 개성에 맞게 하는 튠을 그런식으로
매도하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2006.05.02 13:37:49 (*.230.119.20)

운전도 좋아하지만, 아무래도 저는 미케닉쪽에 더 가깝나봅니다. 내가 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조금씩 조금씩 엔진의 잠재력을 끄집어내고 싶고 그 과정이 재미있습니다. 달리는 것이라야 세팅전후의 상태를 확인해보는 것이 전부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