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아래 구글링으로 찾아낸 자료들을 캡춰해서 사실확인을 해봤는데요
거의 확실하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일부 논란이 되었던 수출형 바디와 내수용 바디문제는...,
많이 비화되긴 했지만 어느정도는 일리있고 어느 정도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하네요 각 나라마다 에미션 규정이 있고 그에 따른 촉매와
ems 데이터 수정이 필요하죠 (이건 어느나라 어느메이커 모두 같죠)
마찬 가지로 긴 시간 바다에서의 시간여행을 보내야 하는 수출차량은
물론 컨테이너 작업을 하지만 부식에 대한 대책은 세워야 하겠죠
바닷가 차들 바디부식 되는거 보면 해풍이 무섭긴 하나 봅니다.
암튼 그런 차이일뿐 강성자체나 내수,수출의 차이를 두기위한 설계스팩상의
차이는 아니라고 하네요 암튼 어디서 그런 자료를 찾았는지 대단하다고
귀뜸을 주네요 ^^;;
머 메이커의 부풀리기라고 생각하신다면 그리 볼수도 있겠지만
사심없는 의견소통이 가능한 분의 직접적 답변이니 신뢰할만
할듯합니다.
거의 확실하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일부 논란이 되었던 수출형 바디와 내수용 바디문제는...,
많이 비화되긴 했지만 어느정도는 일리있고 어느 정도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하네요 각 나라마다 에미션 규정이 있고 그에 따른 촉매와
ems 데이터 수정이 필요하죠 (이건 어느나라 어느메이커 모두 같죠)
마찬 가지로 긴 시간 바다에서의 시간여행을 보내야 하는 수출차량은
물론 컨테이너 작업을 하지만 부식에 대한 대책은 세워야 하겠죠
바닷가 차들 바디부식 되는거 보면 해풍이 무섭긴 하나 봅니다.
암튼 그런 차이일뿐 강성자체나 내수,수출의 차이를 두기위한 설계스팩상의
차이는 아니라고 하네요 암튼 어디서 그런 자료를 찾았는지 대단하다고
귀뜸을 주네요 ^^;;
머 메이커의 부풀리기라고 생각하신다면 그리 볼수도 있겠지만
사심없는 의견소통이 가능한 분의 직접적 답변이니 신뢰할만
할듯합니다.
2006.05.03 01:20:30 (*.153.155.173)

오~~ 그럼 현대차 강성이 상당히 훌륭하다는건데^^ 체감 강성과 차이가 크네요@@@ 아무래도 충돌시 안전 위주로 설계되어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문득 드는군요.. 예상보다는 상당히 강성이 높아서 의야해 했는데...
2006.05.03 11:15:49 (*.110.140.216)

저도 사실인지 궁금합니다만...우리끼리 맞다고 해봐야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적어도 답변 주신 분이 어떤 분인지 정도는 알려주셔야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공신력있는 잡지의 리뷰를 한 번 살펴보고 chassis rigidity에 관한 언급이 있는지도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사실 확인이라는 것은 메이커의 공식적인 홍보 자료나 공신력 있는 잡지 정도가 되어야하는 것 아닐까요.
물론 모노코크 바디인지라 패널 자체의 강성과 연관이 있겠습니다만, 섀시 강성은 바디 패널의 부식성과는 연관성이 약하다고 생각되고요( 강판의 종류가 바뀌면서 강도가 저하되는것은 예상할 수 있음.)
부식성과 관련한 것은 강판의 종류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연 도금 강판을 쓰느냐, 아연 합금이냐.
아연 도금이 양면에 다 입혀져 있느냐... 이런 것들이 부식과 영향이 있겠지요.
모 기업에서 내수용 차의 강판은 국내 실정에 맞게 제작되었다고 한 것은 국내 실정법상 내부식성에 대한 규정이 없거나 미약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실정법에 어긋나지도 않을뿐 아니라 사람들의 차를 바꾸는 경향을 생각했을 때 대략 몇 년만 버티면 되는데 생산 단가를 생각하면 굳이 비싼 강판을 쓸 이유가 없는 것이겠죠.
적어도 답변 주신 분이 어떤 분인지 정도는 알려주셔야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공신력있는 잡지의 리뷰를 한 번 살펴보고 chassis rigidity에 관한 언급이 있는지도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사실 확인이라는 것은 메이커의 공식적인 홍보 자료나 공신력 있는 잡지 정도가 되어야하는 것 아닐까요.
물론 모노코크 바디인지라 패널 자체의 강성과 연관이 있겠습니다만, 섀시 강성은 바디 패널의 부식성과는 연관성이 약하다고 생각되고요( 강판의 종류가 바뀌면서 강도가 저하되는것은 예상할 수 있음.)
부식성과 관련한 것은 강판의 종류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연 도금 강판을 쓰느냐, 아연 합금이냐.
아연 도금이 양면에 다 입혀져 있느냐... 이런 것들이 부식과 영향이 있겠지요.
모 기업에서 내수용 차의 강판은 국내 실정에 맞게 제작되었다고 한 것은 국내 실정법상 내부식성에 대한 규정이 없거나 미약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실정법에 어긋나지도 않을뿐 아니라 사람들의 차를 바꾸는 경향을 생각했을 때 대략 몇 년만 버티면 되는데 생산 단가를 생각하면 굳이 비싼 강판을 쓸 이유가 없는 것이겠죠.
2006.05.03 12:40:54 (*.100.112.43)
눈팅회원입니다.^^
항상 글만보다 가는 타입입니다만,,^^ 강판얘기가 나와서....
위에 이경석님께서 설명을 잘해주셨는데요 국내실정법이 나와서 한마디만 하고갑니다.
나라마다 자동차 공업규격이라는것이 있습니다. 보통그룹으로 나뉘는데요...
1그룹,2그룹,3그룹,기타그룹등등...
미국,독일,프랑스,캐나다등등 1그룹,일본등은 2그룹
1그룹과2그룹은 폐차할때 재활을 몇%정도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니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스리랑카,인도네시아등과 같은 기타그룹입니다!!!!
세계자동차생산6위안에 드는 생산업체를 가지고 있는 국가로서 너무 하지용^^..
제도적장치가 너무 부실하지요. 빠른 성장을 해왔지만 그에 따른 제반 법률이 너무 미비하니까 여러가지 부작용들이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물론 그 피해자는 우리나라소비자들이고요. 단적으로 미국캘리포니아,캐나다토론토같은경우는 아연도금이 아니라 니켈도금까지 발라져 수출됩니다. 참고로 둘의 단가는 상당합니다.
한사람의 소비자로서 국내도 빨리 내부식성에 대한 법률이 만들어졌으면 합니다.
그럼 그만 퇴장^^^^
항상 글만보다 가는 타입입니다만,,^^ 강판얘기가 나와서....
위에 이경석님께서 설명을 잘해주셨는데요 국내실정법이 나와서 한마디만 하고갑니다.
나라마다 자동차 공업규격이라는것이 있습니다. 보통그룹으로 나뉘는데요...
1그룹,2그룹,3그룹,기타그룹등등...
미국,독일,프랑스,캐나다등등 1그룹,일본등은 2그룹
1그룹과2그룹은 폐차할때 재활을 몇%정도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니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스리랑카,인도네시아등과 같은 기타그룹입니다!!!!
세계자동차생산6위안에 드는 생산업체를 가지고 있는 국가로서 너무 하지용^^..
제도적장치가 너무 부실하지요. 빠른 성장을 해왔지만 그에 따른 제반 법률이 너무 미비하니까 여러가지 부작용들이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물론 그 피해자는 우리나라소비자들이고요. 단적으로 미국캘리포니아,캐나다토론토같은경우는 아연도금이 아니라 니켈도금까지 발라져 수출됩니다. 참고로 둘의 단가는 상당합니다.
한사람의 소비자로서 국내도 빨리 내부식성에 대한 법률이 만들어졌으면 합니다.
그럼 그만 퇴장^^^^
2006.05.03 13:47:37 (*.106.6.226)

음 답변주신분이 관계자라는것 이상은 말씀 드리기 어렵네요
아무리 정보가 중요 하다고 하지만 알려주신분에게 누가 되면서까지 사실확인을
하고 싶지는 않거든요 이점 양해를 구합니다 ^^ 하지만 문맥을 잘 읽어 보시면
미루어 짐작(?)은 가능하다고 보여집니다.잡지나 발표보다는 근접한분의 답변이니까요
그리고 누구에게 보여지기 위한 홍보나 부풀리기와는 상관없는 분의 답변이라는것
여기까지만 밝히게 됨을 송구하게 생각합니다.
아무리 정보가 중요 하다고 하지만 알려주신분에게 누가 되면서까지 사실확인을
하고 싶지는 않거든요 이점 양해를 구합니다 ^^ 하지만 문맥을 잘 읽어 보시면
미루어 짐작(?)은 가능하다고 보여집니다.잡지나 발표보다는 근접한분의 답변이니까요
그리고 누구에게 보여지기 위한 홍보나 부풀리기와는 상관없는 분의 답변이라는것
여기까지만 밝히게 됨을 송구하게 생각합니다.
2006.05.03 18:31:10 (*.48.76.141)

간혹 대한민국에 수입된 미국차들보면 머플러와 서스펜션 쪽에 쉽게 녹을 발견할수 있습니다. ㅡㅡ; 동규님 말씀데로 선입견이 크지 않나 하는 생각을~
2006.05.03 18:46:28 (*.217.7.230)

NF를 타보니 이전 모델과는 비교할 수 없을정도의 차체강성 향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단적으로 예를들면, 밤시간에 한가한 도로에서 급격한 유턴을 시도해보면 차체가 비틀리지 않고 굉장히 단단하게 돌아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얼마전 돌아다니던 충돌실험 동영상을 보니 Y3-EF-NF로 이어지면서 안전성이 놀랍게 향상되었다는 걸 알수있더군요..
얼마전 돌아다니던 충돌실험 동영상을 보니 Y3-EF-NF로 이어지면서 안전성이 놀랍게 향상되었다는 걸 알수있더군요..
2006.05.03 23:03:39 (*.234.101.4)

오래전 티뷰론을 탔던 느낌만을 기억하며 투스카니에 대해서는 솔직히 겉모습만좀 단단해보인다 였지 시승전까진 티뷰론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을꺼란 생각을가지고있었습니다.
하지만 시동을 걸고 변속을 하며 시승하는내내 이렇게 까지 바뀌었을거라곤 생각지 못해놀라워 하는 저의 모습을 보면서 되도록 객관적으로 바라본다라는 생각을 가지고있던 저의모습또한 선입견이 내재되어있었다는 생각을 떨칠수없었던 그때가 생각이 나네요~변속질감과 바디강성의 느낌은 당시로서는 뜻밖이었습니다.
하지만 시동을 걸고 변속을 하며 시승하는내내 이렇게 까지 바뀌었을거라곤 생각지 못해놀라워 하는 저의 모습을 보면서 되도록 객관적으로 바라본다라는 생각을 가지고있던 저의모습또한 선입견이 내재되어있었다는 생각을 떨칠수없었던 그때가 생각이 나네요~변속질감과 바디강성의 느낌은 당시로서는 뜻밖이었습니다.
2006.05.04 01:33:07 (*.39.189.162)
내장품질이나 감성품질등은 이미 세계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ㅡ.ㅡ;;
모터쇼 가셔서 외산차들 중에 2리터급 차량 함 보실 기회가 되시면 한번 가보세요...
가격에 맞지 않게 싸구려 플라스틱 재질이 많습니다. 그에 비하면 국산차 내장은... ㅡ.ㅡ;;
(물론 울나라의 관세가 한 몫하는 것도 있지만...)
흔히 차를 타시면서 강성에 관한 정보를 어디에서 얻으시나요??? 문짝?? 리프트??? 잡소리??
그런 단편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서킷이나 와인딩에서 투카를 순정으로 함 타보세요...
코너에서 섀시가 짜부러지는 느낌을 캐치하실 수 있는 수준이 되신다면 신형 차체가 강성도 충분히 업되었다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모터쇼 가셔서 외산차들 중에 2리터급 차량 함 보실 기회가 되시면 한번 가보세요...
가격에 맞지 않게 싸구려 플라스틱 재질이 많습니다. 그에 비하면 국산차 내장은... ㅡ.ㅡ;;
(물론 울나라의 관세가 한 몫하는 것도 있지만...)
흔히 차를 타시면서 강성에 관한 정보를 어디에서 얻으시나요??? 문짝?? 리프트??? 잡소리??
그런 단편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서킷이나 와인딩에서 투카를 순정으로 함 타보세요...
코너에서 섀시가 짜부러지는 느낌을 캐치하실 수 있는 수준이 되신다면 신형 차체가 강성도 충분히 업되었다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