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여러 테드 회원분들의 의견은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무역관계, 특히 수입차 유통 관련해서 별다른 지식이 없기에
막연한 기대감(관세 인하에 따른 가격 조정과 이 여파에 의한 국산 브랜드 등의
가격 조정 움직임) 같은 걸 갖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사실상 한미간 무역협정이기에 .. 수입차 시장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독일 및 일본 브랜드의 경우 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도 예상되고
무엇보다, 관세 8%라는 것이 실질적 소비자가(외산)에 포함된 원가 외
금액 중 과연 그렇게 큰 portion을 차지하느냐..라는 것이죠.
실제, 국내 일부 브랜드의 경우 현지법인과 딜러 마진이 지나치게 높지 않느냐라는
비판 또한 꽤 오래전부터 존재해온 '주장'이니까요 ..
위 주장의 전제 하에선 사실상 그다지 큰 가격적 메릿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더불어 이러한 바람(?)은 사실상 실제 국산 브랜드들의
현실적 가격 조정이라는 나름의 가격 경쟁력을 끌어내기 위함에서
기인 한 것인데요...
여러 회원분들의 FTA로 인한 가격 조정과 과연 가장 현실적인 가격대 구성(국산 브랜드)
은 어떻게 조정해야 나름 합당하다고들 보시는 지 .. 고견을 구합니다^^
무역관계, 특히 수입차 유통 관련해서 별다른 지식이 없기에
막연한 기대감(관세 인하에 따른 가격 조정과 이 여파에 의한 국산 브랜드 등의
가격 조정 움직임) 같은 걸 갖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사실상 한미간 무역협정이기에 .. 수입차 시장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독일 및 일본 브랜드의 경우 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도 예상되고
무엇보다, 관세 8%라는 것이 실질적 소비자가(외산)에 포함된 원가 외
금액 중 과연 그렇게 큰 portion을 차지하느냐..라는 것이죠.
실제, 국내 일부 브랜드의 경우 현지법인과 딜러 마진이 지나치게 높지 않느냐라는
비판 또한 꽤 오래전부터 존재해온 '주장'이니까요 ..
위 주장의 전제 하에선 사실상 그다지 큰 가격적 메릿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더불어 이러한 바람(?)은 사실상 실제 국산 브랜드들의
현실적 가격 조정이라는 나름의 가격 경쟁력을 끌어내기 위함에서
기인 한 것인데요...
여러 회원분들의 FTA로 인한 가격 조정과 과연 가장 현실적인 가격대 구성(국산 브랜드)
은 어떻게 조정해야 나름 합당하다고들 보시는 지 .. 고견을 구합니다^^
2006.06.05 17:45:37 (*.111.192.87)

수입차 1천만원
관세 10.000.000 x 8% = 80만원
특소세 (과세가격 + 관세) x 0.2 = 2.160.000
교육세 특소세 x 0.3 = 648.000
부가세 (과세가격 + 관세 + 특소세 + 교육세) x 10% = 1.360.800
4.968.800 원
국산차 1천만원
특소세 2.000.000
교육세 600.000
부가세 1.260.000
3.860.000 원
1천만원당 1백 1십만 8천 8백원 차이가 발생하네여
보통 5만달러(1달러 천원 계산하면) car 라면 대략 5백 50만원 차이가 발생하네여
관세 10.000.000 x 8% = 80만원
특소세 (과세가격 + 관세) x 0.2 = 2.160.000
교육세 특소세 x 0.3 = 648.000
부가세 (과세가격 + 관세 + 특소세 + 교육세) x 10% = 1.360.800
4.968.800 원
국산차 1천만원
특소세 2.000.000
교육세 600.000
부가세 1.260.000
3.860.000 원
1천만원당 1백 1십만 8천 8백원 차이가 발생하네여
보통 5만달러(1달러 천원 계산하면) car 라면 대략 5백 50만원 차이가 발생하네여
2006.06.05 18:54:22 (*.219.0.68)

미국에서 생산되는 물품을 중심으로 관세 혜택이 생기는 것이 맞습니다. 때문에 미국 회사인 크라이슬러에서도 사실상 FTA에 의해 가격 변화가 생길 여지는 상당히 적죠. 300C와 그랜드체로키 디젤, 커맨더 디젤, 그랜드보이저 디젤 등은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 생산을 하고, 크로스파이어는 독일 카만에서, PT 크루저는 멕시코에서, 퍼시피카의 경우 캐나다이기 때문에 되려 위에 언급하신 차종들(ML, Z4, 렉서스 일부 등)은 물론 관련이 되겠죠. 사실 미국에서 만드는 걸 가져오는 것보다 일본에서 만드는 편이 운송비와 물류비등을 절약할 수 있어 일본 메이커들은 크게 영향이 없을 듯 싶기도 하네요. 제가 알기로는 포드도 몬데오의 경우 유럽 벨기에 공장에서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고.. 과연 수입차에서 얼마나 파장이 될지는 모르겠네요.
2006.06.06 00:43:38 (*.50.120.71)

^^동희님 그라쯔라면 보통 AVL이 위치한 곳으로 익숙한곳인데..그 도시가 꽤 큰가봅니다..혹시 300C나 그랜드체로키 디젤등등이 슈타이어푸흐에서 생산되나요?
2006.06.06 00:54:09 (*.94.206.214)

일전에 라디오 방송을 듣다보니 모두들 신차 수입에만 관심을 쏟고 있지만 미국의 중고차 시장도 개방된다고 하네요. 따라서 미국의 중고차도 한국시장에 물밀듯 밀려 들어 올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겉보기에 관세등 할인율은 낮아보이지만 현실적으로 미국제 차량들은 현재 국내 수입판매가격에서 약 20% 의 가격하락요인이 발생한다고 하더군요. 그럼 국내의 중대형급 차량들과 가격차이가 거의 없어지는 수준까지도 보고 있더군요. 그리고 부품역시 하락요인이 있을 거구요
2006.06.06 01:13:28 (*.130.112.210)
저만 이렇게 생각하는지는 모르지만 미국은 생각보다 강한 나라 다고 생각합니다. 늦게나마 관련된 일을 하고 있지만 역시 미국은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외적으로 알려져 있는것이 별로 없지만 항상 많은 부분은 미국이 원하는데로 가고 있습니다. 미국과 언론이 자동차를 포인트로 이야기 하고 있지만 자동차를 이유로 하고 있는것 같지 않습니다. 만약 비관세로 미국의 자동차가 들어온다면 경쟁력이 있을듯합니다. 아마도 전략적인 차종을 만들어서 충분이 공략을 할거라 생각합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다른 수입 메이커도 경쟁 모델의 가격과 차종이 변동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갈수록 가격차가 좁아지는 국산메이커 또한 적잔은 영향을 받을것 갔습니다. 어찌됬던 물건을 사는 일반적인 구입자가 저희들 처럼 매니아적인 성향의 구입층은 적습니다. 결국가격대가 좁아지면 국산자동차에 많은 영향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파는 미국의 모든 모델이 잘 팔리지 않을지라도 한두모델만 히트 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지요.
2006.06.06 11:38:25 (*.98.75.93)
잘하면 알라바마인가.. 현대 자동차에서 생산되는 소나타가 우리나라에도 수입되지 않을까요?? 예전에 삼성에서 만든 부품들이 수출되었다가 다시 국내로 들어와서 원래가격보다 더 싸게 팔리는 기현상도 생길것 같습니다. 어찌되었던 이런일로 인해 국내메이커들 정신좀 차려야 합니다.
2006.06.06 13:13:22 (*.112.44.120)

단순히 8%세금을 걷어내고 남은 가격은 별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1000만원당 100만원의 가격하락 요인 이외에도 국산차량과 수입차량의 가격적인 면에서 구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수입차를 산다는 것'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 상당 부분 줄어들지 않을까 싶네요. 이는 결국 수입차 시장의 확대를 가져오고, 규모의 경제를 통한 수입차의 가격 하락폭은(딜러들의 하기 나름이겠지만..) 1000만원당 100만원 이상이 될 수도 있을 거라 봅니다.
2006.06.06 19:43:36 (*.216.115.204)

정신차리는 의미에서 과감하데 정리하기 위하여 FTA체결에 찬성합니다.
FTA체결이 문제가 아니고, 국민의식이 빨리 제대로 성숙되도록 홍보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직도 특히나 자동차 같은 경우 수입차는 무조껀 좋다는 식의 인식이 일반 사람들에게 많이 주입되고 있는 실정이 더 무섭고 챙피한 일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아직도 일부 병행 수입업체들은 정상적이지 못한 차를 수입해 놓고 신차라는둥, 이차는 특별한 차라는둥...거참..
한가지 예를 들어서 88년됐던 제 구형 M3와 바로 수입해서 국내에서1년세워 놨다던 독일산 수입차의 하체를 보면 웃음밖에 않나옵니다.
구형똥차이지만 하체에 소금기 하나 없이 깨끗한데, 신차이고 한국에서 1년 재고로 있었다는 차가 어케 하체에 소금기와 부식이 되어 있죠?
한마디로, 시방 장난하나~~~ 입니다.
FTA체결되고 좀더 시장이 성숙되는것도 필요하지만, 아무련 공부나 자료수집없이 무턱대고 병행수입업자들 말에 구매를 하는 소비자들의 의식수준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FTA체결이 문제가 아니고, 국민의식이 빨리 제대로 성숙되도록 홍보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직도 특히나 자동차 같은 경우 수입차는 무조껀 좋다는 식의 인식이 일반 사람들에게 많이 주입되고 있는 실정이 더 무섭고 챙피한 일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아직도 일부 병행 수입업체들은 정상적이지 못한 차를 수입해 놓고 신차라는둥, 이차는 특별한 차라는둥...거참..
한가지 예를 들어서 88년됐던 제 구형 M3와 바로 수입해서 국내에서1년세워 놨다던 독일산 수입차의 하체를 보면 웃음밖에 않나옵니다.
구형똥차이지만 하체에 소금기 하나 없이 깨끗한데, 신차이고 한국에서 1년 재고로 있었다는 차가 어케 하체에 소금기와 부식이 되어 있죠?
한마디로, 시방 장난하나~~~ 입니다.
FTA체결되고 좀더 시장이 성숙되는것도 필요하지만, 아무련 공부나 자료수집없이 무턱대고 병행수입업자들 말에 구매를 하는 소비자들의 의식수준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006.06.06 22:34:58 (*.119.172.114)

솔직히 여러가지 좋은점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제일 좋은점은 한국차의 경쟁력이 더더욱 향상되지 않을까요? 세계에서 좋은실적을 보여주고있다면서 자랑하는데 그렇게 자신있으면 FTA 시원하게 해버리지 말이죠.....답답합니다 (지금 저도 FTA 와 깊은관련이 있기때문에 식량관련은 뭐 잘되야겠지만 다른면에선 대부분 다 수용해야 될 부분이라고 본다는)
2006.06.07 01:13:17 (*.221.58.235)

식량문제도 남탓할필요 없다고 봅니다.
일본애들은 15년전에 일본에서 국가산업으로 밀어서 켈리포니아에 농장을 만들고, 중부에 목장만들어서 일본에서 구매하게 하였습니다.
미국땅에서 농사를 일본애들이 지어서 구매해 간다는데 뭐라고 할말 있나요?
왜 우리는 미리 이렇게 대처하지 못했나요? 스스로 반성하는게 더 진솔돼보인다고 생각합니다.
한예로 소고기를 말해보도록 하죠.
살아있는 소를 수입하여 한국에서 24시간 살아 있는 상태이면 그 후에 도살하면 그것은 한우로 취급한다는 사실 아십니까?
그 한우가 지금 여러분 식탁에 올라가 있다는 사실...한번 되집어 생각해 봅시다.
남미에서 소1마리 가격이 미화로 $100.00입니다. 미국에 도축업자들이 남미의 소를 사서 한국으로 보내서 24시간 뒤에 도축하여 한우로 팔고 있다는 사실...
한번 확인해 보싶시요...쩝
농수산믈의 편법은 그 한계가 무한합니다.
일본애들이 그래서 미국 중부지방에 농장을 매입해서 미국소를 직접 길러서 또는 남미에서 구입하여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그러는 우리는 뭐했나요? 허구헌날 그런일만 있으면 대모하지 않았습니까?
차라리 한국정부에서 미국에 있는 한인동포를 지원해서 일본애들 첨럼 해보던지...
실로 현실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일부 사람들 시각으로 답답할 뿐입니다.
일본애들은 15년전에 일본에서 국가산업으로 밀어서 켈리포니아에 농장을 만들고, 중부에 목장만들어서 일본에서 구매하게 하였습니다.
미국땅에서 농사를 일본애들이 지어서 구매해 간다는데 뭐라고 할말 있나요?
왜 우리는 미리 이렇게 대처하지 못했나요? 스스로 반성하는게 더 진솔돼보인다고 생각합니다.
한예로 소고기를 말해보도록 하죠.
살아있는 소를 수입하여 한국에서 24시간 살아 있는 상태이면 그 후에 도살하면 그것은 한우로 취급한다는 사실 아십니까?
그 한우가 지금 여러분 식탁에 올라가 있다는 사실...한번 되집어 생각해 봅시다.
남미에서 소1마리 가격이 미화로 $100.00입니다. 미국에 도축업자들이 남미의 소를 사서 한국으로 보내서 24시간 뒤에 도축하여 한우로 팔고 있다는 사실...
한번 확인해 보싶시요...쩝
농수산믈의 편법은 그 한계가 무한합니다.
일본애들이 그래서 미국 중부지방에 농장을 매입해서 미국소를 직접 길러서 또는 남미에서 구입하여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그러는 우리는 뭐했나요? 허구헌날 그런일만 있으면 대모하지 않았습니까?
차라리 한국정부에서 미국에 있는 한인동포를 지원해서 일본애들 첨럼 해보던지...
실로 현실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일부 사람들 시각으로 답답할 뿐입니다.
2006.06.07 01:25:02 (*.221.58.235)

자동차를 FTA에 적용해 볼까요?
미국은 FTA를 한다고 해서 현대자동차가 크게 이익볼것은 없습니다. 왜냐면 미국으로 수출은 관세를 우리뿐만 아니라 유럽차종도 비슷하게 적용이 되기 때문에, 단 현대가 말하는 현지 제작의 유리한점이 큰것보다는 미국민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갈수 있따는 점과 국민의 혈세인 세금을 지원받아 회사 규모를 키우는데 좋고 우리국민은 봉됐다는게 진실이죠. 주식 함부로 투자하는것 아닙니다...ㅎㅎㅎ
유럽의 수출은 관세의 장벽을 넘기위해서 SKD조립을 해야 하는 문제로 어쩔수 없이 유럽공장 진출은 해야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않그럼 EU의 관세장벽에 최소 16%이상의 관세를 내야됨으로 경쟁력이 없어지죠..그런데 현실은 그런 유럽에 진출은 적게 하고 미국에 공장을 세우고, 중국에 공장을 세운다 입니다.
중국시장 진출도 현대의 덩치키우기 작전에 국민들만 봉이돼는 현실입니다.
전세계 자동차 업계들이 중국에서 빠져나올라고 지금 발버둥치는데 거기에 공장을 짓는다는둥 회장이 구속이 되서 착공식을 연기한다는둥..ㅎㅎㅎ...말이 됩니까 이게.. 감히 건방지게 국민을 협박하고 있는 꼴이란...
그 공장 다 국민 세금으로 지원받아서 짓는겁니다. 현대돈이 얼마나 들어갔다고 생각하십니까...ㅎㅎ
2002년 이후 한국에 많은 전자 제품업체들이(이레전자, 디지털 디바이스..등등등) 유럽에 SKD로 진출한다고 정부돈 국민세금 빼먹고 지금 다 나가 떨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위의 문제점에 헛점에 빠져서 그런거죠.
일부 수출 제조업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제말은 금방 이해하시리라 믿습니다.
미국은 FTA를 한다고 해서 현대자동차가 크게 이익볼것은 없습니다. 왜냐면 미국으로 수출은 관세를 우리뿐만 아니라 유럽차종도 비슷하게 적용이 되기 때문에, 단 현대가 말하는 현지 제작의 유리한점이 큰것보다는 미국민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갈수 있따는 점과 국민의 혈세인 세금을 지원받아 회사 규모를 키우는데 좋고 우리국민은 봉됐다는게 진실이죠. 주식 함부로 투자하는것 아닙니다...ㅎㅎㅎ
유럽의 수출은 관세의 장벽을 넘기위해서 SKD조립을 해야 하는 문제로 어쩔수 없이 유럽공장 진출은 해야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않그럼 EU의 관세장벽에 최소 16%이상의 관세를 내야됨으로 경쟁력이 없어지죠..그런데 현실은 그런 유럽에 진출은 적게 하고 미국에 공장을 세우고, 중국에 공장을 세운다 입니다.
중국시장 진출도 현대의 덩치키우기 작전에 국민들만 봉이돼는 현실입니다.
전세계 자동차 업계들이 중국에서 빠져나올라고 지금 발버둥치는데 거기에 공장을 짓는다는둥 회장이 구속이 되서 착공식을 연기한다는둥..ㅎㅎㅎ...말이 됩니까 이게.. 감히 건방지게 국민을 협박하고 있는 꼴이란...
그 공장 다 국민 세금으로 지원받아서 짓는겁니다. 현대돈이 얼마나 들어갔다고 생각하십니까...ㅎㅎ
2002년 이후 한국에 많은 전자 제품업체들이(이레전자, 디지털 디바이스..등등등) 유럽에 SKD로 진출한다고 정부돈 국민세금 빼먹고 지금 다 나가 떨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위의 문제점에 헛점에 빠져서 그런거죠.
일부 수출 제조업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제말은 금방 이해하시리라 믿습니다.
2006.06.07 01:34:10 (*.221.58.235)

제가 말이 너무 길어졌습니다..죄송합니다..다음부터는 말을 줄이겠습니다^^
결론은 FTA 협상의 현실은 10년전부터 예고하였고 지금 그 절차를 밝는것 뿐인데 지금와서 추하게 데모를 한다고 해결된다는것은 아닙니다.
현실을 받아들이고 지금이라도 빨리 우리가 그들에게 수익을 낼수 있는 부분을 찾아서 머리를 맞대야 하는것이라는 점입니다.
미국까지 가서 길거리에서 데모하지 말고...
마치 숙제 않하고 숙제 다음에 하게 해달라고 버팅기는 꼴로밖에는 않보인다는 것이죠.
자동차도 마찬가지고 한국 내수시장 죽는다고 엄살부리지 말고 수출을 상대 나라에 더 적극적으로 할수있도록 머리를 싸매고 해결하자는 것입니다.^^
한국 국민해봐야 4천만 조금 넘습니다. 미국 인구 정식통계가 4억입니다. 한대 씩 다 사주고 1대씩 다 사라고 하는 배짱 못부립니까?
그 동안 관랸업계는 우수한 인력 대려다가 뭐했는지 물어 보고 싶습니다.
결론은 FTA 협상의 현실은 10년전부터 예고하였고 지금 그 절차를 밝는것 뿐인데 지금와서 추하게 데모를 한다고 해결된다는것은 아닙니다.
현실을 받아들이고 지금이라도 빨리 우리가 그들에게 수익을 낼수 있는 부분을 찾아서 머리를 맞대야 하는것이라는 점입니다.
미국까지 가서 길거리에서 데모하지 말고...
마치 숙제 않하고 숙제 다음에 하게 해달라고 버팅기는 꼴로밖에는 않보인다는 것이죠.
자동차도 마찬가지고 한국 내수시장 죽는다고 엄살부리지 말고 수출을 상대 나라에 더 적극적으로 할수있도록 머리를 싸매고 해결하자는 것입니다.^^
한국 국민해봐야 4천만 조금 넘습니다. 미국 인구 정식통계가 4억입니다. 한대 씩 다 사주고 1대씩 다 사라고 하는 배짱 못부립니까?
그 동안 관랸업계는 우수한 인력 대려다가 뭐했는지 물어 보고 싶습니다.
2006.06.07 09:19:44 (*.219.0.68)

김성중님, 그라츠 슈타이어 공장 맞습니다. ^^
1945년에도 Jeep을 생산했었던.. 크라이슬러 그룹과 인연이 꽤 깊은 곳이지요.
1945년에도 Jeep을 생산했었던.. 크라이슬러 그룹과 인연이 꽤 깊은 곳이지요.
2006.06.07 10:22:24 (*.232.25.21)

김창호님 말씀 더 길게 해주셔도 됩니다^^ FTA와 현대 관련 좋은 의견 여러모로
도움 많이 됬습니다. 더불어 여러 회원분들의 의견 또한 감사합니다.
사실 FTA 체결 이후에도 시장에 커다란 파란 정도의 위력을 발휘하지는 못 할 것
같다는 생각은 변화가 없습니다만 ... 거창하게 소비자 주권까지는 아니라 하더라도
소비자의 권익이 점차적으로나마 신장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 입니다.
시장 캡파나 구매력 등등에 있어 한국시장이 그렇게 크게 매력이 없는 시장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아직까지 상거래에 임하는 상당수의 업계 종사자들의
마인드가 문제이겠지요
도움 많이 됬습니다. 더불어 여러 회원분들의 의견 또한 감사합니다.
사실 FTA 체결 이후에도 시장에 커다란 파란 정도의 위력을 발휘하지는 못 할 것
같다는 생각은 변화가 없습니다만 ... 거창하게 소비자 주권까지는 아니라 하더라도
소비자의 권익이 점차적으로나마 신장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 입니다.
시장 캡파나 구매력 등등에 있어 한국시장이 그렇게 크게 매력이 없는 시장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아직까지 상거래에 임하는 상당수의 업계 종사자들의
마인드가 문제이겠지요
2006.06.07 14:45:31 (*.98.75.93)
창호님 혹 대선에 나가실 생각이시라면 찍어 드리겠습니다. ^^^
근데 한우는 국내에 외국소 들여다가 6개월인가 키워야 되는거 아닌가요??
근데 한우는 국내에 외국소 들여다가 6개월인가 키워야 되는거 아닌가요??
2006.06.07 15:33:36 (*.55.192.254)

한우와 국내산 소의 차이점 아닌가요? 한우라면, 품종이 한우품종이어야 하는걸로 알고있는데... 국내산이라면 국내에서 도축,처리된 놈이면 전부... 뭐, 그런 CF 아니었는지요? 아직도 제가 제대로 모르나 ? FTA 부분은 서로간 첨여한 생존권 문제로 주장하는 바가 있으니 제가 뭐라 할 말은 없습니다만, "숙제 안해놓구 버팅기는..." 생각은 좀 드네요. 이미 오래전부터 예견된 큰 물결로 작아져만가는 지구촌에서 그 부분만 세계화라는 언어의 부정을 울부짓을수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은 옳고 세계화는 그르다?
이동희님, 제가 제일 먼저 떠오른 크라이슬러가 그런 단점?이 있네요, 브랜드보단 생산국 위주의 관세이다보니... 참, 그래도, 전반적인 시장확대에서 좀 더 접근성있는 가격선으로 재편성 될 소지는 많다고 생각합니다.
이동희님, 제가 제일 먼저 떠오른 크라이슬러가 그런 단점?이 있네요, 브랜드보단 생산국 위주의 관세이다보니... 참, 그래도, 전반적인 시장확대에서 좀 더 접근성있는 가격선으로 재편성 될 소지는 많다고 생각합니다.
2006.06.07 16:51:36 (*.219.0.68)

그래서 지금은 사실 고객들은 영업사원에게 값 언제 내리냐, 얼마나 내릴꺼냐를 물어보고, 영업사원은 아니라고 설명하기 바쁘고.. 북미는 NAFTA로 묶여 있어도 해당이 안되니까 사실 미국내에서 생산하는 차종이 얼마 되지 않는 크라이슬러/짚의 경우는 이런저런 이야기가 나오게 되는 거겠지요.
미국은 국내의 의류를 수입할 때도, 옷을 만드는 천을 어디에서 만들었느냐로 원산지 구별을 요청하고 있답니다. 좀 억지라는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만, 중국에서 만든 천으로 국내에서 옷을 만들었다면 중국산이다.. 라는 논리겠지요.
여튼 공동 합의문 만들고 그에 따라 앞으로 협상이 진행되겠지만, 결과에 따라 그 파장이 만만치 않아 요즘 라디오 광고를 들으면서도 마음이 착찹합니다.
미국은 국내의 의류를 수입할 때도, 옷을 만드는 천을 어디에서 만들었느냐로 원산지 구별을 요청하고 있답니다. 좀 억지라는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만, 중국에서 만든 천으로 국내에서 옷을 만들었다면 중국산이다.. 라는 논리겠지요.
여튼 공동 합의문 만들고 그에 따라 앞으로 협상이 진행되겠지만, 결과에 따라 그 파장이 만만치 않아 요즘 라디오 광고를 들으면서도 마음이 착찹합니다.
그리고 그 8% 말인데요... 세금 계산할때 맨 처음 붙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 이후의 과정은 국산차와 같구요. 간단하게 말해서 판매가의 8%의 아닌 공급원가의 8%라고 봐야죠. 세금 계산하는게 골때리는게 누적되는 형식이더군요.-ㅅ- 붙이고 또 거기다 또 붙이고 또또또 붙이고 덜덜덜;;;
제 생각에는 8%해봐짜 특소세 깍아주는것보다 효과가 미비할 듯...
주: 텤클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