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현대자동차가 2000년 시작했다 중단한 모터 스포츠 사업을 재개하지 않기로 했다. 마케팅 수단으로 연간 수백억원을 들일만한 값어치가 있는지 회의론이 강하게 인데다 최근 경영 공백으로 이를 강력하게 밀고 나갈 리더십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세계 3대 모터 스포츠 대회의 하나인 월드랠리챔피언십(WRC)에 참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6일 밝혔다. 이 대회에 참가하려면 일반 양산 차를 레이싱 카로 개조하고 대회 조직위원회 및 운영 대행사에 수십억원을 지불하는 등 줄잡아 연간 수백억원이 들어간다.
현대차는 올들어 신형 베르나(수출명 엑센트) 개조차로 2002년 그만 둔 모터 스포츠 사업 재개를 준비해 왔지만 결국 내년 대회 참가에 필요한 서류를 대회 조직위에 보내지 않았다. 이에 따라 경주차 개발 관련 태스크포스도 해체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정몽구 회장을 비롯한 최고경영진이 이 사업의 마케팅 효과에 의구심을 가진 게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2000년 베르나 개조차로 WRC에 처음 참가했으나 성적은 줄곧 하위권에 머물렀다. 최고경영진은 투자 대비 효과가 신통치 않다는 점 등을 들어 2002년 대회 참가를 중단했다. 당시 현대차는 영국의 모터 스포츠 회사인 GSD와 3년 계약을 해 WRC 관련 업무를 대행케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WRC 참가에는 막대한 경비가 소요돼 최고경영진의 의지가 중요한데 현재로선 부정적이어서 상당 기간 대회 복귀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스포츠마케팅부와 연구소에서 하던 WRC 관련 프로젝트도 사실상 중단됐다. 현대차는 WRC 뿐 아니라 세계 모터 스포츠의 최고봉으로 불리는 포뮬러 원(F1) 에 참가할 것을 검토해 왔지만 2010년 이후로 미루기로 했다. F1에 참가하려면 연간 2000억원 이상의 예산이 드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도요타는 '글로벌 빅5' 완성차 업체 가운데 가장 늦은 2002년 F1에 뛰어들었다. 4년째 레이스 성적은 중하위권이지만 'F1 마케팅'에 힘입어 북미에 비해 부진했던 유럽에서 판매 증대 효과를 본 것으로 자체 평가하고 있다.
모터 스포츠 전문가인 이승우씨는 "명실공히 세계 5대 자동차 업체가 되는데는 모터 스포츠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WRC란=유럽 10여 개국과 일본.호주 등 16개국에서 매년 열리는 자동차 경주대회다. 거의 1년 내내 전용 서킷이 아닌 일반 포장.비포장 도로를 달리는 경주가 나라를 돌아가며 열린다. 2000㏄ 미만에 연간 2만5000대 이상 생산하는 일반 차를 개조해 경주를 한다. 이 때문에 양산 차의 성능 시험장으로 불린다. 경주차에는 운전자.보조운전자가 탑승한다. 최고 300마력, 250㎞/h까지 낼 수 있다. 급격한 커브 코스가 많아 차체가 크면 불리해 베르나 정도의 소형차급이 대부분이다. 포드.푸조.수바루.혼다.스코다(폴크스바겐 그룹) 등이 참가한다.
출처 : 중앙일보
2006.06.08 17:41:18 (*.152.36.224)

오늘 신문봤더니 JD평가인가 뭔가에서 1등인가 했다던데 뭐 더이상 이런 것 나갈 필요 없겠죠. 신기술개발에는 관심 없다는 이야긴가보네요.
그나저나 왜 자꾸 가격은 오르는거지? 뭤땜에?
그나저나 왜 자꾸 가격은 오르는거지? 뭤땜에?
2006.06.08 21:33:34 (*.119.172.114)

그러게요 시대에 역행하는것인데 레이스를위한 개발이 양산차를 위한 개발의 초석이 되는걸 모르는건지.....드디어 망할때가 되었는가봅니다 (언론에서 이런거나 좀 꼬집어주지.....)
2006.06.09 09:59:56 (*.159.251.250)

경영진도 물론 그렇거니와, 전반적으로 차를 만드는 철학 자체의 유무도 큰 변수가 되겠네요. 너무 단기적인 이익만 추구하는건 아닌지 반성해봐야 하지 않나 합니다.
역시 MADE IN KOREA로 전략하는건가요...T-T
물론, 그룹내의 현실적인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겠지만, 꾸준한 끈기가 없는 모습이 맥이 빠지네요.
현대의 모터스포츠에 대한 약진이 참 반갑고 자랑스러웠는데...
역시 MADE IN KOREA로 전략하는건가요...T-T
물론, 그룹내의 현실적인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겠지만, 꾸준한 끈기가 없는 모습이 맥이 빠지네요.
현대의 모터스포츠에 대한 약진이 참 반갑고 자랑스러웠는데...
2006.06.09 12:09:59 (*.60.0.23)
현대는 삼류 메이커로 전락하는건가? 후광효과를 모르는 메이커인지 고만고만한 차를 팔겠다는 분수에 맞는 행동이라고 할지. 판단 유보. 어쨌든 도요타 따라잡기는 글렀군요.
2006.06.09 13:51:31 (*.35.74.68)

현대가 유럽-특히 영국, 독일 등-처럼 뿌리깊은 바퀴문화를 가진 지역에서 더 좋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들의 정서를 자극할 수 있는 차를 만들어야 합니다. 물론 현지 연구소도 있고, 세일즈도 현지에서 책임지고 있고, 소비자들로부터 피드백 받은 것도 열심히 반영하고 있겠습니다만... 작은(?) 돈 아꼈다가 오랫동안 벌이 늘일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2006.06.09 15:50:23 (*.41.156.4)

구 기아가 그리워 집니다. 모터스포츠 전담부서까지 설치하고 모터스포츠에 열정을 보인 회사였었는데.....엔지니어의 기아 ㅜㅜ;;
2006.06.09 16:40:10 (*.192.187.141)

현대가 WRC에 복귀할 의사가 없다는건 오래전부터 공공연한 사실이였는데 새삼스러울것도 없죠. 아무런 준비없이 "내일부터 WRC참가합니다.."라고 하는게 아니니까.. 어차피 복귀할 생각이 없었는데 그걸 경영공백 때문이니 뭐니 핑계대면서 이런 기사를 내보내는건 많이 가증스럽네요... ㅡ.ㅡ;
2006.06.09 19:25:08 (*.238.254.4)

유럽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모터스포츠가 필수이나, 요즘 일본차들도 관심이시들시들 해지는 것 같습니다.
80년중반에서 90년대 중반까지는 자사의 메이커를 유럽에 등극시키기 위한 최대한 수단으로 삼았는데..
BMW M3, Ford Escort Cosworth RS등..그 밖에 많은 차량들로 인하여 자사제품의 내구성등 많은 부분을 검증 및 광고효과를 볼수 있었는데...
그 시절이 그립네요..그당시 아버지가 유럽에 가시면 DTM, BTCC경기 장면 비디오테입 사오시면 보던때가 얻그제 같은데...
80년중반에서 90년대 중반까지는 자사의 메이커를 유럽에 등극시키기 위한 최대한 수단으로 삼았는데..
BMW M3, Ford Escort Cosworth RS등..그 밖에 많은 차량들로 인하여 자사제품의 내구성등 많은 부분을 검증 및 광고효과를 볼수 있었는데...
그 시절이 그립네요..그당시 아버지가 유럽에 가시면 DTM, BTCC경기 장면 비디오테입 사오시면 보던때가 얻그제 같은데...
2006.06.09 20:37:49 (*.122.100.153)

현대는 원래 기술추구보다는 상품성을 추구하죠. 도요타랑 비슷.. 내수시장이나 미국시장에서는 그걸로 충분할 듯. 상품성 높고 내구성 좋은 차가 잘 팔리니까요. 매니아 입장에선 구 닛산, 혼다, 구 기아 등의 성향을 반기나, 기술추구와 수익성과의 조화는 어려운 문제죠. 절대 무리를 하지 않는 혼다 외에 기술추구 메이커는 모두 경영위기에 봉착한 듯.
2006.06.11 00:47:06 (*.127.196.100)
이러니 냉장고차니 세탁기자동차니 하는 소리가 나오는것이지요 뭐라 할말이 없습니다 끝까지 기술은 남이 만든거 따라하고 야금야금 판매대수만 늘려보겠다는 속셈입니다 어떻게 보면 비정한 똑똑한 선택이고 어떻게 보면 정말 어이없는 생각이지요 결과는 판매대수가 말해줄테니...
2006.06.11 02:20:22 (*.207.22.200)

기술보다 상품과 마케팅에 우위를 두고 있는 그 도요타가 유럽에서 죽을둥 살둥해도 브랜드 인지도와 마켓쉐어확대가 지지부진하니까..결국 년간 수천억원을 들여서 F1에 진출했죠. 아마 현지 시장의 마케팅상황이 도요타와 비슷해지면..."아..이거 이래서 해야겠구나"하는 생각을 다시 가지게 될 겁니다. 물론 그때는 더 큰 대가를 치뤄야겠지만요.. 현대/기아의 모습은..마치 작금의 국방현실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드는데..섬나라나 짱께애들 군비증강하면서 항모에 이지스함대를 구축하고, 여튼 엄청나게 돈 들이며 노력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우리도 손놓고 있을수는 없고...위쪽애들 생각하면 마냥 해/공군전력만 증강하기도 어렵고...현대/기아가 흑자규모가 1~2조 수준으로 이익이 적은 회사는 아닙니다만, R&D 비용(인원충원까지..포함해서)은 여전히 경쟁사에 비해 낮은데다가, 쏟아부어야할 곳은 많기만하고, 노조다스리기로 성과배분도 해야하고, 이런저런 위기를 대비해 잉여금도 남겨야하고, 사실 요즘 회사 돌아가는 모습으로는 모터스포츠가 후순위로 밀리는것도 아주 이해안되는바는 아닙니다... 근데..이런말있쟌습니까..운동이란게 시간남을때 하는게 아니고, 시간을 내서 하는거라고......불확실할때 R&D에 전력을 더 기울여야하듯...모터스포츠도 그런개념으로 접근해야할 것 같은데..뭐 내부적으로 어떤 복잡한 문제가 있어서 그런지는 잘 모르기때문에..걍 이런 원론적인 수준의 아쉬움만 토로해봅니다...아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