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VW, AUDI차량의 오일 규약을 정리합니다.
tdiclub에 올렸던 내용인데, tdi뿐만 아니라 타사 개솔린엔진 차량과도 관계가 있을 수 있는 내용인 것 같아 다시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자동차용 오일 규격의 역사(?)
아시다시피, SAE, API 등급은 미국주도의 오일 등급입니다. 유럽주도의 오일등급은 ACEA 등급입니다. SAE, API등급보다 ACEA등급이 더 요구조건이 까다롭고 그 결과 오일의 제조단가도 올라가게 됩니다.
특히 ACEA등급은 고부하,고rpm엔진에 맞춰 증발량, 전단안정성, 고온/고전단력하에서의 점도특성 등을 추가로 요구합니다.
그러므로 일본,미국,한국차와 달리 유럽 자동차용 오일은 꼭 ACEA등급을 참조해야 합니다.
그런데, 유럽 13개 자동차업체의 최소규약인 ACEA규약에 추가로 몇가지 특화된 특성을 요구하는 메이커들(BMW,BENZ,PORSCHE,SAAB,VAG)은 그러한 이유로 ACEA규격에 추가로 자사만의 오일규격을 요구하게 됩니다.
VW/AUDI 오일 규격
ACEA 요구 등급에 추가하여 폭스바겐은 자체 규격을 만들었는데, 최근까지 4세대로 발전해 왔습니다.
502.00(개솔린)/505.00(디젤)
ACEA A2/A3, B2/B3 규격과 거의 같은 오일요구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0년 이전 차종에서 요구되는 스팩입니다. 국내 판매되는 대부분의(99%) 국산,수입 합성유가 이 등급입니다. 이 윗등급은 거의 수입되지 않고 있습니다.
503.00/506.00 (앞에것은 개솔린용, 뒤의것은 디젤용. 보통 한 오일이 개솔린/디젤 두가지 규격을 모두 만족시킴)
2000년 이후 출시된 차종용으로서 여러가지 다른 특성은 유지시키면서도 viscosity를 thinner하게 하여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최대 10%까지)시키고, 오일교환주기를 개솔린 30,000Km, 디젤 50,000Km로 연장시킨 규격입니다.
HTHS(High temp. High sheer) viscosity 수치를 2.9까지 내렸는데, 여기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503.01/505.01 5w-40
그러나 중간에 위의 503,506 규약의 결함이 생겨 이후에 503.01/505.01 오일이 "임시방편"으로 나오게 됩니다.
FSI 터보 엔진, PD가 장착된 TDI 엔진같이 엔진 내부에 기존 엔진보다 higher stress를 받는 상황을 보호하고자 급히 만들어진 규약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505.01은 506.00에 비해 high stress상황에서의 엔진보호능력을 향상시켰으나 506의 연비향상, 수명 연장 기능을 포기함으로서 달성한 규격입니다. 그런데, 이렇듯 임시방편으로 나온 오일이어서인지, 개솔린용, 디젤용의 규약이 이 규격에서 섞여버려서(?) 일부 개솔린차종에도 505.01이 필수 요구조건으로 채택되어집니다. AUDI RS6같은 고성능 터보엔진 차종은 개솔린 엔진임에도 505.01규격을 요구합니다.
503.01/506.01
이렇듯, 기존 503,506 오일의 장점에 추가로 최신엔진의 고부하시 엔진 보호 기능을 보강한 오일규약입니다. 즉, ".01"이 의미하는 것은 high stress 환경에서의 엔진보호기능의 임시적인 추가 입니다. 504/507 규격 이후로는 기본 스팩에서 달성되어 없어집니다. 보통 503.01 오일이 506.01도 같이 만족하지 않고 제품이 따로 구분됩니다.
504.00/507.00
가장 최신 규약으로서, 503.01/506.01의 규격에 유럽의 최신 배기가스제한법을 맞추기 위해 나온 오일입니다. SAP(sulfur, Ashes, Particles)배출을 최소화하여 촉매와 DPF의 성능저하를 예방하여 유럽 배기가스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연비향상측면에서의 요구조건이 503.01/506.01보다 약하여 연비 향상 성능에 있어서는 503.01/506.01보다 떨어진다고 합니다.
미국에서의 사례
미국에서는 VW와 AUDI의 워런티를 연장하고, 고객에게 longlife 관리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503, 506 오일을 제공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이들 503, 506 오일이 HTHS 점도가 낮아 엔진데미지가 발생하자 급히 505.01 오일로 대체하게 되는데, 이게 505.01로 대체하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왜냐하면, 503.506 오일은 longlife오일인데 505.01은 일반 교환주기 오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5년 워런티를 줄 경우, 506오일은 2~3번 무상 교환하여 주면 되지만 505.01은 4~6번 오일교환이 필요한 것이죠. 때문에 미국시장에서는 VWA와 AUDI-A 에게 꽤 큰 재정적 손실과 이미지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505.01로 급히 변경한 것은 그만큼 505.01 오일을 사용해야 하는 급박한 기술적인 이유가 있었기 때문으로 파악됩니다.
[질문] TDI에 505.01 이상급 오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어떤 일이 생기나?
HTHS (High Temperature High Shearing)환경에서 오일의 점도저하와 전단 - 즉 보호해야 할 금속 표면에 오일이 점도를 갖고 얇게 퍼져 있는 상태에서 끊어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일이 전단되었다는 의미는 보호해야 할 금속표면이 오일로 보호되지 못하고 그대로 노출됨을 의미합니다. 점도가 높을수록 오일의 전단현상이 덜생기지만, 더 작고 복잡한 형상과 정밀하게 밀착된 금속 표면에 더욱 얇게 퍼지지는 못하기 때문에 점도를 유지하면서도 전단현상을 막는것은 매우 높은 오일기술력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오일의 전단현상에 가장 쉽게 피해가 갈 수 있는 parts는 cam lube와 valve lifter, PD parts 의 wearing 입니다.
[질문] 가격과 연비향상 등을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목표를 "엔진보호"에만 두었을 때 505.01 오일이 좋은가? 506.01 오일이 좋은가?
결론적으로 답변하면, 506.01 오일이 좋습니다. 두 규격사이엔 5~8년 정도의 기간적인 차이가 있었습니다.
[질문] 왜 국내판매 5세대 GOLF GTI에는 매뉴얼에 502.00 오일이 요구되어지고 있는가?
국내판매 GTI는 미국버전 차량이며, 미국시장도 아직 유럽 규격오일이 시장에서 흔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는 상황을 감안하여 "어쩔 수 없이" 502.00을 요구조건으로 under spec. 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더 고부하엔진인 아우디RS6등엔 505.01오일을 꼭 사용할 것을 "경고"까지 하고 있습니다. 미국시장도 아직 505.01 이상급 오일을 시장에서 구입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때, GTI 오너라면 505.01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애마를 위한 최선의 선택으로 보여집니다.
[질문] GOLF FSI 에는 어느 오일이 추천되어지는가?
GTI용 오일 이슈와 같은 이유로 최소 505.01 오일 이후 출시된 오일등급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다만, 권장이고 필수내지는 강력 권장까지는 아닙니다. 매뉴얼에 보면, 일반교환주기, 롱라이프 교환주기 모두 504.00 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최상의 오일은 504.00/507.00 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질문] VW 페이튼 V6 TDI에 맞는 오일은?
504.00/507.00 오일은 VW의 모든 아래등급 오일의 스팩을 만족시킵니다. 그러므로 현 시점에서 모든 50x.xx오일은 504.00/507.00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만, 딱 하나의 예외가 있습니다.
5기통 2.5L TDI, V6 3L TDI, V10 5L TDI는 507.00이 아닌 506.01 오일을 사용하도록 매뉴얼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일례로 페이튼 TDI의 매뉴얼에 명시된 오일은 일반 교환주기일때 505.01, longlife 교환주기용 506.01 이고, 507.00은 권장되지 않는다고 하고 있습니다.
[질문] 모든 TDI 차량에는 507.00 오일을 사용하면 최선의 선택인가?
"환경"과 "배기가스"문제를 제외하면 506.01 오일을 사용하는것이 최선의 선택으로 보여집니다.
DPF장착 차종은 무조건 507.00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만 예외의 경우는 5L V10 TDI와 3L V6 TDI 인데, 이들 차종은 매뉴얼에 507.00이 아닌 506.01만을 사용할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페이튼 TDI는 506.01 오일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질문] DPF가 없는 TDI에 506.01 이 좋을까? 507.00 이 좋을까?
이 부분은 아직 정리가 덜 된 부분 같습니다. 506.01 오일이 연비향상에는 507.00보다 좋을것으로 예상되나 그 외의 다른 오일의 특성이 506.01 이 좋은가 507.00 이 좋은가? 에 대해서는 아직 쉽게 결론을 내기 어려을 것 같습니다. 507규격이 더 최신 규격이기는 하지만, 두 규격사이의 기간적 차이가 2~3년 정도로 짧고, 507규격이 EURO-4를 힘들게(?) 맞추기 위해 나온 규격임을 감안할 때, 엔진보호와 연비 등의 오일의 주임무(?)에 있어서는 506.01이 더 좋을 가망성이 있습니다.
[질문] 507.00이 505.01보다 연비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506.01은 분명 연비향상목적이 추가된 오일입니다만, 507.00도 505.01보다는 thinner viscosity로 동급이상의 엔진보호성능과 함께 연비향상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질문] GOLF TDI, JETTA TDI, PASSAT TDI는 어떤 오일이 추천되어지는가?
DPF장착 차량이라면 무조건 507.00 입니다.
DPF 미 장착 차량이면, 505.01, 506.01, 507.00 중에 골라야 하는데,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저라면 506.01 을 선택하고 싶습니다.
2006년 6월 현재 505.01, 504.00/507.00 오일은 국내 구입이 가능하나, 503.01, 506.01 오일은 국내에 수입된 상품이 한가지도 없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tdiclub에 올렸던 내용인데, tdi뿐만 아니라 타사 개솔린엔진 차량과도 관계가 있을 수 있는 내용인 것 같아 다시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자동차용 오일 규격의 역사(?)
아시다시피, SAE, API 등급은 미국주도의 오일 등급입니다. 유럽주도의 오일등급은 ACEA 등급입니다. SAE, API등급보다 ACEA등급이 더 요구조건이 까다롭고 그 결과 오일의 제조단가도 올라가게 됩니다.
특히 ACEA등급은 고부하,고rpm엔진에 맞춰 증발량, 전단안정성, 고온/고전단력하에서의 점도특성 등을 추가로 요구합니다.
그러므로 일본,미국,한국차와 달리 유럽 자동차용 오일은 꼭 ACEA등급을 참조해야 합니다.
그런데, 유럽 13개 자동차업체의 최소규약인 ACEA규약에 추가로 몇가지 특화된 특성을 요구하는 메이커들(BMW,BENZ,PORSCHE,SAAB,VAG)은 그러한 이유로 ACEA규격에 추가로 자사만의 오일규격을 요구하게 됩니다.
VW/AUDI 오일 규격
ACEA 요구 등급에 추가하여 폭스바겐은 자체 규격을 만들었는데, 최근까지 4세대로 발전해 왔습니다.
502.00(개솔린)/505.00(디젤)
ACEA A2/A3, B2/B3 규격과 거의 같은 오일요구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0년 이전 차종에서 요구되는 스팩입니다. 국내 판매되는 대부분의(99%) 국산,수입 합성유가 이 등급입니다. 이 윗등급은 거의 수입되지 않고 있습니다.
503.00/506.00 (앞에것은 개솔린용, 뒤의것은 디젤용. 보통 한 오일이 개솔린/디젤 두가지 규격을 모두 만족시킴)
2000년 이후 출시된 차종용으로서 여러가지 다른 특성은 유지시키면서도 viscosity를 thinner하게 하여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최대 10%까지)시키고, 오일교환주기를 개솔린 30,000Km, 디젤 50,000Km로 연장시킨 규격입니다.
HTHS(High temp. High sheer) viscosity 수치를 2.9까지 내렸는데, 여기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503.01/505.01 5w-40
그러나 중간에 위의 503,506 규약의 결함이 생겨 이후에 503.01/505.01 오일이 "임시방편"으로 나오게 됩니다.
FSI 터보 엔진, PD가 장착된 TDI 엔진같이 엔진 내부에 기존 엔진보다 higher stress를 받는 상황을 보호하고자 급히 만들어진 규약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505.01은 506.00에 비해 high stress상황에서의 엔진보호능력을 향상시켰으나 506의 연비향상, 수명 연장 기능을 포기함으로서 달성한 규격입니다. 그런데, 이렇듯 임시방편으로 나온 오일이어서인지, 개솔린용, 디젤용의 규약이 이 규격에서 섞여버려서(?) 일부 개솔린차종에도 505.01이 필수 요구조건으로 채택되어집니다. AUDI RS6같은 고성능 터보엔진 차종은 개솔린 엔진임에도 505.01규격을 요구합니다.
503.01/506.01
이렇듯, 기존 503,506 오일의 장점에 추가로 최신엔진의 고부하시 엔진 보호 기능을 보강한 오일규약입니다. 즉, ".01"이 의미하는 것은 high stress 환경에서의 엔진보호기능의 임시적인 추가 입니다. 504/507 규격 이후로는 기본 스팩에서 달성되어 없어집니다. 보통 503.01 오일이 506.01도 같이 만족하지 않고 제품이 따로 구분됩니다.
504.00/507.00
가장 최신 규약으로서, 503.01/506.01의 규격에 유럽의 최신 배기가스제한법을 맞추기 위해 나온 오일입니다. SAP(sulfur, Ashes, Particles)배출을 최소화하여 촉매와 DPF의 성능저하를 예방하여 유럽 배기가스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연비향상측면에서의 요구조건이 503.01/506.01보다 약하여 연비 향상 성능에 있어서는 503.01/506.01보다 떨어진다고 합니다.
미국에서의 사례
미국에서는 VW와 AUDI의 워런티를 연장하고, 고객에게 longlife 관리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503, 506 오일을 제공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이들 503, 506 오일이 HTHS 점도가 낮아 엔진데미지가 발생하자 급히 505.01 오일로 대체하게 되는데, 이게 505.01로 대체하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왜냐하면, 503.506 오일은 longlife오일인데 505.01은 일반 교환주기 오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5년 워런티를 줄 경우, 506오일은 2~3번 무상 교환하여 주면 되지만 505.01은 4~6번 오일교환이 필요한 것이죠. 때문에 미국시장에서는 VWA와 AUDI-A 에게 꽤 큰 재정적 손실과 이미지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505.01로 급히 변경한 것은 그만큼 505.01 오일을 사용해야 하는 급박한 기술적인 이유가 있었기 때문으로 파악됩니다.
[질문] TDI에 505.01 이상급 오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어떤 일이 생기나?
HTHS (High Temperature High Shearing)환경에서 오일의 점도저하와 전단 - 즉 보호해야 할 금속 표면에 오일이 점도를 갖고 얇게 퍼져 있는 상태에서 끊어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일이 전단되었다는 의미는 보호해야 할 금속표면이 오일로 보호되지 못하고 그대로 노출됨을 의미합니다. 점도가 높을수록 오일의 전단현상이 덜생기지만, 더 작고 복잡한 형상과 정밀하게 밀착된 금속 표면에 더욱 얇게 퍼지지는 못하기 때문에 점도를 유지하면서도 전단현상을 막는것은 매우 높은 오일기술력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오일의 전단현상에 가장 쉽게 피해가 갈 수 있는 parts는 cam lube와 valve lifter, PD parts 의 wearing 입니다.
[질문] 가격과 연비향상 등을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목표를 "엔진보호"에만 두었을 때 505.01 오일이 좋은가? 506.01 오일이 좋은가?
결론적으로 답변하면, 506.01 오일이 좋습니다. 두 규격사이엔 5~8년 정도의 기간적인 차이가 있었습니다.
[질문] 왜 국내판매 5세대 GOLF GTI에는 매뉴얼에 502.00 오일이 요구되어지고 있는가?
국내판매 GTI는 미국버전 차량이며, 미국시장도 아직 유럽 규격오일이 시장에서 흔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는 상황을 감안하여 "어쩔 수 없이" 502.00을 요구조건으로 under spec. 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더 고부하엔진인 아우디RS6등엔 505.01오일을 꼭 사용할 것을 "경고"까지 하고 있습니다. 미국시장도 아직 505.01 이상급 오일을 시장에서 구입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때, GTI 오너라면 505.01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애마를 위한 최선의 선택으로 보여집니다.
[질문] GOLF FSI 에는 어느 오일이 추천되어지는가?
GTI용 오일 이슈와 같은 이유로 최소 505.01 오일 이후 출시된 오일등급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다만, 권장이고 필수내지는 강력 권장까지는 아닙니다. 매뉴얼에 보면, 일반교환주기, 롱라이프 교환주기 모두 504.00 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최상의 오일은 504.00/507.00 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질문] VW 페이튼 V6 TDI에 맞는 오일은?
504.00/507.00 오일은 VW의 모든 아래등급 오일의 스팩을 만족시킵니다. 그러므로 현 시점에서 모든 50x.xx오일은 504.00/507.00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만, 딱 하나의 예외가 있습니다.
5기통 2.5L TDI, V6 3L TDI, V10 5L TDI는 507.00이 아닌 506.01 오일을 사용하도록 매뉴얼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일례로 페이튼 TDI의 매뉴얼에 명시된 오일은 일반 교환주기일때 505.01, longlife 교환주기용 506.01 이고, 507.00은 권장되지 않는다고 하고 있습니다.
[질문] 모든 TDI 차량에는 507.00 오일을 사용하면 최선의 선택인가?
"환경"과 "배기가스"문제를 제외하면 506.01 오일을 사용하는것이 최선의 선택으로 보여집니다.
DPF장착 차종은 무조건 507.00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만 예외의 경우는 5L V10 TDI와 3L V6 TDI 인데, 이들 차종은 매뉴얼에 507.00이 아닌 506.01만을 사용할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페이튼 TDI는 506.01 오일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질문] DPF가 없는 TDI에 506.01 이 좋을까? 507.00 이 좋을까?
이 부분은 아직 정리가 덜 된 부분 같습니다. 506.01 오일이 연비향상에는 507.00보다 좋을것으로 예상되나 그 외의 다른 오일의 특성이 506.01 이 좋은가 507.00 이 좋은가? 에 대해서는 아직 쉽게 결론을 내기 어려을 것 같습니다. 507규격이 더 최신 규격이기는 하지만, 두 규격사이의 기간적 차이가 2~3년 정도로 짧고, 507규격이 EURO-4를 힘들게(?) 맞추기 위해 나온 규격임을 감안할 때, 엔진보호와 연비 등의 오일의 주임무(?)에 있어서는 506.01이 더 좋을 가망성이 있습니다.
[질문] 507.00이 505.01보다 연비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506.01은 분명 연비향상목적이 추가된 오일입니다만, 507.00도 505.01보다는 thinner viscosity로 동급이상의 엔진보호성능과 함께 연비향상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질문] GOLF TDI, JETTA TDI, PASSAT TDI는 어떤 오일이 추천되어지는가?
DPF장착 차량이라면 무조건 507.00 입니다.
DPF 미 장착 차량이면, 505.01, 506.01, 507.00 중에 골라야 하는데,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저라면 506.01 을 선택하고 싶습니다.
2006년 6월 현재 505.01, 504.00/507.00 오일은 국내 구입이 가능하나, 503.01, 506.01 오일은 국내에 수입된 상품이 한가지도 없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