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먼저 업체 홍보가 아님을 알립니다.
사진 상의 제품 제조 또는 판매 업체와 하등 관계가 없으며
단지 저도 장착 해보고 싶기에...-.-
먼저 경험이 있으신 회원분들 게시면 조언을 좀 부탁드립니다.
1) PC 발열 해결 문제
2) 차량 시동 시 자동 on/off 인지 선택 on/off 가능한지
3) 내장 랜 수신율(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면)
4) 터치 스크린 사용 여부
5) 외장 메모리 슬롯 구비 여부
대략 위 정도 기능 구현이 되는지요
2006.06.22 14:16:10 (*.94.1.34)
저도 잘은 모르지만요.... 내장랜 수신률은... 인터넷 사용이 안될것같구요..(아직 길에 다니면서 인터넷하려면 핸드폰밖에는 안되구요... Nespot 지역이나 anyway 지역이 일부에 국한되구요.... 현재 진행중인 Wibro 서비스가 제공되면.. 가능은하겠지만.. 이 역시 차의 속도가 올라가면 끊어지는 문제가 있구요.... 고로.. 인터넷은 안될것 같은데요..^^
2006.06.22 14:43:46 (*.148.24.192)

내장랜이라 하면 본체 내장된 무선랜 스팩을 말씀하실텐데, 무선랜은 장착만 되어 있으면 요즘 기계에 따라 수신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차를 타고 무선랜이 되는 지역안에 들어가 앉아 사용하게 될일이 아직까지는 아주 크게 없습니다.차에 피씨가 아예 들러 붙어 있다면 더더욱 그렇고, 그나마 착탈이 된다면 떼어들고 좀더 잘잡히는 곳에 가서 인터넷사용이 됩니다. 무선랜이 되는 곳은 관공서, 고속도로 휴게소의 안내센터 일부, 강남역 등의 와이드 네스팟죤 등이며, 공개형 ADSL 네스팟 AP기가 설치된 아무 가정이나 은행 등의 시설에서 자신의 네스팟 아이디로 사용 가능합니다. 네비게이션 중에 맵피는 이러한 대/소규모의 네스팟죤을 찾아주는 기능이 있어서 저는 노트북으로 간혹 아주 유용하게 사용합니다. ("앗, 저기 신한은행에 설치되어 있다고 나오는군. 차를 옆에 가까이 대고 한번 시도해볼까. 앗 겨우겨우 잡히네 간신히 쓸수 있겠군. 안잡히면 노트북 들고 들어가서 사용하면 되지뭐" 이런식이죠)
핸드폰 연결 접속도 가능한데, 기본적으로 모뎀속도로 접속하는 것이어서 느린것을 참고 써야하며, 패킷 사용료도 너무 만만치 않게 나와서 아주 긴박한 상황 아니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핸드폰 연결 접속도 가능한데, 기본적으로 모뎀속도로 접속하는 것이어서 느린것을 참고 써야하며, 패킷 사용료도 너무 만만치 않게 나와서 아주 긴박한 상황 아니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2006.06.22 16:14:08 (*.93.5.45)
저도 차량용 AV 시스템에 관심이 많아 이것저것 해보다 카 PC로 정착한 경우인데요. 내장형은 깔끔하긴 하지만, 여러모로 한계가 있습니다. 제가 추천해 드리고 싶은 것은 UMPC, 그 가운데 윗분이 추천한 삼성 Q1입니다. Q1이 좋은 것은 자동차 전용 거치대도 제공하고, 아답터도 그대로 쓸 수 있다는 거죠. 또 전용 내비게이션도 판매합니다. (물론 맵은 PDA의 아이나비, 맵피 이상은 못됩니다. xcruz가 삼성 자회사격이라 억지로 넣은 거라)
노트북처럼 휴대하면서 별도로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설치, 업그레이드 때도 용이합니다. 그리고 인터넷은 무선랜은 별로 기대하지 마십쇼. 왜냐면 설치된 지역이 생각보다 너무 없습니다. 네스팟... 이거 쓰다가 그만둔 분 많습니다. 저도 그렇고요. 지원 지역이 너무 한정적입니다. 오죽하면 요즘 FON이라는 것이 나오겠습니까. 이것보다 핸드폰을 이용한 EVDO 인터넷이 훨씬 낫습니다. 속도는 약간 낮지만 전국 어디서나 심지어는 고속 운행 중에도 잘 잡힙니다. Q1은 블루투스지원이니, 블루투스지원되는 (ex. 최근엔 삼성 스킨폰) 핸드폰 쓰시면 무선으로 인터넷이 연결됩니다. 이용료 말씀하셨는데 한달에 26000원이면 사용량 관계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격도 내장형보다 Q1이 훨씬 저렴합니다. 내장형은 UMPC 출현으로 가격을 훨씬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DMB 지원으로 Q1이 좀 더 나을 수도 있고, 또 Q1은 인스턴트 모드라고 동영상, TV, 내비게이션 기능을 10-15초 부팅으로 (xp 부팅 첨부터 하지 않고) 즐길 수 있습니다. 이 점도 이 쪽이 낫고요.
소니에서도 UMPC 변종 하나 내놨지요. UX 시리즈인데, 크기가 아주 콤팩트하고 성능도 Q1보다 낫습니다. 단, 액정이 4.5인치라 좀 작습니다. 전용 거치대도 제공하지 않아 직접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근 여러 메이커의 UMPC가 나왔습니다. 내장형 제품보다 다른 제품 알아보시는 게 나을 거라 생각됩니다. 카 PC라면 이 쪽을 추천하겠습니다.
노트북처럼 휴대하면서 별도로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설치, 업그레이드 때도 용이합니다. 그리고 인터넷은 무선랜은 별로 기대하지 마십쇼. 왜냐면 설치된 지역이 생각보다 너무 없습니다. 네스팟... 이거 쓰다가 그만둔 분 많습니다. 저도 그렇고요. 지원 지역이 너무 한정적입니다. 오죽하면 요즘 FON이라는 것이 나오겠습니까. 이것보다 핸드폰을 이용한 EVDO 인터넷이 훨씬 낫습니다. 속도는 약간 낮지만 전국 어디서나 심지어는 고속 운행 중에도 잘 잡힙니다. Q1은 블루투스지원이니, 블루투스지원되는 (ex. 최근엔 삼성 스킨폰) 핸드폰 쓰시면 무선으로 인터넷이 연결됩니다. 이용료 말씀하셨는데 한달에 26000원이면 사용량 관계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격도 내장형보다 Q1이 훨씬 저렴합니다. 내장형은 UMPC 출현으로 가격을 훨씬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DMB 지원으로 Q1이 좀 더 나을 수도 있고, 또 Q1은 인스턴트 모드라고 동영상, TV, 내비게이션 기능을 10-15초 부팅으로 (xp 부팅 첨부터 하지 않고) 즐길 수 있습니다. 이 점도 이 쪽이 낫고요.
소니에서도 UMPC 변종 하나 내놨지요. UX 시리즈인데, 크기가 아주 콤팩트하고 성능도 Q1보다 낫습니다. 단, 액정이 4.5인치라 좀 작습니다. 전용 거치대도 제공하지 않아 직접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근 여러 메이커의 UMPC가 나왔습니다. 내장형 제품보다 다른 제품 알아보시는 게 나을 거라 생각됩니다. 카 PC라면 이 쪽을 추천하겠습니다.
2006.06.22 17:47:30 (*.232.25.21)

네 Q1이란 모델이 있었군요... 얼마전까지 x41t를 차량에서도 같이 사용했었는데
거치 문제도 그렇고 여러가지로 불편해서 일체형을 알아보던 중에 위 제품을 봤는데
괜찮은 것 같더군요... 홈피 찾아 들어가 이거저거 살펴보니 가격이 우선
상당하네요...-.- 일단 Q1도 유심히 한번 봐야겠습니다.
답변 주신 여러분 감사드립니다^^
거치 문제도 그렇고 여러가지로 불편해서 일체형을 알아보던 중에 위 제품을 봤는데
괜찮은 것 같더군요... 홈피 찾아 들어가 이거저거 살펴보니 가격이 우선
상당하네요...-.- 일단 Q1도 유심히 한번 봐야겠습니다.
답변 주신 여러분 감사드립니다^^
2006.06.22 23:02:19 (*.42.123.2)
저도 관계사는 아니지만..
http://www.cmotech.com/ 에가면 CCU-550이라고 USB플래쉬만한
EVDO모뎀이 있네요. 무제한 요금제로 이거 쓰는사람들을 몇몇 봤었는데
속도도 잘 나오고 무제한이라 그런지 요금부담도 크게 없나보네요. ^^
http://www.cmotech.com/ 에가면 CCU-550이라고 USB플래쉬만한
EVDO모뎀이 있네요. 무제한 요금제로 이거 쓰는사람들을 몇몇 봤었는데
속도도 잘 나오고 무제한이라 그런지 요금부담도 크게 없나보네요. ^^