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요사이 남양주로 출퇴근을 하면서 느끼는 점이 올림픽대로건 강변북로 구리변 도로건간에
멀쩡한도로가 하나도 없다는 생각입니다.
도대체 이 구간은 어떤 기관에서 관리를 하며 저 구간은 어떤 기관에서 하는지...
도저히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함몰되거나 이빨이 빠져버린 구간이 수두룩합니다.
물론 우리나라 국도들의 현실이기는 하지만 도저히 보고만 있을 수가 없습니다.
최소한 내가 다니는 길은 항상 개선을 요구하고 싶습니다.
여러분들 역시 저같은 생각을 해본적이 있으시리라 봅니다.
혹여 노하우가 있으시거나 신고전화같은 것을 아시면 공유하면서
테드 분들이 앞서서 도로파손에 대한 개선을 요구해보면 어떨까하면서 고민해봅니다.
멀쩡한도로가 하나도 없다는 생각입니다.
도대체 이 구간은 어떤 기관에서 관리를 하며 저 구간은 어떤 기관에서 하는지...
도저히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함몰되거나 이빨이 빠져버린 구간이 수두룩합니다.
물론 우리나라 국도들의 현실이기는 하지만 도저히 보고만 있을 수가 없습니다.
최소한 내가 다니는 길은 항상 개선을 요구하고 싶습니다.
여러분들 역시 저같은 생각을 해본적이 있으시리라 봅니다.
혹여 노하우가 있으시거나 신고전화같은 것을 아시면 공유하면서
테드 분들이 앞서서 도로파손에 대한 개선을 요구해보면 어떨까하면서 고민해봅니다.
2006.05.16 18:52:32 (*.120.185.144)

공사로 인한 도로파손으로 인하여 휠이 망가져서 구청 홈페이지에 민원을 해서 보상을 받은적이 있습니다. 또한번은 공사로 인하여 타이어가 파스났는데 공사 책임자가 현장에 있어서 현장에서 합의금조로 조금 받고 끝냈던적도 있었구요. 비가와서 패인 노면에 휠이 망가진 경우도 있었는데, 이 때에는 신고도 하지 않았고, 따라서 보상도 못받았습니다. 이것도 해당 구청에 신고하였으면 보상을 받을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네요.
2006.05.16 18:53:25 (*.111.192.87)

글게여 저는 집앞 도로가 6m도로인데 앞에 학교가 있어서 애들이 걸어서 통학하는데 무섭게 달리는 차들이 많아서 구청에 좀 과속 방지턱좀 설치좀 해달라고 전화했더니 담당자가 주민의 동의를 거쳐야 하고 주저리 주저리 핑계만...결국 안해주더라구여. 구청홈피에 구청장에게 바란다 이런 란이 있는데 전화 보단 효과적일듯 하네여. 인영씨 밥 먹어야져? ^^
2006.05.16 20:30:38 (*.254.198.40)

남양주 거주하는데 도로사정이 아주 별로입니다 도로변에 도로관리하는 관청이 군데 군데 써있던데 그리로 하면 되지않을까요??
2006.05.16 23:28:45 (*.103.106.139)

구청장이 바란다나..시장에게 바란다등. 이런곳에 인터넷민원한번 넣어보세요. 바로 효과는 몰라도 연락은 올겁니다^^ 저도 구청에서 8개월 몸담고 있는 현재 인터넷파워가 세긴 세구나...하는 생각이 들때가 몇번 있답니다~
2006.05.17 09:09:40 (*.122.61.100)
겨울내 뿌려놓은 모래가 도랫가로 밀려서 매우 미끄러워 구청에 신공했습니다.
인터넷으로 민원신청 하시면 됩니다. 바로 전화 오더군요.
안되면 청와대 민원실에 제기하는것도 빠른 방법중에 하나였습니다.
인터넷으로 민원신청 하시면 됩니다. 바로 전화 오더군요.
안되면 청와대 민원실에 제기하는것도 빠른 방법중에 하나였습니다.
2006.05.17 10:28:36 (*.187.193.170)

저같은 경우는 바로 112로 전화를 겁니다. 도로공사, 시청, 구청 등등 관할이 모두 제각각이기 때문에 구분해서 전화할 수도 없고 번호도 접근하기가 쉬워 112로 전화해서 위치와 대략적인 상태를 알려주고 조치해달라고 하면, 해당 기관에 전하겠다고 하더군요.
처리결과를 알고 싶냐구 물었을때 알고 싶다고 하면...후에 어떤식으로 처리 되었다고 연락이 옵니다.
물론 보상이 필요하거나 한 경우는 다른 방법을 쓰셔야 겠지요 ^^
처리결과를 알고 싶냐구 물었을때 알고 싶다고 하면...후에 어떤식으로 처리 되었다고 연락이 옵니다.
물론 보상이 필요하거나 한 경우는 다른 방법을 쓰셔야 겠지요 ^^
2006.05.17 12:07:53 (*.126.41.70)

제가 알기론 112는 긴급전화인데요.. 경찰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 긴급히 연락하는 번호인데.. 이번호로 이런 신고를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2006.05.17 12:34:35 (*.187.193.170)

도로교통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유지하는 것...좀더 거창하게 이야기 하자면 시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도 경찰 업무의 연장입니다.
도로가 심각하게 손상되었다면 운전자에 따라 사고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공사구간 표시가 잘못되서 눈을 부시게해 마주오는 차량이 충돌할 뻔한 상황도 있었고, 도로에 떨어진 화물이나 이물질로 위험한 상황이 연출 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차를 멈추고 처리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여의치 않을 때도 있지요. 말씀드렸듯이 관할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전화돌리다 판나거나. 시간때가 관할에 따라 처리 불가능인 경우도 있게 됩니다. 와 정말 위험하다 사고날 수도 있겠네 라며 운전하면서 어디로 전화하지 고민하며 시간을 보내기 보단 112를 자신있게 누르는 쪽을 택했습니다. 실제로도 경찰에서 처리해야 하는 업무중 하나입니다.
도로가 심각하게 손상되었다면 운전자에 따라 사고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공사구간 표시가 잘못되서 눈을 부시게해 마주오는 차량이 충돌할 뻔한 상황도 있었고, 도로에 떨어진 화물이나 이물질로 위험한 상황이 연출 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차를 멈추고 처리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여의치 않을 때도 있지요. 말씀드렸듯이 관할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전화돌리다 판나거나. 시간때가 관할에 따라 처리 불가능인 경우도 있게 됩니다. 와 정말 위험하다 사고날 수도 있겠네 라며 운전하면서 어디로 전화하지 고민하며 시간을 보내기 보단 112를 자신있게 누르는 쪽을 택했습니다. 실제로도 경찰에서 처리해야 하는 업무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