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항상 테드에서 좋은 정보 얻어만 가고 있는 불량회원입니다.
이번에도 염치불구하고 이번에 도움을 받고자 글을 쓰게 되네요.
제차가 96년식 티뷰론인데 얼마전에 터보 작업을 했죠. 오토를 수동으로 스왑까지 해가면서 해놨는데
이차가 어느날 갑자기 방전이 되기 시작하더군요. 터보작업 후 바로 방전되기 시작한건 아닌거 같구요
하루 넘기기 힘드네요. 10분 이상 시동 걸어 놓고 2~3시간후엔 여지없이 방전됩니다.
몇년 소유하고 있으면서 자잘한 다이 몇가지 한게 있지만 방전되기 시작하면서 웬만한건 떼어냈죠..
배터리는 2번 교환했고 제너레이터도 교환했지만 수리 의뢰한 곳마다 원인을 찾지 못하네요..
공임이 많이 들더라도 꼭 고치고 싶네요..
주위에 실력있는 업체 소개 부탁드립니다. 지역은 서울입니다.
우선 차량이 방전이 되는 경우는 과도한 암전류 때문입니다..
암전류란, 키를 오프하고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흐르는 전류량입니다..
통상적으로 적게는 25mA에서 많게는 100mA 정도 됩니다..
키를 오프 하더라도 에탁스나 기타 전자장비의 백업쪽으로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암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는 없습니다..
다만 그 전류량이 문제가 되는 것이죠..
우선은 암전류를 측정할 장비가 구비된 정비소면 쉽게 해결이 가능합니다.
배터리 전원측에 전류계를 걸어 두고서 휴즈박스에 휴즈를 하나씩 뽑아 보면 그 변화량이 가장 큰 것이 발견됩니다.
그러면 그 휴즈에 관련된 시스템에서 암전류가 너무 과도하게 흐르는 것이죠..
발전기 불량으로도 간혹 그런 경우가 있는데, 발전기는 교환을 하셨다니 발전기는 제외 하시구요..

위에 배준희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암전류 에 의한것이 대부분입니다. 휴즈를 빼면서 찾는 방법이 일차적인 것이고 휴즈의 어디?
예를들면 ECM이라면 더 세부적으로 봐야 하는 경우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간단하지않은 방전원인찾기는 정비사의능력에갈립니다.
ECM 을 한가닥 씩 잘라가며 찾아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짧은 경험으로는 먼저..
- 경보기나 릴레이를 추가로 장착한 엑세서리를 간단히 제거(혹은체크)한다.
- 위에 말씀하신 암전류를 체크해가며 (전류계 사용) 휴즈뽑기하며 전류계 확인하면서
- 해당휴즈의 배선도를 참고하거나 역으로 따라간다.
-확인된부분을 해결 (ECM 선을 끈어가며 확인할수도있습니다. 보통 코일이들어간 관련센서 나 릴레이가 원인인경우가보통입니다.
--티뷰론의경우는 메인 릴레이, 크랭크각 센서, 켐포지션 센서 , 실내등 , 도어등, 트렁크등 ..등등 인경우였습니다.
하루를 못넘기는 암전류 라면 코일이 들어간 부품 일 경우가보통인데 전기사용량이라던지 구조상 상시전원이 그라운드로 흘허나가버리는 것을 몃번 경험 했습니다.
에....찍기라면 ..메인릴레이,-한표, 크렝크각 센선 관련 한표.ㅎㅎ
수리 잘하시길 바랍니다.
저같은 경우는 트레일러 견인을 위해 장착한 Wiring Harness 가 퓨즈박스 밑에 달린 볼트에 접속되어 있었는데 이게 전류를 밤새 다 빨아먹더군요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말이죠 결국 떼어내고 (U-haul) 크라이슬러 순정품으로 다시 장착했습니다
알람시스템이 있으면 제거해 보세요.
시동을 끄고 난 후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가 있다면 그로 인해 방전이 될 확율이 높다고 할 수 있거든요. 차량에 외부 오디오 장치(예, 서브우퍼, 엠프등)가 장착 되어있는 경우라면 그로 인해 방전이 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새 밧데리와 정상작동하는 제너레이터인데 지속적인 방전으로 인한 고생은 위 두 가지 예의 경우가 거의 99%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