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http://blog.naver.com/aruspex/110085155322 에서 더욱 자세한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번에 태백에서 '모터스포츠 매니아 페스티벌'이라는, 기존의 금호타임트라이얼 경기가 이름이 바뀌고 메인 스폰서가 바뀌면서(그네들 말로는 한국타이어라곤 하는데...) 태백서킷 주관으로 열렸습니다.
팀에서 7대(그중 한대는 테드회원이기도 한 최원제군 & RX-7)가 출전하면서 토요일에 미리가서 연습주행을 했는데, 저는 일요일 경기날에는 Press로 촬영을 하면서, 토요일 연습주행에는 참가했습니다.
예전부터 관심있던 스마트폰에 Racechrono를 깔아서 주행데이터 분석을 하기위해 얼마전 노키아의 5800모델을 중고로 하나 구입을 했습니다. Racechrono라는 프로그램이 노키아의 심비안OS용으로만 나오다가, 얼마전부터 윈도모바일용으로도 포팅이 되었던데, 어차피 전화기로 개통은 하지않고 그냥 프로그램만 돌릴 생각이라 공기계만 하나 구입했죠.
거기에 1초에 한번 갱신되는(1hz) 내장GPS보다는,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외장GPS(5hz펌웨어 개조)도 같이 구입을 했습니다.
왼쪽이 펌웨어개조를 통해 1초당 5번의 갱신(5hz)을 하는 외장형 블루투스 GPS
오른쪽이 Racechono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노키아의 5800 스마트폰입니다.
대시보드에 GPS를 붙여놓고, 휴대폰은 대충 차 안 아무대나 놓고(나중에 떨어져서 굴러다니다가 시트밑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주행데이터 저장을 했습니다. 실시간 랩타이머 기능도 가능한데, 거치할 곳을 못찾아서 그 기능은 못써봤군요.
저장된 주행데이터가 오른쪽에 보이는군요. 1분 13초대가 제가 달린것이고 1분8초대의 데이터는 최원제군이 일요일 경기때 달렸던 데이터입니다. 180km/h 리미트가 걸린 RX-7으로 태백서킷 4타임만에 8초대를 뽑는군요....;;
왼쪽은 제가 달렸던 랩타임들을 일목요연하게 볼수있습니다. 편차가 매우 큰것은, 경기 전날이라 차가 많아서 상당한 길막이 있었습니다. 거기에 연료부족으로 우코너에서 퓨얼컷이 걸리면서 가속이 안되는 상황들도 후반에 발생했구요;
오른쪽은 서킷맵과 가감속 그래프의 연동입니다. 제 주행에선 1번코너가 가장 문제가 심각한것으로 나왔네요.
브레이크를 좀더 빨리 잡고 CP를 멀리잡고 엑셀을 오래밟아야 한다는것을 보여주는군요...
(굵은선이 현재 랩, 얇은선이 베스트랩입니다)
사용결과는 굉장히 만족스러웠습니다. 일일이 동영상 편집기에서 블럭잡아가며 랩타임 잴 필요도 없었고, 주행한 데이터를 보면서 고쳐야될 점들을 빠르게 파악할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Racechrono2avi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저장된 데이터를 동영상에 합친겁니다.
Racechrono2avi로 뽑은 데이터의 영상화일이 주행영상과 약간 싱크가 안맞던데, 뭐가 문제인지 참;;;;;
작년 11월 1분 13초 490이후로 베스트랩이군요.
1번코너 하나만으로 랩타임이 엄청난 차이를 보이는지라, 이거 하나 알게 된것으로 만족입니다.
영상의 차종은 93년식 마쯔다 유노스 로드스터 1600cc MT.
타이어는 한국V12evo입니다.

전 Sirf3 칩이 들어갔다는 GB-P100(중고가 5~7만원선 스마트폰)을 오늘 수령했습니다. 저도 써보고 리포팅 하지요 ^^
게다가 5800이 무약정 3개월 유지 조건으로 풀린 덕분에 그것도 하나 주문했구요. 물론 블투 GPS모듈은 따로 구입하는게 좋다는 평이 많더군요. 5800이 a-gps는 그나마 나은데 GPS 단독으로는 별로라는 평이 있어서..
전 고갯길에서 써볼려고 하는데 DATA로깅이 어려울까 싶긴합니다. ㅎㅎ
원보님, 혹시 각자의 프레임수가 다른게 아닐런지요? 가끔가다 프레임수가 틀리면 약간 차이가 나더라구요. 프레임수랑 코덱을 맞춰서 해보면 어떨까요?
캠코더는 NTSC라 29.97fps이고, racechrono2avi는 10fps더군요. 그런데 베가스나 프리미어에서 다른트랙으로 쓸때는 프레임차이는 별 상관이 없어서 그쪽은 아닌것같습니다.
아무래도 racechrono2avi는 play되고있는 화면을 실시간 캡쳐하는 방식이라(다른 화면 넘어가면 생성된 .avi화면에 그 다른 화면이 나오더군요-_-;;;) 컴퓨터의 클럭동기화에 영향을 받는것 같습니다..
그냥 편집프로그램의 Stretch 기능을 써서 어떻게든 맞춰봐야겠네요-_-
세션에 이름을 한글로 하시면 PC 에서 DriftTool 이라는 free 프로그램으로 읽어들여 더 세부적인 분석을 할때 오류가 뜨더군요.. 다운받은 파일을 edit 로 직접열고 한글부분만 수정하시면 이상없이 동작하네요... TI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