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현대가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 세타엔진 개량에 대한 논문을 등재했다는 정보를 접했습니다. 내용은 세타엔진에 CVVT + 2-stage VVL을 적용하여 7200rpm 회전한도의 NA210마력짜리로 개량한 것이라고 합니다.
논문의 내용이 전자화되어있지않아 초록만 보고 확인한것이라고 하는데, 07년 출시될 기아자동차 엔진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적혀있다고 합니다. 배기량은 확실치 않지만, 엔진스펙이나 현대의 기술력으로 미루어보아 2.4L이 아닐까 추측됩니다.
혹시 SAE 전자논문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계신 테드 회원님 계시면 세부 자료를 알아보실 수 있는지요? 세타 7200rpm에 NA210마력이라니, 정말 구미가 당기는 정보가 아닐 수 없군요 ^^;
www.sae.org
논문의 내용이 전자화되어있지않아 초록만 보고 확인한것이라고 하는데, 07년 출시될 기아자동차 엔진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적혀있다고 합니다. 배기량은 확실치 않지만, 엔진스펙이나 현대의 기술력으로 미루어보아 2.4L이 아닐까 추측됩니다.
혹시 SAE 전자논문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계신 테드 회원님 계시면 세부 자료를 알아보실 수 있는지요? 세타 7200rpm에 NA210마력이라니, 정말 구미가 당기는 정보가 아닐 수 없군요 ^^;
www.sae.org
2006.05.07 20:16:43 (*.147.181.78)

A 2.0 Liter High Performance Engine(HPE) is developed for next generation Hyundai sporty coupe. It is based on newly developed Hyundai Theta Engine under mass production, which is equipped with aluminum alloy cylinder block, ladder frame, and intake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CVVT).
The modifications to HPE include the reinforcement of moving parts for high revolution over 7,500rpm, adoption of 2-stage Variable Valve Lift(VVL), Variable Intake System(VIS), and exhaust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CVVT) for improvement in fuel efficiency as well as in performance.
By applying these variable mechanisms, it was possible to achieve significantly improved torque, power and fuel consumption: 40% improvement in maximum power, 10% improvement in maximum torque, and 4% reduction in fuel consumption.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VIS and VVL can give major improvements to performance and fuel consumption respectively.
이 앱스트랙트인가요?
The modifications to HPE include the reinforcement of moving parts for high revolution over 7,500rpm, adoption of 2-stage Variable Valve Lift(VVL), Variable Intake System(VIS), and exhaust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CVVT) for improvement in fuel efficiency as well as in performance.
By applying these variable mechanisms, it was possible to achieve significantly improved torque, power and fuel consumption: 40% improvement in maximum power, 10% improvement in maximum torque, and 4% reduction in fuel consumption.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VIS and VVL can give major improvements to performance and fuel consumption respectively.
이 앱스트랙트인가요?
2006.05.08 00:40:37 (*.26.60.235)

음... 상당히 구미가 당기네요. 순익님 글에는 over 7500 rpm 이네요. 근데, 차세대 스포티 쿠페는 언제 나온다느 걸까요? 왠지 실험실에서 개발한 데이타를 그대로 양산에 적용하지는 않을 듯 한데... 아니면 더 개량해서 더 좋게 나올려나?
2006.05.08 00:53:26 (*.111.94.16)

제목 : [IPC-13] Development of a 2.0 Liter Hyundai High Performance Engine
키워드 : HPE, Variable Valve Lift(VVL), Variable Intake System(VIS), Continuous Variable Valve Timing(CVVT)
저자 : Jongbum Park (Hyundai Motors), Sihun Lee(Hyundai Motors), Bong-Hoon Han(Hyundai Motors), Woo Tai Kim(Hyundai Motors)
키워드 : HPE, Variable Valve Lift(VVL), Variable Intake System(VIS), Continuous Variable Valve Timing(CVVT)
저자 : Jongbum Park (Hyundai Motors), Sihun Lee(Hyundai Motors), Bong-Hoon Han(Hyundai Motors), Woo Tai Kim(Hyundai Motors)
2006.05.08 01:15:50 (*.119.9.27)

KSAE 에 원문이 있습니다..^^;; 유료 결제군요.. OTZ...;;
날 밝는 대로 학교 다 뒤져서라도 프로시딩 가지고 있는 분을 찾아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
날 밝는 대로 학교 다 뒤져서라도 프로시딩 가지고 있는 분을 찾아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
2006.05.08 08:52:56 (*.235.107.43)
한참전에 읽어본 자료라 잘못 기억하고 있는게 많군요. KSAE에도 자료도 올라왔고...
필요하신분 쪽지 주시면 메일 보내드리겠습니다.
필요하신분 쪽지 주시면 메일 보내드리겠습니다.
2006.05.08 14:49:05 (*.219.0.68)

호오. 듀얼 VVT에 가변 흡기라인, 가변 밸브 리프트라. 현재 미국에서 생산중인 크라이슬러 그룹용 월드엔진과 내용 면에서 비슷하군요. 실질 토크가 얼마나 될지 모르겠지만, 부품 정밀도를 높여 회전한계를 끌어 올리는 것이 양산엔진에서 얼마나 힘든지를 안다면 꽤 의미 있는 기술이 되겠군요.
2006.05.08 15:10:11 (*.174.247.219)
논문에 대한 질문인데요, 이 논문에서처럼 시제품 엔진을 만들기 전에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1차원, 나아가 3차원 시뮬레이션 툴은 회사나 학계에서는 어떤 것들을 사용합니까?
SAE쪽에 인덱스되어 있긴 하지만 현대에서 KSAE에 제출한 논문입니다. 아마 05년 광주국제학술논문대회에 제출한 것으로 기억하고 있구요. SAE 디지털 라이브러리엔 초록밖에 없습니다. SAE소속 글이 아니니 어쩔 수 없지요. 전문을 찾아보려고 KSAE쪽 DB도 뒤져보았지만 없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아무튼 세타 2000cc에 흡배기 CVVT + 2 stage VVL입니다. 그리고 토크 마력 연비 모두 향상되었습니다. 기존 세타엔진에 비해 몇퍼센트 향상되었다고 적혀 있었는데 계산해보면 마력이 거의 210마력에 근접합니다. 토크와 연비는 기억이 안나는군요. RPM 리밋은 7200rpm 입니다. 제가 보면서 엇.. 생각보다 레드존이 낮네.. 라고 혼잣말했던 기억납니다.
개인적으로 이 엔진에 관심이 가는 까닭은 다른 것보다 RON이 낮은 휘발류로 했을 꺼라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입니다. 현대에서 내는 논문을 100%읽어보진 않았지만 최근까지 엔진과 관련된 논문중 제가 읽어본 것에서 실험치는 모두 RON 90미만이었거든요. 위에서 말한 엔진도 그렇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니 현대의 가솔린 엔진에 대한 기술력에 새삼 놀라게 됩니다. 물론 본문을 읽어보지 않았으니 정확한 사실은 모르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